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래학교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과학긍정경험과 과학 학습자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탐색 KCI 등재

Using Smart Devices in a Future School to Explore the Effects of Science Classes on Positive Science Experiences and Science Learning Ident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00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학교 연구학교인 C 중학교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과학긍정경험과 과학 학습자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미래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입학 당시와 1학년 을 마무리하는 시점에 과학긍정경험(Shin et al., 2017)을 탐색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1학년과 2학년 학생들에게 과학 수업에서의 나의 이미지를 그림으로 그리고 간단히 그림에 대해 서술하도록 하여 수정·보완된 분석틀(Luehmann, 2009)에 의거하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미래학교의 과학 수업에서 학습자 정체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을 통해 과학관련 진로포부, 과학관련 자아개념, 과학학습 정서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은 주체성과 능동성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즉각적이고 충분한 피드백 을 통해 궁금한 것을 해결하고,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의미 있는 인식을 경험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데 미숙한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적지 않은 부담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이루어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다양한 수업 맥락을 구상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science classes on positive science experiences and science learner identity, using smart devices in a future school: C middle school. We conducted a paired t test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first school year with first-grade students at the future school to investigate positive experiences with science (Shin et al., 2017). Additionally, first and second-grade students in future schools using smart devices wrote and drew their own depictions in science classes to explore science learner identity, based on a modified analytical framework (Luehmann, 2009). The results show that significant effects on science-related career aspirations, self-concepts, and academic emotions were produced by science classes using smart devices. Science classes using smart devices helped students improve their level of agency and activity, solve problems with immediate and sufficient feedback, and experience meaningful per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On the other hand, if students were immature in terms of their use of smart devices, they felt pressured to participate in the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designing various classroom contexts for the use of smart devices.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방법
    1. 연구의 맥락
    2. 자료 수집
연구 결과
    1. 과학긍정경험
    2. 과학 학습자 정체성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유은정(한국교육과정평가원) | Eun-Jeong Yu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Corresponding author
  • 김경화(창덕여자중학교) | Kyung Hwa Kim (Changdeok girls' Middle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