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주거건축 작품의 내ㆍ외부공간 특성 분석 - 젊은 건축가상을 수상한 건축사무소 작품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of Residential Building Works - Focusing on Work of Architect`s Office that Received the Award of Young Architect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8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2008년 이후 젊은 건축가상 수상작 중 주거건축의 비율이 총 203개작에서 64개로 30%의 중요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젊은 건축가들의 단독주택의 계획방향에 관한 분석을 통해 주거건축의 실질적인 공간변화에 대해 고찰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 번째, 공간구 문론 분석을 위해 기본적인 볼록공간을 설정하여 주생활 공간의 배치를 알아본다. 공간위상도에서 단위공간의 심도분석으로 각 공간의 주거공간 내부에서의 현상과 중요도를 파악한다. 두 번째, 가시영역분석을 통해 건축물의 개방도를 알아본다. 결론적으로 공간구문적 분석을 통해 주거건축에서의 내부공간의 변화된 모습과 도시내,외지역에 따라 실질적인 상황과 조건에 부 합하는 외부공간과 건축설계의 적응방법을 분석하여 향후 젊은 건축가들의 건축프로세스의 연구가 주거건축의 적극적인 사례로 변화된 계획의 방향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고, 세부적으로는 도시주거건축과 경계부의 특성을 유추하는데 도움이 된다. 주거공간 변화를 파악하고 그에 상응하는 주거건축의 설계 방향 모색과 더불어 도시 내외부의 주거건축물 집단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Since 2008, the percentage of residential architects among the winners of the Korean Young Architect Award has remained steady at 30% of the award winners (64 of the 203 winners are residential archit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spatial change of residential architecture by analyzing the planning direction of single-family homes by young architects. As a method of research, first, the basic convex space is set up for the analysis of spatial syntax. The phenomena and importance are looked into at the inside of a residential space of each space by the in-depth analysis on the unit space on the justified graph. Second,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is looked into through the analysis on the Isovist respectively. The researcher analyzed the spatial syntactic analysis of the interior space in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how the exterior space and architectural design could be adapted to meet actual living conditions of urban and non-urban areas. Based on this analysis, the researcher was able to identify the direction young architects will take when working on plans for construction processes. This research will become an active example of residential architecture in the future. It will also help future researchers infer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boundaries in detail. The research will also help identify harmonious to the change in residential spaces and the corresponding design direction of residential architecture. It will help create harmony between residential buildings in the city with those outside the city.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볼록공간과 공간위상도를 통한 도시 내/외 지역의 단독주택 평면특성비교
    3.2 볼록 공간과 공간위상도를 통한 내부공간 특성
    3.3 가시영역도를 통한 도시 내/외 지역과 외부공간의 관계 비교
    3.4 가시영역도를 통한 외부 공간 특성
4. 결론
References
저자
  • 서신애(전주대학교 건축학과) | Shinae Seo (Dept. of Archicture, Jeonj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임용민(전주대학교 건축학과) | Yongmin Lim (Dept. of Archicture, Jeonju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