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마트욕실환경을 위한 ICT융합 서비스모델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ICT Convergence Service Model for Smart Bathroom Environ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038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20.60.1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한국의 주거생활과 문화는 80년대부터 놀라운 성장을 이루어 왔다. 특히 가계소득의 증가는 대가족 단독세대의 주거문화에서 아파트의 소가족 다세대 주거형태로 변모하였다. 이처럼 주거형태의 변모는 화장실과 욕실의 공간이 실내로 들어오면서 사람들의 생활패턴도 변화를 갖게 되었다. 최근에는 고령자의 증가로 고령자의 주거형태에 대한 연구와 1인가구의 주거형 태가 많아지면서 욕실(화장실을 포함)공간의 안전성과 편의성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고령자 및 1~2인가구가 늘어나고, 개인들의 스마트기기 활용시간이 연장되면서 생리현상의 공간에서 힐링과 정보이용의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욕실 공간의 활용과 사용자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ICT기반기술을 접목한 욕실공간의 새로운 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과 진행은 20~40대의 사용자 포커스그룹(FGI)을 통하여 사용자의 요구조건과 서비스조건을 파악하고 스마트욕실에 대한 시나리오를 설계하였다. 연구내용으로 포커스그룹의 설문조사, 인터뷰, 코크레이션 워크샵을 진행하며 욕실사용에 대한 요구조건과 향후 욕실에 대한 서비스개념을 정의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ICT기반 기술의 서비스개념도를 구성하고 퍼소나 유형의 서비스 샘플과 서비스모델 시나리오를 제작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서비스시나리오의 결과에 따라 미래 욕실의 구성과 ICT기술의 융합에 대한 향후 전망을 제안하고 욕실의 사용 환경의 변화와 시설환경의 개선에 대한 전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미래에 IT기술과 스마트기기의 발전이 사람들의 시간, 공간, 장소에 차별 없이 정보를 공유하며 생활 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ICT기술이 갖추어진 욕실환경은 사용자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고 유지할 수 있는 욕실공 간의 전망을 제안하며, 특히 고령자나 1인 가구에 본 연구결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Korea's residential life and culture have grown remarkably since the 1980s.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household income has changed from the housing culture of single-family households to multi-family housing of apartments. In this way, as the space of the toilet and bathroom enters the interior, the living patterns of people have changed. Recently, as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increased, the study of the elderly's housing type and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d, which led to an interest in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the bathroom (including toilet) space. As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and 1 to 2 households increases, and the time for individuals to use smart devices is extended, it is changing from a space of physiological phenomenon to a space for healing and information use. Therefore, it is intended to propose a new environment for bathroom space that incorporates ICT-based technology by grasping the use of bathroom space and the needs of users. The research method and progress was identified through the user focus group (FGI) in their 20s and 40s, and the user's requirements and service conditions were identified and a scenario for a smart bathroom was designed. The research group conducted surveys, interviews, and collaboration workshops of the focus group, and defined the requirements for using the bathroom and the concept of service for the bathroom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service concept diagram of ICT-based technology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nd a persona type of service sample and service model scenario were produc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uture prospects for the composition of future bathrooms and the convergence of ICT technology are propo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ervice scenario. This study found that the futur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smart devices could share information and live without discrimination in people's time, space, and place. Therefore, the bathroom environment equipped with ICT technology proposes a view of the bathroom space that can protect and maintain the user's safety and health, and in particular, emphasizes the need for this research for elderly or single-person households.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1. 서론
2. 스마트욕실의 배경
3. 서비스모델 시나리오 제작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곽봉철(한국복지대학교 유니버설디자인과) | Kwag Bong Chul 교신저자
  • 김기원(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박사과정) | Kim Gi 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