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탐사보도의 비윤리적, 위법적 취재방법과 취재의 자유에 관한 수용자 인식 연구 KCI 등재

Study on Consumers’ Perception on Unethical and Illegal News Coverage Methods of Investigative Journalism and Freedom of News Cover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740
  • DOIhttps://doi.org/10.15335/GLR.2020.13.1.002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가천법학 (Gachon Law Review)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Gachon University Law Research Institute)
초록

한국의 탐사보도 수용자를 설문조사해서 탐사보도 역할 인식, 이용량,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비윤리적, 위법적인 탐사보도 취재방법 허용정도에 미치는 영향과 취재의 자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수용자들은 탐사보도가 사회감시와 정보제공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비윤리적이고 위법적인 취재방법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어서 언론의 자유는 절대적 자유가 아니라고 인식하였다. 수용자들은 취재방법과 취재목적에 따라 취재의 자유에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취재방법이 개인 프라이버시를 침해할수록 제한적으로 생각하고, 취재목적의 공익성이 높으면 넓게 생각하였다. 수용자들이 사회감시역할을 중시하면 비윤리적이고 위법적 취재방법이라도 수용하였고, 정보제공역할을 중시하면 부정적으로 생각하였다. 탐사보도 이용량은 많은 취재방법에 정적인 영향을 주어서 탐사보도 이용만족도가 높았다.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과 학력은 낮을수록, 수입은 많을수록 취재방법을 더 허용하였다. 환경과 건강 분야 보도 이용량이 많을수록 취재방법을 더 허용하고, 교육, 정부, 범죄 분야 보도를 많이 이용할수록 부정적이었다. 한국 수용자들은 언론의 환경과 건강 분야 감시를 중시하였다.

This study surveyed Korean consumers and analysed their acceptance of unethical and illegal news coverage methods of investigative journalism. While consumers recognized that investigative news played two roles of monitoring society and providing information, they were generally negative about unethical and illegal methods. Consumers thought that freedom of press was not absolute. Consumers’ idea of freedom of news coverage was changed by news coverage methods and report aims from the extremely limited to the constitutional basic right. If consumer valued the role of social monitoring highly, he considered news coverage methods justly and if he valued information provision highly, he considered them unjustly. Usage of investigative news had positive effects on many coverage methods, which meant that consum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investigative news. Women allowed coverage methods more than men. The lower the age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were, and the higher the income were, the coverage methods were more justified. Usage of environment and health news had positive effects on coverage, but usage of education, government and crime news did negative effects.

목차
국문요약
Ⅰ. 문제제기
Ⅱ. 탐사보도 취재방법에 대한 논란과 법적 논의
Ⅲ. 연구문제 및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오대영(가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Oh Dayyoung (Dept. of Media Communication, Gacho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