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과학과 교육과정과 환경과 교육과정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for Promoting Environmental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00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과학교육에서 통합교육의 주제로 다루어지는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환경교육의 현황과 교육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상호연계성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환경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각 교과의 교육과정과 그 변천에 대한 문헌연구와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교육과정 분석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핵심역량과 교육목표를 비교하고, 과학과 및 환경과의 공통 소양 요소인 지식, 태도, 탐구, 그리고 참여와 실천의 4가지 범주를 도출하여 분석틀을 구안하고 이를 토대로 내용체계를 재구성 하였다. 연구결과 핵심역량과 목표에서 환경교과는 총론기반의 지속가능한 사회참여를, 과학교과는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소양이 강조되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내용체계에서는 환경교과가 학습자의 관점을 중시한다면 과학교과는 과학탐구자로의 자세를 강조하였으며, 내용지식의 체계를 중요시하는 과학교과에 비해, 환경교과는 학년간 경계가 거의 없이 과학개념이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나 국가 교육과정에서 교과간 내용 지식 연계성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환경교과가 참여와 실천에 목적을 둔다면 과학교과는 지속가능한 과학기술개발과 개선, 과학적 흥미와 의사결정능력을 기르는데 초점을 두고 있어 체계적인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해 과학과 및 환경과 교육과정이 상호 보완 될 필요가 있으며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탐구활동의 주제를 더욱 다양하고 통합적인 주제로 다룰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탐구 중심의 통합 교과서에서 보다 과학적 문제해결과 평생학습과 참여 역량을 강조하는 교과서로 바꿀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해 과학과 및 환경과 교육과정의 상호보완에 대한 시사점과 함께 과학교육이 환경교육의 버거운 역할을 분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Environment Curriculum,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correlation and complementarity between the two standards. For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the contents system of the two standards was reorganized based on the four categories of knowledge, attitude, inquiry, participation and practice, which are common literacy elements of science and environment, based on previous studies.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on content elements and detailed performance expect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as a difference in terms of the core competencies and goals. The Environment Curriculum emphasize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while the Science Curriculum emphasized scientific inquiry and literacy. The contents system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four literacy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attitude, both standards deal with research ethics in common. However Environment Curriculum values learners' values and views on the environment more than Science Curriculum which emphasizes the science attitude as science investigators. Second, there was a serious problem in the knowledge linkage between two standards. In same grade groups, the level of content knowledge dealt in two standards was not consistent. Third, in the inquiry aspect, the Environment Curriculum deals with interdisciplinary topics in the purposefully designed inquiry unit, whereas the Science Curriculum presents various research activities based on related science concepts in every unit. Fourth, in the participation and practice aspect, the Environment Curriculum focused on participation and practice while the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sustainabl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and improvement, scientific interest and decision-making ability.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by providing the complementary potentials between Science Curriculum and Environment Curriculum.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이론적 배경
    환경과 교육과정의 변화
    환경교육 체계
    사회 과학적 쟁점(SSI) 교육
연구 방법
    연구절차 및 분석대상
    분석틀과 연구방법
연구 결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역량과 목표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체계 비교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윤진아(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Jin-A Yoo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남윤경(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Younkyeong Nam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