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식재산권법에 의한 빅데이터의 보호

Protection of big data by Intellectual Property Law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2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Center for Law & Technology)
초록

IoT, 빅데이터 분석, AI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을 배경으로 빅데이터의 가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빅데이터의 적절한 활용을 추진하는 것이 각국의 성장력을 높이는 열쇠가 되고 있다. 빅데이터의 적극적인 시장 유통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공급자 및 이용자가 안심하고 데이터를 제공 및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제도 정비가 필수이며 현행 지식재산권법 또는 입법을 통해 빅데이터를 보호하는 방법의 검토가 필요하다.
빅데이터 가치에 주목한 각국은 이미 다양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먼저 유럽은 실질적인 투자가 이루어진 일정한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독자적인 권리(sui generis right)를 부여하고 있다. 반면, 미국에서는 적극적 독점권이 아닌 부정경쟁방지 법리에 따른 소극적 보호로 대응하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는 최근에 빅데이터 보호와 관련하여 두 개의 법이 대대적으로 개정되었다. 즉, 2018년 5월에 빅데이터 보호를 위한 규정을 새로 도입하는 부정경쟁방지법 개정을 실시하고, 동시에 디지털화·네트워크화의 발전에 대응하여 유연한 권리제한 규정을 정비하는 저작권법 개정을 실시하였다.
물론 한국에서도 빅데이터는 특허법, 저작권법 등의 현행 지식재산권법상에도 일정한 법적 보호를 받을 가능성은 있으나, 어느정도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 저작권법은 2003년 개정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저작권법으로 보호하는 규정을 마련하였으나, 저작권법을 통한 배타적 권리로서의 보호가 적절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실제로 많은 기업들이 빅데이터 보호로 이용하고 있는 영업비밀은 빅데이터의 공개와 유통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빅데이터의 새로운 보호 논의의 취지에서는 벗어난 것이다.
한편, 부정경쟁방지법의 새로운 보호 대상으로 빅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이 더 가능성이 높은 어프로치가 될 수 있다. 부정경쟁방지법은 소극적 보호만을 부여하고 있고, 새로 등장한 대상을 보호범위로 포섭하는 데 있어 가장 신축적인 법제이다. 따라서, 배타적 독점권을 도입하면 예상되는 큰 반발을 피할 수 있어 실현 가능성이 높고, 구체적인 집행 과정에서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빅데이터 제작에 관련된 투자 회수와 정보의 자유로운 유통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보호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presented by IoT, big data analysis and AI, the value of big data is increasing, and promoting the appropriate use of such big data is a key to increase the growth potential of each country. In order to promote the active market distribution of big data,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 appropriate system that data providers and users can provide and utilize data without anxiety, and thus,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protect big data through the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r future legislation.
Countries focusing on the value of big data are already showing a variety of moves. First, the European Union grants “sui generis” database right to protect specific databases for which substantial investments have been made. On the other hand, in the United States, data is protected by not exclusive monopoly rights but passive protection through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lso, in Japan, two major legal revisions have recently been made in connection with big data protection, namely, revision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which introduces a new provision for protecting big data, and revision of the Copyright Act, which establishes flexible right restriction provisions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of digitization and networking both in May 2018.
Of course, big data may receive certain legal protection under the current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law such as patent law and copyright law, but it seems to have some limitations. In particular, although the revision of the Korean Copyright Act in 2003 introduced a provision to protect the database under the copyright law, questions have been raised as to whether it is really appropriate to protect database by exclusive rights through copyright law. In addition, the trade secrets that many companies are actually using to protect big data is outside the scope of the discussion of the new protection of big data, which aims to promote the release and distribution of data.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including big data in new protection targets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may be a more likely approach.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grants only passive protection and is the most flexible legal system to include newly emerged objects in the scope of protection. The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is high because it will be able to avoid expected large-scale oppositions in the case of introducing exclusive monopoly rights, and it will also be able to respond flexibly even at the stage of specific enforcement. It is necessary to make continuous discussions on the most appropriate protection methods that can achieve the dual goals of Payback on big data production and Free circulation of information

목차
요약
I. 서론
II. 각국의 빅데이터 보호 방식
III. 지식재산권법 안에서의 빅데이터 보호
IV. 한국에서의 바람직한 대응
V. 결론
ABSTRACT
저자
  • 오오이시마나 | Mana Ois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