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연령대별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공원환경 개선방안 KCI 등재

Improvement of Park Environment for the Promotion of Physical Activity by Age Grou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8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신체활동 목적으로 공원을 이용함에 있어 공원환경인식이 공원 이용횟수 및 이용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때 공원 이용자의 연령을 청년이용자, 중년이용자, 노년이용자로 구분하여 연령대별 이용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대구광역시 함지공원, 화랑공원, 지산공원, 용산공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466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먼저 공원환경인식 평가에서는 산책로의 경사가 가장 높게 평가된 반면, 주차장과 수공 간에 관한 항목들은 낮게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22개의 공원환경인식 항목을 요인으로 유형화 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동 적합성, 경관 쾌적성, 이용 안락성, 활동 다양성, 활동 편의성, 시설 편의성 등 6개의 환경인식 요인으로 유형화되었다. 이를 토대로 연령대별 공원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식 요인을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청년이용자는 이용 안락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석되었으며, 중년이용자는 이동 적합성, 활동 편의성, 이용 안락성, 경관 쾌적성이 노년이용자는 이동 적합성, 활동 다양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연령대별 이용특성을 고려한 활동친화적 공원을 계획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park environment on park use when people use the park to exercise. The study is focused on Hamji park, Hwarang park, Jisan park, Yongsan park in Daegu city. Statistical analyses were employed to data collected from 466 visitor on site. First of all, in the perception evaluation of park environment, slope of trail are highest, while parking lot and water space in the park are lower. After conduct factor analysis to type 22 park environmental awareness components, six main factors- Suitability for movement, Comfort of landscape, Comfort of use, Diversity of activity, Convenience for activity and Convenience of facility-were classified. Then, influence on park use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factors affecting user park use for young aged users were comfort of use. Middle aged user were influence on suitability for movement, convenience for activity, comfort of use, comfort of landscape. Old aged user were influence on suitability for movement, diversity of activity, comfort of use, comfort of landscap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park environment for activity and provide basic data for plan.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3.1 연구범위
    3.2 설문조사
    3.3 통계분석
4. 결과 및 고찰
    4.1 이용자 특성 및 공원환경인식 분석
    4.2 공원환경 인식과 공원이용과의 관련성 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슬기(경북대학교 건축학부) | Seulgi Lee (School of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정성관(경북대학교) | Sunggwan Jung (Emeritus Professor,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