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 운동선수들의 지각된 코칭 스타일과 성장 마인드셋, 실수인식, 그릿의 인과관계: Phantom Model 적용의 매개효과 KCI 등재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Coaching Style, Growth Mindset, Orientation of Error, and Grit in Collegiate Athletes: Mediating Effect of Phantom Model Appli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744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선수들의 성공적인 수행을 예측할 수 있는 심리적 변인인 그릿과 성장 마인드셋, 실수인식, 지각된 코칭 스타일과의 인과관계를 탐색하고 성장 마인드셋과 실수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북의 대학교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430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중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24부를 제외한 최종 406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왜도, 첨도, 신뢰도 검사,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형검증, 구조모형검증, Phantom model를 사용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자율성지지 코칭행동은 성장 마인드셋과 실수인식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통제적 코칭행동은 실수인식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지만, 성장 마인드셋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성장 마인드셋은 그릿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실수인식은 그릿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자율성지지 코칭행동과 그릿간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실수인식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여섯째, 통제적 코칭행동과 그릿간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실수인식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포츠 상황에서 코칭 스타일 및 성장 마인드셋, 실수인식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의미가 있으며, 다양한 심리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발판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grit, growth mindset, orientation of error, coaching styles and the psychological factors perceived by the collegiate athletes that may predict athletes’ achievemen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growth mindset and orientation of error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aching style and grit. Methods: The collegiate athletes in Seoul, Gyeonggi, and North Chungcheong provinces were studied with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Out of 430 surveys conducted, 406 of them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those lacking consistency in response. For measurement and analysis, SPSS 20.0 and AMOS 21.0 programs were used to assess the frequency analysis, skewness, kurtosis, credibility,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verification,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an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Results: First, autonomy support coaching behavi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growth mindset and orientation of error. Second, the controlled coaching behavior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orientation of error, an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growth mindset. Third, the growth mindse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grit. Fourth, the perception of mistak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grit. Fifth, growth mindset and orientation of err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support coaching behavior and grit showed full mechanism effect. Sixth,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led coaching behavior and grit was found to have no medial effect of growth mindset and mistake perception.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may act as the steppingstone toward the studies about the impact of coaching style, grit as an indicator of success,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growth mindset and orientation of error in the athletic circumstance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조사 도구
3.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4. 자료처리방법
Ⅲ. 연구 결과
1. 정규성 검증
2. 상관분석
3. 측정모형검증
4. 구조모형검증
5. Phantom변수를 적용한 매개 효과 검증
Ⅳ. 논의
Ⅴ.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신준하(단국대학교) | Joonha Shin (Dankook University)
  • 허진영(단국대학교) | Jinyoung Huh (Dankoo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