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의 공원환경 인식이 공원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Perceived Park Environments on Park Satisfaction for Older Adul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71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노인의 공원이용 행태를 살펴보고, 공원 내 물리적 환경이 공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4개의 근린공원에서 수집된 총 290 부의 설문을 토대로 통계적 분석이 수행되었다. 공원이용 행태 분석 결과, 응답한 노인들의 43.4%가 ‘걷기 또는 산책’을 위해 공원을 방문하였으며, 응답자의 50%는 주 5회 이상 공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공원이용 시간은 2시간 내외가 대부분이었으며, 공원까지 이동수단은 보행이, 공원까지의 평균 이동거리는 15분 이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원환경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 ‘공원까지의 거리’, ‘충분한 녹지면적’, ‘충분한 그늘’ 등의 항목이 4점 이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반면, ‘원예활동지원 공간’, ‘다양한 볼거리’, ‘복지시설과의 연계’ 등에 대한 인식이 3.2점 이하로 낮게 평가되었다. 공원만족도와 공원환경 요인을 회귀분석한 결과, 5개 요인이 모두 유의수준 1% 이내에서 공원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이용쾌적성’, ‘시설적합성’, ‘이용편의성’의 영향성이 타 요인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향후 신규 노인공원 조성 또는 노인거주 중심지역의 근린공원 리모델링 사업 등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behaviors of park use and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perceived park environments on the park satisfaction for older adults focused on the neighborhood parks in Daegu. Several statistical analyzes were performed based on a total of 290 sample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in four neighborhood parks. First of all, 43.4% of the respondents visited the park for 'walking', and 50% of the respondents used the park more than 5 times a week. Most of the respondents used the park for about 2 hours, the most common means of transportation was walking, and the average distance to the park was less than 15 minutes. In terms of perception on the park environment, perceptions of 'distance to park', 'area of green space' and 'shade by trees' were higher than 4 points. On the other hand, perceptions of the 'Supporting space for gardening', 'Various attractions', and 'Connection with welfare facilities' were lower than 3.2 point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park satisfaction and park environment factors, all five factors had positive effects with park satisfaction within 1% of significance level.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s of 'Amenity of use', 'Suitability of facility' and 'Convenience of use' were higher than other fact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basic data for the construction of new senior parks and remodeling of neighborhood parks in the elderly residential area.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 대상지
    2.2 평가지표 선정
    2.3 설문조사
    2.4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
    3.2 공원이용 행태 및 공원환경 인식
    3.3 공원환경 인식 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 결론
References
저자
  • 박영은(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Youngeun Par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정성관(경북대학교) | Sunggwan Jung (Emeritus Professor,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우성(대구대학교 도시 ㆍ조경학부) | Woosung Lee (Divi. of Urban Landscape, Deag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