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역경 상황에서 끈기(grit)가 높은 초등학교 운동선수의 신념 탐구 KCI 등재

Peering into the Mind-sets of Elementary School Athletes with High Grit Scores in Advers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744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끈기(grit)가 높은 초등학교 운동선수들은 역경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발견하여 기술하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 문화 기술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초기에 211명의 학생이 끈기(grit)의 일관성과 지속성을 측정하는 테스트에 참여하였고, 이중 상위 16%(SD=+1 이상)에 해당하는 34명이 잠정 연구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연구자는 이들 중 역경을 체험했는가를 알아보는 3개의 문항에서 1개라도 ‘예’라고 답한 19명을 최종 연구참여자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을 대상으로 개인 면담, 집단 초 점면담, 그리고 관찰을 시행하여 자료를 모으고 Spradley(1979)의 분류 분석 방법을 채택하여 자료가 분석되었다. 결과: 자료 분석결과 5개의 영역이 발견되었으며 이들 영역은 ‘용기’, ‘성취 지향’, ‘장기 목표와 인내심’, ‘회복력’, 그리고 ‘탁월함 추구’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중요한 교훈은 초등학교 운동선수들이 자신이 성취하고자 하는 것을 실패했을 때 이들과 그에 관해 무엇을 배울 수 있었는지를 대화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and describe how the elementary school athletes who have higher scores of grit deal with their adversity situation. Methods: The research employed ethnography which i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early stage of the research, a grit questionnaire measuring grit consistency and persistence was administered to 211 elementary school athletes and 34 athletes, who ranked above 16%, equivalent to standard deviation +1 or higher on grit score, were selected as temporary research participants. Another 3 questions asking if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dversity were given to the temporary participants. Nineteen athletes who answered ‘yes’ to at least one of the 3 questions were selected as the final research participants in this study. Semi-structural interview, focus group interview and observation were utilized to get the data. Data were analyzed using taxonomic analysis method developed by Spradley. Results: The cultural domains were ‘courage’, ‘achievement orientation’, ‘long-term goals’, ‘resilience’, and ‘seeking excellency’. Conclusion: The study has an important implication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talk with children about what to learn from their failure when children fail in what they tries to achieve.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자
    3. 자료 수집
    4. 연구의 타당성
    5. 자료 분석
    6. 윤리적 고려
Ⅲ. 연구결과
    1. 용기
    2. 성취 지향
    3. 장기 목표와 인내심
    4. 회복력
    5. 탁월함 추구
Ⅳ. 논 의
참고문헌
저자
  • 유생열(경인교육대학교) | Seangleol Yoo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