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환경변이에 대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학적 형질과 기능적 다양성 분석: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관점에서 KCI 등재

Characterizing Responses of Biological Trait and Functional Divers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to Environmental Variables to Develop Aquat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 Index.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8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군집지수와 FD와의 상관분석 결과 FD는 군집지수 중 Shannon 다양도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조사지점은 환경 특성에 따라 6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고도에 따라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고도가 높은 그룹 1은 산림의 비율이 많고 좋은 수질을 보였으나 고도가 낮은 그룹 6은 수질이 양호하지 않았다. 환경 구배에 따른 조사지역 그룹과 군집지수와 FD의 연관성 분석을 위해 NMDS를 시행하였으며 그룹 1~3에서 FEve를 제외한 모든 지수가 높았다. 그룹 간의 종구성은 그룹 1~3에는 하루살이목, 날도래목, 강도래목이 높았으며, 그룹 4, 5에는 잠자리목, 딱정벌레목이 주요하게 나타났다. 생물학적 형질은 그룹 1~3에서 생식기간이 길고, 이동성이 낮은 형질 특성을 보였으며 생물의 저항력 전략을 잘 보여주었다. 반대로 그룹 4~6은 생식기간이 짧고, 이동성이 높은 회복력의 전략을 뚜렷하게 반영해 주었다. 수질의 오염도가 낮은 상류는 교란의 빈도가 적고 공간적으로 높은 이질성을 가졌으며 생물이 주로 저항성 전략을 보였으며 생물이 서식지에 오래 머무를 수 있어 기능적, 구조적 생물다양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수질의 오염도가 높은 하류는 교란의 빈도가 높고 공간적으로 균질성이 높으며 생물은 주로 회복력의 전력을 보여 교란에 의해 이동하거나 회피할 수 있는 휴면기, 고치, 세포, 알 등의 독특한 형태를 갖는 반면 생물다양성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의 기능적 다양성은 수서 생태계 환경과의 관계를 잘 설명해 주었다. 따라서 생물의 형질을 이용한 기능적 다양성은 잠재적으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biological indices based on the community structure with species richness and/or abundance are commonly used to assess aquatic ecosystem health. Meanwhile, recently functional traits-based approach is considered in ecosystem health assessment to reflect ecosystem functioning.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atabase of biological traits for 136 taxa consisting of major stream insects (Ephemeroptera, Plecoptera, Trichoptera, Coleoptera, and Odonata) collected at Korean streams on the nationwide scale. In addition, we obtained environmental variables in five categories (geography, climate, land use, hydrology and physicochemistry) measured at each sampling site.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ty indices based on taxonomic diversity and functional diversity estimated from biological traits. We classified sampling sites based on similarities of their environmental variables and evaluated relations between clusters of sampling sites and diversity indices and biological traits. Our results showed that functional diversity was highly correlated with Shannon diversity index and species richness. The six clusters of sampling sites defined by a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reflected differences of their environmental variables. Samples in cluster 1 were mostly from high altitude areas, whereas samples in cluster 6 were from lowland area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displayed similar patterns with cluster analysis and presented variation of taxonomic diversity and functional diversity. Based on NMDS and community-weighted mean trait value matrix, species in clusters 1-3 displayed the resistance strategy in the life history strategy to the environmental variables whereas species in clusters 4-6 presented the resilience strate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functional diversity can complement the biological monitoring assessment based on taxonomic diversity and can be used as biological monitoring assessment tool reflecting changes of ecosystem functioning respon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 법
    1. 군집자료
    2. 환경자료
    3. 형질자료
    4. 군집지수와 기능적 형질 지수
    5. 통계 분석
결 과
    1. FD와 군집지수의 상관분석
    2. 환경 구배에 따른 유형화
    3. 환경 특성과 다양성 지수
    4. 환경특성과 기능적 형질의 관계
고 찰
    1. 군집지수와 FD의 관계와 평가
    2.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과정 간의 관계
    3. 건강성 평가를 위한 FD의 잠재적 능력
적 요
REFERENCES
저자
  • 문미영(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Mi Young Moon (Department of Biology, Kyung Hee University)
  • 지창우(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Chang Woo Ji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이대성(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Dae-Seong Lee (Department of Biology, Kyung Hee University)
  • 이다영(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Da-Yeong Lee (Department of Biology, Kyung Hee University)
  • 황순진(건국대학교 환경보건과학과) | Soon-Jin Hwa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Konkuk University)
  • 노성유(국립환경과학원) | Seong-Yu No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곽인실(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Ihn-Sil Kwak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박영석(경희대학교 생물학과, 경희대학교 나노의약생명과학과) | Young-Seuk Park (Department of Biology, Kyung Hee University, Department of Life and Nanopharmaceutical Sciences, Kyung Hee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