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허브주제원의 도입을 통한 팔당 물안개공원의 재생계획 KCI 등재

Renewal Plan of Paldang Mulanngae Park by Introducing Herb Theme Gard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71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4대강사업으로 이미 조성된 팔당 물안개공원을 재생하기 위해 허브 주제원을 도입 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주로 물리적 측면에서 다룬 내용이다. 기존공원의 재활성화를 위한 전략으로 현 공간구조를 오방(五方)의 전통적 장소 맥락에서 재해석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단위 공간별 주제를 조직화하고 허브 식재방식과 시설요소를 ‘두텁게 하는 전략’을 활용하였다. 또한, 새롭게 도입될 주제원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장치요소를 제안함으로써 이용자와 환경 간에 다양한 감성 교류와 공감 강화를 겨냥하였다. 한편 입지특성에 의해 오랫동안 공공복지 관련 개발행위조차도 제한되어 온 계획대상지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수도권 수변 휴양공간의 확충과 함께 지역주민의 소득증대와 공공복지활동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환경을 구축하도록 하였다. 계획수립에 따른 예상효과가 상부 기관으로부터 인정받아 해당 예산을 이미 확보한 본 사업은 2022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바, 본 사업의 충실한 질적 완성을 기대한다.

This study deal with the introducing herb theme parks to regenerate the Paldang Mulanngae Park, which has already been created as a four-river project, and with strategic plans to shape them, from a physical environments. As a strategy for revitalizing existing parks, the current spatial structure was reinterpreted in the traditional location concept of ‘Obang’. Based on this, the theme of each unit space was organized through the ‘thickening strategy’ such as plants and facilities strengthening. It also proposed a device element for storytelling for newly introduced subjects, aiming to enhance diverse emotional exchanges and empathy between users and the environment. Meanwhile, the planned site was under controlled to development activities related to public welfare for a long time due to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so beyond the goal of expanding the waterfront recreation sit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t sought an environment that could contribute substantially to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The project, which has already secured the budget in recognition of the expected effects of the plan's establishment, is aimed at compliance in 2022 and expects to complete the project faithfully.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계획여건 검토
    3.1 입지여건
    3.2 공원의 현황분석
4. 계획수립의 목표와 기본구상
    4.1 계획수립의 전제
    4.2 계획의 목표
    4.3 공간별 주제 검토와 설정
    4.4 길과 공간의 특화전략
5. 기본계획 및 세부 환경계획
    5.1 기반환경계획
    5.2 시설도입 및 배치계획
    5.3 식재계획
6. 결론
References
저자
  • 홍윤순(한경대학교 조경학과) | Younsoon H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