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리더의 유머행동과 조직의 다양성 풍토가 구성원의 협력적 갈등해결에 미치는 영향 - 부정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 KCI 등재

The Effect of Leader’s Humor Behavior and Organizational Diversity Climate on Collaborative Conflict Management -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626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20.27.1.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최근 리더의 유머행동과 조직의 다양성 풍토는 조직행동 분야의 주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이 2가지가 현재의 한국 사회의 분위기나 한국 기업의 조직문화와는 상당한 거리감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리더의 유머행동과 조직의 다양성 풍토가 구성원의 협력적 갈등해결이라는 기업 조직의 중요한 성과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 관계를 부정적 정서조절이라는 정서적 요소가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해서 수집한 242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신뢰성,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리더의 유머행동과 조직의 다양성 풍토 모두 구성원의 협력적 갈등해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부정적 정서조절은 상사의 유머행동과 구성원의 협력적 갈등해결, 조직의 다양성 풍토와 구성원의 협력적 갈등해결의 관계를 모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eader’s humor behavior and organizational diversity climate collaborative conflict managem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was conducted. Self-report evaluation measures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f 242 employees in South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nalytic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results revealed that leader’s humor behavior and organizational diversity climate had a positive effect on collaborative conflict management. Negative emotion regul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humor behavior and collaborative conflict resolution, and between organizational diversity climate and collaborative conflict resolu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1. 협력적 갈등해결
    2. 협력적 갈등해결에 대한 리더의 유머사용의영향
    3. 협력적 갈등해결에 대한 조직의 다양성 풍토의 영향
    4. 부정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1. 상관관계 분석과 측정모델 검토
    2. 구조모델과 가설 검증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관예주(선문대학교 교육상담학과) | Kwan Ye Ju
  • 여경환(계명대 산학인재원) | Kyung Hwan Park 교신저자
  • 박옥자(선문대학교 글로컬통합대학원) | Park Ok 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