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령사회에서의 배움여가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scholê' for Aged Socie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362
  • DOIhttps://doi.org/10.26734/JFE.2020.10.02.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는 배움여가의 유형과 조건을 규명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고령자의 여가 경험을 분석하여 배움 여가 용어를 통해 여가가 곧 배움이며, 여가를 통해 배움이 실천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또한 고령 자들의 여가경험을 분석하여 배움여가의 유형을 파악하고, 배움여가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6명의 고령자들을 연구참여자로 한 인터뷰를 질적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 째, 배움여가는 ‘지식습득/예술활동’, ‘사회활동’, ‘마음공부’, ‘자기관리’, ‘종교활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 가 현상을 살피고 분류하는 것은 각 활동이 배움의 특성들에 어떻게 영향을 받고, 배움이 가능한 여가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 여가를 결심하고 배움이 가능한 여가 활동을 선택 하는 데는 배움의 특성인 ‘배움의 본성’과 ‘소통’, ‘개조’가 영향을 준다. 고령자들은 배움의 본성에 따라 여가의 유용성을 인식하고 소통과 개조를 경험하면서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배움여가를 실천하였다. 셋째, 고령사회에서는 배움여가의 유용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고령자들은 늘어난 여가 시간을 가치 있게 보내 고 사회에 기여하기 위한 고민의 결과로 배움여가의 유용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천하였다. 본 연구는 배움이 가능한 여가 활동을 분석하여 배움이 곧 여가이며, 여가를 통해 배움이 가능함을 확 인하였다. 이를 통해, 초고령 사회를 목전에 둔 현 상황에서 배움여가의 필요성과 의미를 재고하고, 사회 적 차원에서 배움여가를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인식 개선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henomena, conditions of scholê through 3step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o achieve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necessary to scholê were typified, and elements and conditions behind scholê were identified. This study introduces the term 'scholê' to mean leisure in learning. Investigation on leisure in learning helped understand specific phenomena, conditions of scholê. Furthermore, the study anticipates to contribute to raising awareness on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scholê, in terms of proposing social direction for aged societ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 First, scholê were typified into knowledge acquisition/artistic activity, social activity, maum study, self-maintenance and social activity. scholê experience involved emotional states, such as attitude, manner in life. Second, selection of and decision for leisure activities were affected by characteristics of learning - natural instinct to learn, compassion and reformatting. Because the elderly pursue virtue-practicing life, they wanted valuable life and activities which contribute both to themselves and to the society. Third, if the necessity of scholê was realized and prepared for pre-retirement, people could enjoy successful retirement life. The elderly were moved to use their increased free time to search for other activities. To adjust to the change and live a successful retirement life, they decided on leisure with value. Finally, people engaging in scholê can have positive influence on individuals and society to practice virtue.
This study can propose social direction in preparation for post-aged society. It bears a grave implication for Korean society which is in fear of social problems related with aged society.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governmental policies should also change to lead peopl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cholê and to encourage them to experience it in life.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고령사회에서의 배움여가
    1. 고령사회에서의 은퇴와 여가
    2. 배움
    3. 배움여가
Ⅲ. 연구방법
Ⅲ.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 수집 및 분석
    3. 연구의 타당성 확보
Ⅳ. 연구결과
    1. 배움여가의 유형
    2. 배움여가의 조건
    3. 고령사회와 배움여가의 필요성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백혜진(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 Heijin Pa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