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 섬북과 내몽고지역 동한시기 벽화묘 연구 KCI 등재

The Wall Painting Tombs in the Northern Shaanxi and the Inner Mongolia in the Eastern Han peri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5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9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1920년대 동북지방의 요양벽화묘에서부터 발굴이 시작된 한대 벽화묘는 섬서, 하남, 하 북 등에서 100여기에 가까운 수가 발굴되었다. 한대 벽화묘의 발달에서 동한 후기에는 동 북, 북방, 하서를 잇는 북부지역이 벽화묘 축조의 중심지로 떠오른다. 이들 북부지역 동한 벽화묘들은 한대 고분벽화 문화의 분포에서 동일한 소재를 공유하면서도 지역적 특징의 형성이 관찰된다. 고구려 고분벽화의 연원에 중요한 자료로 최근 북방지역에 발견된 벽화묘들의 연구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내몽고와 섬서성 북부 지역을 포함하는 중국 한대 북방지역 벽화묘의 지역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한대 고분벽화의 분포와 전파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 새로운 벽화묘들로는 섬서 북부의 陝西定邊郝灘東漢壁畫墓, 陝西靖邊楊橋畔東漢壁畫墓, 陜西 靖邊楊橋畔鎮楊橋畔二村南側渠樹壕漢墓, 陝西靖邊楊橋畔渠樹壕漢壁畫墓가 있다. 내 몽고에는 內蒙古鄂托克旗巴彥淖爾鄕鳳凰山1號墓, 內蒙古鄂托克旗烏蘭鎭米拉(蘭)壕漢 墓, 内蒙古卾爾多斯巴日松古敖包漢代壁畫墓 등이 있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북방지역 벽화묘의 구조와 벽화의 특징을 정리한 후 관중지역 서한 후기 벽화묘들과 비교하여 지역 간 연관관계를 고찰하였다. 섬북과 내몽고지역 동한벽화묘와 관중지역 서한벽화묘의 공통점은 첫째는 수렵도, 천상도와 같은 특정 주제의 공유, 둘째는 소재의 배치와 표현방법의 계승, 셋째는 벽화의 바탕면을 녹색이나 적색으로 칠한 후에 그 위에 벽화를 그리는 제작 방법의 유사성이다. 주제와 배치 및 표현방법의 연속성은 관중지역의 사민이 북방지역으로 이루어지면서 화본의 유통과 화공집단도 같이 이동한데서 배경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섬북과 내몽고지역의 수렵도와 산악도의 구성, 인물도의 구성과 배치 등은 고구려의 초기 고분벽화가 형성되는데 하 나의 연원을 북방지역에서 찾을 수 있도록 시사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Since the Liaoyang mural tombs have been discovered in 1920s, about one hundred Han dynasty tomb murals have been excavated in Shaanxi, Henan, and Hebei. In the evolution of the Han tomb murals, the northern region connecting the northeast, north, and the Hexi regions became the major location of the construction of mural tombs. Those northern region tombs shared similar subject matters and also showed regional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and dissemination of tomb mural culture.
Especially, those in the northern Shaanxi province and the Inner Mongolia autonomous province which have been recently introduced and excavated would be important sources to determine the origin of Koguryo tomb murals.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tomb structure and a pictorial program of a mural tomb in the Northern Shaanxi and the Inner Mongolia are significant in finding out the establish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Koguryo mural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한대 벽화묘의 전개
Ⅱ. 섬북과 내몽고지역 동한시기 벽화묘의 구조와 벽화의 내용
Ⅲ. 섬북과 내몽고지역 동한시기 벽화의 특징과 연원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박아림(숙명여자대학교) | Park Ahrim (Sookmyung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