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entinel-1 위성의 영상 분류 기법을 이용한 백두산 천지의 얼음 면적 변화 탐지 KCI 등재

Changes Detection of Ice Dimension in Cheonji, Baekdu Mountain Using Sentinel-1 Image Classifi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1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아시아에서 가장 큰 칼데라 호수인 천지는 해발 약 2250 m의 백두산 정상에 위치한다. 천지는 높은 해발고도 및 바다와 인접한 환경으로 인해 1년 중 6개월 정도가 눈과 얼음으로 뒤덮여 있다. 천지의 수원은 대부분 지하수로부터 유입되기 때문에 수온과 백두산의 화산활동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며 백두산에 많은 화산활동이 관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우주국(European Space Agency: ESA)에서 제공하는 Sentinel-1 위성 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백두산의 겨울철 생성되는 얼음의 면적을 분석하였다. Sentinel-1 위성의 후방산란 영상에서 얼음의 면적을 산출하기 위해 질감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2개의 편파영상에서 20개의 Gray-Level Co-occurrence Matrix(GLCM) 레이어를 생성했다. 면적 산출에 사용된 방법은 GLCM 레이어를 Support Vector Machine (SVM) 알고리즘으로 분류하여 영상에서 얼음의 면적을 산출했다. 또한 산출된 면적은 삼지연 기상관측소에서 획득된 기온자료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본격적인 장기간의 시계열 분석에 앞서 얼음의 면적을 산출하는 새로운 방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근거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heonji, the largest caldera lake in Asia, is located at the summit of Baekdu Mountain. Cheonji is covered with snow and ice for about six months of the year due to its high altitude and its surrounding environment. Since most of the sources of water are from groundwater, the water tempera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volcanic activity. However, in the 2000s, many volcanic activities have been monitored on the mountai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imension of ice produced during winter in Baekdu Mountain using Sentinel-1 satellite image data provided by the European Space Agency (ESA). In order to calculate the dimension of ice from the backscatter image of the Sentinel-1 satellite, 20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 (GLCM) layers were generated from two polarization images using texture analysis. The method used in calculating the area was utilized with the Support Vector Machine (SVM) algorithm to classify the GLCM layer which is to calculate the dimension of ice in the image. Also, the calculated area was correlated with temperature data obtained from Samjiyeon weather statio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suggesting an alternative to the new method of calculating the area of ice before using a long-term time series analysis on a full scale.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지역
연구방법
연구 결과
결 론
References
저자
  • 박성재(강원대학교 스마트지역혁신학과) | Sungjae Park (Department of Smart Regional Innov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엄진아(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강원대학교 지구자원연구소) | Jinah Eom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Earth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고보균(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Bokyun Ko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박정원(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 북극해빙예측사업단) | Jeong-Won Park (Unit of Arctic Sea-Ice Prediction,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 이창욱(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Chang-Wook Lee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