논문 상세보기

Consumer Preferences and Purchase Perceptions by the Picture Image Types of Floral Products - Focused on Image-Based SNS (Instagram) KCI 등재

절화 화훼상품 사진 이미지 유형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 및 구매인식 - 이미지 기반 SNS(인스타그램)를 중심으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5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한 화훼상품 구매인식과 화훼상품 이미지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남녀 31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소비자들이 SNS를 통해 화훼상품을 구매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트렌드에 맞는 디자인을 판매하기 때문이며, 해당 항목에 대하여 20대가 가장 높은 평균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 20대와 30대의 응답자는 40대에 비해 SNS를 통해 판매하는 화훼상품의 가격이 덜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였으며, 50대 이상의 연령에서는 SNS를 통해 판매하는 화훼상품의 품질과 꽃의 신선도에 대해 낮게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SNS에 게시된 화훼 상품의 이미지가 구매할 상품 선택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였으며, SNS상의 화훼상품 이미지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훼상품의 이미지가 보정효과로 다듬어진 것이라고 인식하였으나, 실제 상품과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화훼상품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 특성으로는 전체적인 분위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절화 화훼상품 이미지에서 꽃다발과 꽃바구니 화훼상품에 따라 선호하는 배경에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구도에 따른 선호도는 꽃다발과 꽃바구니 모두 정면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이미지 보정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밝은 느낌의 채도가 높은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는 반면, 어두운 느낌의 이미지는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상품 이미지 보정효과에 대한 감성인식을 의미변별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에 따라 조사한 결과, 채도에 상관없이 밝은 느낌의 이미지는 ‘풍부한’, ‘세련된’, ‘고급스러운’, ‘기품 있는’과 같이 긍정적인 감성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두운 느낌의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감성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상품 이미지의 배경, 구도, 보정효과에 따라 소비자의 선호도와 감성반응에 차이가 나타났으나, 소비자의 성별, 연령 및 직업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이미지를 구축하여 SNS를 통한 화훼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소비자들의 구매상품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surveyed 311 adult consumers in Korea to investigate their preferences and purchase perceptions of floral products through the social network services (SNS) market. The consumers responded that they favored purchasing a floral product via SNS mainly because the products were trendy in design, with a significantly high score among those in t heir 20s. Among the a ge g roups, th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found the prices of floral products sold via SNS less reasonable than the consumers in their 40s. Those who were in their 50s or older showed lower confidence in the quality of floral products and freshness of flowers sold via SNS. The consumers said that the picture images of the floral products posted on SNS helped guide their choices, illustrating consumers’ positive views of the images of f loral products on SNS. Although the consumers were aware that the floral product images were retouched, they tended to assume that the actual products would be s imilar to the posted p icture images. As for the impact of image characteristics on the consumers’ purchase decisions of floral products, it was discovered that the respondents attached considerable importance to the overall atmosphere. The preferred backgrounds of the f loral product images slightly varied between floral bouquets and floral basket products. As for the composition preferences of images, most consumers preferred images that were taken from the front, for both floral bouquets and floral baskets. The consumers preferred bright images, with high chroma in color, whereas they disliked images with low brightness. Based on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he consumers used favorable terms, such as abundant, refined, high-class, and elegant, to describe bright images, regardless of color saturation. In contrast, dark images were generally perceived more negatively. Although the consumers’ preferences and emotional responses to picture images of floral products varie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omposition, and retouching effects of the imag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responses among different genders, age brackets, and vocational g roups. Overall, w hen marketing floral products through SNS, product information with images appealing to consumers’ preferences would support their purchase decisions.

목차
Abstract
서 언
연구 방법
    연구 대상 및 방법
    이미지 보정
    이미지 구도
    측정도구
결과 및 고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SNS 이용현황
    SNS를 통한 소비경험 및 화훼상품 구매경험
    SNS를 통한 화훼상품 구매 종류
    SNS를 통해 화훼상품을 구매하는 이유와 연령에따른 인식 차이
    SNS를 통해 화훼상품을 구매하지 않는 이유
    SNS상의 화훼상품 사진 이미지에 대한 신뢰도
    SNS 화훼상품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진이미지 특성
    절화 화훼상품 사진 이미지의 배경에 따른 선호도
    절화 화훼상품 사진 이미지의 구도에 따른 선호도
    절화 화훼상품 사진 이미지의 보정 효과에 따른 선호도
    절화 화훼상품 사진 이미지의 보정효과에 따른 감성반응
결 론
초 록
References
저자
  • Sangeun Seo(고려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 서상은
  • Jong Won Hong(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 홍종원
  • Jongyun Kim(고려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 김종윤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