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방사무늬김 황백화 발생에 해양환경이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a discoloration outbreak of Pyropia yezoen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6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김 황백화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김 양식장에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양식환경 특성과 황백화 피해 엽체의 형태 및 세포구조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금강 하구역에 위치한 개야도에서는 황백화가 확인되지 않았고 새만금방조제 주변의 도청리, 비안도, 무녀도와 선유도에서 황백화가 발생하였다. 김의 황백화 피해는 2011년 11월, 2014년 4월과 11월에 확인되었으며, 황백화 피해 엽체는 엽체 퇴색과 세포 내 액포 비대가 발생하였 다. 연구기간 동안 황백화는 DIN과 DIP의 농도가 각각 5 μM와 0.4 μM 이하에서 발생하였다. 용존무기질소 (DIN)와 용존무기인 (DIP)의 비를 통해 결핍된 용존무기영양염을 확인한 결과 DIN 결핍은 양식 초기, 낮은 DIP 농도는 양식 말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To elucidate the cause of Pyropia yezoensis discolo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an aquaculture environment, as well as the morphology and cell structure of P. yezoensis thallus were examined from 2011 to 2014 in aquaculture farms of the Jeonbuk province. P. yezoensis discoloration did not occur in aquaculture farms at Gaeyado located in the Geum River Estuary but occurred in aquaculture farms of Seonyudo, Munyeodo, Biando, and Docheongri near the Saemangeum embankment in November 2011 and April and November 2014. The injured leaves showed discoloration and intracellular vacuole hypertrophy. During the study period, discoloration occurred at concentrations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and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 below 5 μM and 0.4 μM, respectively. As a result, Pyropia discoloration was determined by low concentrations of DIN and DIP. DIN deficiency affects the early stage and low DIP concentration affects the end stage of aquaculture.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역 및 김 시료 분석
    2. 김 양식장 환경분석
결 과
    1. 김 황백화 발생현황
    2. 김 황백화 엽체의 특징
    3. 김 황백화 엽체의 색도 분석
    4. 김 양식장 해황 특성
고 찰
적 요
REFERENCES
저자
  • 이상용(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연구센터) | Sang Yong Lee (Seaweed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김영희(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연구센터) | Young Hee Kim (Seaweed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이지은(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연구센터) | Jee Eun Lee (Seaweed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유현일(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연구센터) | Hyun Il Yoo (Seaweed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