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濟菴 李恒茂의 공간과 글쓰기 KCI 등재

Space and Writing of Jeam(濟菴) Lee Hang-mu(李恒茂)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919
  • DOIhttps://doi.org/10.14381/NMH.2019.64.12.30.5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18세기 강우 지역은 이인좌의 난에 연루되어 叛逆鄕이라는 汚名을 쓴 후, 정 치·사회적으로 가해지는 탄압을 감내해야 했고 도덕적인 질시와 비난에서도 자 유로울 수가 없었다. 濟菴 李恒茂(1732~1799)는 바로 이 시기에 활동한 강우 지역의 처사로서, 丹城縣 培養里에서 대대로 기반을 잡고 살아온 향촌 사족 출 신이다. 본관이 합천인 데다 평생을 산청에서 살았던 제암에게, 반역향이란 汚名 은 자기 가문의 忠心을 否定당하는 치욕이 되었다.
제암은 수차례 과거에 낙방하면서 항거할 수 없는 현실의 벽을 충분히 감지하 였지만, 그 속에 골몰하거나 침체되지 않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 노력은 선조의 문집 간행을 도모하는 것, 단성 지역의 書院 및 祠宇를 건립하고 관리하는 것, 향촌 사회의 풍속과 기강을 확립하는 것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밖에 없는 그의 內的 不平은, 그것을 해소하 는 유력한 수단인 글쓰기로 표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암 문학을 ‘先賢의 공간과 結束의 글쓰기’ ‘鄕村 공간과 凝集 의 글쓰기’ ‘私的 공간과 省察의 글쓰기’로 삼분하여 분석하여, 제암에게 글쓰기 가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선조의 유지를 계승하고, 지역 선현의 권위를 확인 하고, 유학의 정신적 가치를 천명하는 유력한 수단이었음을 밝혔다. 이에 제암의 문학은 본인의 내적 불평을 해소하고 현실과 이상의 간극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의 산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e 18th century, the right side of Nakdonggang River(江右) endured political and social repression, and was not free from moral censure after being stigmatized as treasonous country for its involvement in the Lee In-jwa(李麟佐)’s Rebellion. Jeam(濟菴) Lee Hang-mu(李恒茂, 1732~1799) was a local scholar in the right side of Nakdonggang River(江右) who worked during this period, and he was a country aristocrat that had lived in Danseonghyeon(丹城縣) Baeyangli(培養里) for generations. Because the family clan was Hapcheon and lived in Sancheong all his life, for Jeam, the stigma of treason became a shame that the loyalty of his family was denied. Jeam had sufficiently felt the irresistible wall of reality while failing the state examination[Gwageo] many times, but he has made constant efforts not to be frustrated in it. The effort was to promote the publication of literary works of his ancestors, to build and manage the Seowon(書院) and ancestral shrine(祠宇) of the Danseong area, and to establish the customs and disciplines of rural community society. And the internal complaints that inevitably arise in the process were expressed as ‘Writing’, a powerful means of solving them.
In this paper, the literature of Jeam was analyzed by dividing into ‘space of ancient sages and writing of solidarity’, ‘space of rural community and writing of cohesion’ and ‘private space and writing of introspection’. For Jeam, writing was a means to reflect on his inner self, to succeed the wish of his ancestors, to confirm the authority of local ancient sages, and to declare the spiritual value of Confucianism. In this respect, the literature of Jeam can be understood as the product of efforts to resolve his internal complaints and reduce the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공간에 따른 글쓰기의 제양상
    1. 先賢의 공간과 結束의 글쓰기
    2. 鄕村 공간과 凝集의 글쓰기
    3. 私的 공간과 省察의 글쓰기
Ⅲ. 제암 문학의 특징과 가치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朴貞珉(경북대학교 한문학과) | Park Jeong-m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