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주암호 유해남조류 출현양상과 환경요인 변화 KCI 등재

Variation of cyanobacteria occurrence patter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Lake Ju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63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8년까지 14년간 주암호에서 출현한 남조류의 천이 양상을 분석하여, 남조류에 영향을 미친 주요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2012년 이후 유해남조류 (Harmful algae) 출현량 급감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두 지점의 유해남조류 현존량은 주암댐: 10~24,891 cells mL-1, 신평: 13~26,043 cells mL-1의 범위로 출현하였다. 전반기 시기 두 지점의 평균 현존량은 각각 2,575 cells mL-1, 2,557 cells mL-1로, 이는 후반기 시기 평균 현존량 (42 cells mL- 1, 82 cells mL-1)에 비해 약 60배, 30배의 큰 세포수 차이를 보였다. 남조류가 상대적으로 많이 출현하는 여름 시기 (6~9월)를 대상으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해남조류는 TN, 방류량, 저수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전기전도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t-검정 결과 TN, EC, 체류시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특히 TN은 0.566~1.292 mg L-1의 범위로 평균 0.862 mg L-1로 보였다. 전반기, 후반기 평균 TN은 전반기 0.912 mg L-1, 후반기 0.811 mg L-1로 감소하였다. 또한 유의확률은 다소 떨어지지만, TP의 경우 평균 차이는 없으나 표준편차가 비교적 큰 차이를 보여 변동성이 큼을 알 수 있었다. 강우량이 집중된 여름 (6~9월) 시기의 전반기와 후반기 강우량 감소하는 패턴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전반기 263.3 mm, 후반기 219.9 mm). 즉, 전반기에 비해 강우량은 감소 하였으며, 이로 인해 TP의 변동성이 감소되었다고 판단된다. TP의 변동성의 감소로 인해 전반기에 남조류의 luxury consumption이 가능하여 남조류의 성장률이 높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주암호 유해남조류 감소 원인은 강우량의 감소로 인한 영양염의 감소 (TN) 및 변동성의 감소 (TP)의 결과로 사료된다.

The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ful cyanobacteria and physicochemical factors in Lake Juam from 2005 to 2018. The research locations were designated St. 1 (Juam-Dam) and St. 2 (Sinpyong). Harmful cyanobacteria was found in four genera (Microcystis sp., Anabaena sp., Aphanizomenon sp., Oscillatoria sp.). The average standing crops of harmful cyanobacteria in both locations were 2,575 cells mL-1 and 2,557 cells mL-1 from 2005 to 2011. Since 2012,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ecrease that the measurements were 42 cells mL-1 and 82 cells mL-1 from 2012 to 2018. To analyze the reason for the decrease in harmful cyanobacteria, Pearson’s correlation and t-tests were performed on data collected during the summer period (June-September). Pearson’s correlation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otal nitrogen (TN), outflow, and storag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lectrical conductivity. T-tests were conducted in two different periods and showed decreases in total nitroge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residence time. The average rainfall was decreased from 263.3 mm (2005-2011) to 219.9 mm (2012-2018) and total nitrogen was decreased from 0.912 mg L-1 (2005-2011) to 0.811 mg L-1 (2012-2018) and the same variability was seen in TP (total phosphorus). Therefore, it seems that the low-rainfall decreased the nutrients (TN) and variability in the TP, resulting in a decrease in harmful cyanobacteria in Lake Juam.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 지점 및 시기
    2. 이화학적 분석
    3. 식물플랑크톤 분석
    4. 통계학적 분석
결과 및 고찰
    1. 이화학적 환경 요인의 변화
    2. 식물플랑크톤의 출현 양상
    3. 통계분석 결과
적 요
REFERENCES
저자
  • 정현수(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Hyeonsu Chung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손미선(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Misun Son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류희성(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Hui-Seong Ryu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박창희(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Chang Hee Park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이루리(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Rury Lee (Geum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조미선(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Misun Cho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임채홍(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Chaehong Lim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박종환(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Jonghwan Park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김경현(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Kyunghyun Kim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