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성실한 업무수행과 신뢰 사이: 미국과 한국에서의 미술품 감정평가 양상 비교 KCI 등재

Between Due Diligence and Trust : Comparing Appraisal of Fine & Decorative Arts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5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최근 한국에서 미술품 시가감정은 미술시장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자 감정학의 일환으로 부상해 있다. 그런데 수량화시킨 미술품의 경제적 가치 분석을 시장에 기반해 제시하는 그 접근법은 진위분별과 미적이고 질적인 특징의 분석에 매진해온 감정학의 일반 개념과 큰 차이가 있다. 감정평가단체가 많고 미술품 전담 감정평가사가 전문적으로 활동하면서 관련 교육을 담당하는 전문기관이 있는 미국의 경우는 그 업무의 전체 과정에 접근하기가 용이하다. 본고는 미국에서의 미술품 감정평가 업무수행의 전체적인 면모를 소개한 뒤 한국의 현황과 비교해 시가감정을 자산평가 분야의 일환으로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미국의 미술품 감정평가 과정은 사용자의 필요와 용도에 합당한 가치평가 유형의 결정, 평가대상의 상태와 적합한 시장에 대한 분석, 최종가치진술로서의 가치평가액 도출 등의 전체과정이 최종가액 판단을 위한 근거자료와 더불어 문서화되어 전문가적인 의견 피력의 무대가 확보되어 있다. 그 업무수행과 산출결과에 대한 신뢰의 배경에 USPAP이 있고, 윤리성을 강조한 그 규정에 입각해 작성된 감정평가서는 성실한 업무수행의 전과정을 그대로 드러낸 다. 이를 고찰하면, 상황에 따라 변하기 마련인 미술품 가격 자체에만 집착하며 진위감정과 시가감정의 개념과 범주를 혼동해온 한국의 현실을 깨닫게 된다. 더불어 사용자의 필요를 해결하기 위해 성실하고 정확하고 윤리적으로 합당하게 수행된 전문가의 작업이 신뢰받는 자산 평가로 귀결되어지도록 시가감정의 개념과 작업방식을 재정비해 미술품 자산가치 평가방식 을 확립할 필요가 있음을 느끼게 된다. 진위감정과 별도로 미술품의 자산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해줄 시가감정 영역의 정비와 방법론 계발이 요청되는 것이다.

Recently, appraisal for fine and decorative arts has been emerging in South Korea as both a method to activate the art market and as a part of connoisseurship. However, this approach, which focuses on market-based economic value analysis by quantifying the value of artworks, greatly differs from the general concept of verifying authenticity and aesthetic, art historical analysis. In the United State, there exist many art appraisal associations, professional art appraisers, and educational organizations that facilitate the entirety of the art appraisal process. This paper will describe in detail the appraisal process of the United States, then compare this process with aspects of art appraisal in South Korea to understand appraisal as an aspect of asset valuation.
The overall appraisal process in the United States combines a fair determination of value based on user need and purpose, art condition and analysis of its appropriate market, and deduced final value statements with base documentation to derive the final price of a work of art, thus setting the stage for a documented and professional expression of opinion. In the background, the Uniform Standards of Professional Appraisal Practice (USPAP) ensures due diligence and ethics of appraisals, as well as trust in appraisal reports that adhere to its standards. In contrast, South Korean recent discourses about appraisals and authentications tend to focus solely on the circumstantial prices of artwork, causing them to become highly volatile. Thus, in order to address consumer needs, South Korea’s concept and methodology of appraisal must be revised, and art valuation standards established, such that diligent, accurate, and ethical appraisal by experts and trust in the appraisal process can come to fruition. Consequentially, this paper calls for revision and methodological development of South Korea’s fine and decorative art appraisal process separate from that of ensuring art authenticity.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미국에서의 미술품 감정평가와 USPAP
Ⅲ. 한국의 미술품 감정평가 양상과의 비교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박효은(국립춘천박물관) | Park Hyoeun (Chuncheon National Mus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