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각적 착시에 의한 지각된 난이도 변화가 동작 수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nfluence to Motor Performance by Index of Difficulty Changes under Visual Illus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744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시각적 착시에 의한 지각된 난이도 변화가 동작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 였다. 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정상이거나 교정시력을 보유한 8명(남자 6명, 여자 2명)으로 우세 손이 오른손인 자들로 구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Verbal 판단과제, 판단수행과제, 그리고 연속수행과제를 수행하였다. 각 과제별로 5cm, 10cm, 20cm로 난이도가 구분이 된 Inverted-T 도형을 무작위로 제시하였다. Verbal 판단과제는 도형을 보여준 뒤 수평선과 수직선 중 어느 선이 더 길어 보이는지 구두로 표현하게 하였다. 판단수행과제는 연구 참여 자가 수평선과 수직선의 거리를 마크가 부착된 막대를 벌려 제시하게 하였으며, 이때 제시된 마크를 촬영하였다. 연속수행과제는 각 도형별 주어진 타겟을 40회 왕복 태핑 하는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총 운동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Verbal 판단과제 수행 결과 참여자 8명 모두 수직선이 길다고 판단하였다. 판단수행과제에서 5명의 참여자 가 수직선이 수평선보다 길다고 판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명의 참여자는 수평선이 수직선보다 길다고 하였다. 연속수행과제에서는 연속적인 움직임 수행 시 착시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난이도 지수가 커질수록 운동시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Inverted-T 도형은 지각 판단 시 수직선을 긴 것으로 지각하였으나, 연속수행과제 시착시는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시각시스템이 두 개의 경로로 나뉘어 처리되는 것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perceived difficulty change by visual illusion affects performance.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8 persons (6 males and 2 females) with normal or corrected vision, with the dominant hand on the right. Participants performed verbal judgment tasks, judgment motor tasks, and continuous motor tasks. Inverted-T figures with difficulty levels of 5 cm, 10 cm, and 20 cm were randomly presented for each task. The verbal judgment task was designed to express the shape of a horizontal line and a vertical line that looked long after showing the figure. Judgment motor task was to measure to present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line and the vertical line by opening the tip of the stick’s markers. Continuous motor task was to tap a given target 40 times with maximum spe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verbal judgement task, all eight participants said that the vertical line was long. In the judgment motor task, five participants judged that the vertical line was longer than the horizontal line. Conversely, thre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 horizontal line was longer than the vertical line. In the continuous motor task, the visual illusion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continuous movement. On the other hand, as the difficulty index increased, movement time was increased. Conclusion: The vertical line of Inverted-T was perceived as longer one in the perceptual judgement task, but no difference was found in continuous motor task between horizontal line and vertical line of Inverted-T, suggesting that visual illusion of inverted-T did not affect the motor performance of continuous motor task.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실험도구
    3. 실험과제 및 절차
    4. 자료처리 방법
Ⅲ. 결 과
    1. 판단과제
    2. 연속수행과제
Ⅳ. 논 의
참고문헌
저자
  • 김준희(중앙대학교) | Junehee Kim (Chung-ang University)
  • 김상범(중앙대학교) | Sangbum Kim (Chung-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