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물학적 모기유충 방제기법 적용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변동 KCI 등재

Changes in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ies in response to biological mosquito larvae control techniques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6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본 연구는 2018년 7월 20일부터 2018년 8월 1일까지 안산시 단원구에 위치한 화랑유원지 오토캠핑장의 집수정에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지점은 기법별로 대조지점, 천적지점, Bti 지점을 선정하였다. 서식처 환경 분석 및 채 집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대상으로 종조성, 군집분석, 상관성 분석, 유사도 분석을 실시하여 잔물땡땡이, Bti 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서식처 환경 분석 결과, 수질항목은 지점간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p>0.05), 하상구조 및 식물군 락이 유사하여 서식처 특성에 의한 종조성의 차이는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시간 동안 총 11목 22과 38종 4,818 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천적지점은 대조지점과 비교적 유사한 종조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Bti 지점은 다른 지점에 비해 단순한 종조성을 나타내었으며, 파리목의 종수 및 개체수가 가장 빈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군집 분석 결과, 조사기간 동안 Bti 지점에서 불안정한 군집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천적지점은 비교적 안정적인 군집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파리목과 모기유충을 대상으로 수질과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파리목과 기온, 수온은 음의 경향성을 나타내었으며, 모기유충과 기온은 - 0.610*, 수온은 -0.674*로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출현종을 대상으로 유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조지점과 천적지점은 조사시기별 61.11~ 73.68%, Bti 지점은 30.77~56.00%의 유사도를 나타내어 천적지점에 비해 대조지점과 유사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 었다. 본 연구는 단기간의 연구 결과로 습지유형 등을 고려 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생물학적 모기유충 방제 기법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site was the camping area in the Hwarang Amusement Park in Danwon- gu, Ansan-si. Study activities were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rom July 20, 2018, to August 1, 2018. A control site, natural enemy site, and Bti (Bacillus thuringiensis israelensis) site were selected. The analyses included habitat environment and species composition analyses, commun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ilarity analysis. The water quality analysi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ater quality over the study period (p>0.05). A total of 4,818 individuals, 38 species, 22 families, and 11 orders were observ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natural enemy site observed during the study period had a similar species composition as the control site. The Bti site differed from other sites by the low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present. According to the community analysis, the natural enemy site was a stable community and the Bti site was an unstable community during the study period. Diptera showed negative associations with temperature and water temperature and mosquito larva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emperature and water temperature. The similarity analysis showed that the control site and the natural enemy site were 61.11-73.68% and the Bti site showed 30.77-56.00% similarity.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점 및 조사시기
    2. 조사 및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서식처 환경 분석
    2. 종조성
    3. 군집분석
    4. 통계분석
적 요
REFERENCES
저자
  • 한중수(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Jung Soo Ha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College of Science & Engineering, Sangji University)
  • 안채희(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Chae Hui A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College of Science & Engineering, Sangji University)
  • 최준길(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Jun Kil Choi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College of Science & Engineering, Sangji University)
  • 이황구(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Hwang Goo Lee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College of Science & Engineering, Sangj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