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현병의 낙인(stigma)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KCI 등재

Factors Affecting Stigma of Schizophreni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8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조현병 환자가 겪고있는 내재적 낙인과 사회인구통계학적, 심리사회적, 정신의학적 요인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그 중 어떠한 요인이 내재적 낙인에 부정적 또는 긍정적으로 기여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1998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출판된 문헌 중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낙인과 다른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가 포함되었다. 해외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CINAHL(EBSCOhost), PSYCINFO를 사용하였고, 국내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를 사용하였다. 해외 검색어는 “schizophrenia” AND “stigma” AND “correlation analysis”, 국내 검색어는 “조현병 또는 정신분열증” 그리고 “낙인 또는 오명” 그리고 “상관관계”를 사용하였다.
결과 : 사회인구통계학적 요인은 재정수준, 교육이 중간 수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심리사회적 요인은 내재적 낙인과 가장 많은 요인과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높은 상관관계는 자기효능감, 우울, 손상회피, 레저활동, 심리적 건강, 삶의 질, 자기지향성, 사회적 관계, 자살로 나타났다. 정신의학적 요인은 심각도와 음성증상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그 외에 전반적 자각, 통찰력, 치료기간, 지각된 낙인이 일관된 결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내재적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변수(사회인구통계학적, 심리사회적, 정신의학적)에 대해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개인의 특성과 경험 등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였고, 그에 따라 각 요인의 성격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rinsic stigma experienced by schizophrenic patients and the sociodemographic, psychosocial, and psychiatric factors, and to identify which factors contribute to the intrinsic stigma either negatively or positively.
Methods: This study included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tigma and other factors in schizophrenic patients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18. As overseas databases, Pubmed, CINAHL (EBSCOhost), and PSYCINFO were used, and the Korean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was applied. The international search terms include “schizophrenia” AND “stigma”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as domestic search terms, “조현병 또는 정신분열증” 그리고 “낙인 또는 오명” 그리고 “상관관계” were applied.
Results: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showed a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financial level and education. Psychosocial factors were correlated with intrinsic stigma, and in most factors, high correlations were self-efficacy, depression, avoidance of injury, leisure activities, psychological health, quality of life, self-orientation, social relations, and suicide. Psychiatric factor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severity and negative symptoms. In addition, overall consciousness, insight, duration of treatment, and perceived stigma were consistently correlated with consistent results.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three variables that affect an intrinsic stigma through a meta-analysi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of the individuals, various results were shown. Therefore, studies used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tor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및 문헌검색 전략
    2. 문헌 선정기준
    3. 메타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분석 대상 연구의 선정 과정
    2. 일반적 특성
    3. 메타분석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신치환(대한작업치료사협회) | Shin Chi-Hwan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