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성마약 사용자들의 교정시설 생활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Colaizzi의 체험적 현상학적 연구접근 - KCI 등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Residence in Prison with Male Drug Addicts - Colaizzi’s Experiential Phenomenological Approach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03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본 연구는 교정시설에 수감되어 있는 남성 마약사용자들의 교정시설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마약사용으로 수감 중인 연구 참여자의 교정시설 체험에 대한 의미와 본질의 구조 등을 밝히고 이에 근거한 마약사용자들의 재활정책과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하는 연구 목적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는 교정시설에 수감 중인 9명의 마약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여 자료를 구성하였다. 원 자료는 Colaizzi가 제시한 체험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53개의 주제가 구성되었고 이를 12개의 주제로 결집하였다. 12개 주제는 새로운 마약세계의 학습, 도구적 우정으로 서로 묶임, 분리처우에 대한 반발, 낙인의 지속적 강화, 인위적인 마약단절의 장, 자기 속죄의 기회, 사회적 관계기술의 학습, 종교와의 조우, 자립의지의 지속적 강화, 마약에 대한 인식오류의 극복, 가족으로 귀환하는 화해의 다리확보, 서로가 지지하는 비공식적 치료공동체로 타났다. 연구자들은 이를 순기능과 역기능 그리고 결과에 재배치하였고 이에 대한 공통의 경험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12개 주제를 Corbin과 Strauss(2014)가 제시한 패러다임 모델에 배열하여 참여자들의 교정시설 체험에 구조와 관계를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연구 자들은 자기낙인, 가족의 지지, 교정시설의 치료공동체화에 대한 논의를 하였고 이에 대한 교정정책 차원에서의 제언을 했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prison experience in male addicts in pri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tructure of the meaning and nature of prison experience in research participants and suggest the rehabilitation policy and practice of narcotic addicts based on the results. Nine addicts in pris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construct data. An experiential-phenomenological method proposed by Colaizzi was used to approach raw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Data analysis found 53 themes and 12 theme clusters. 12then is learning of new drug word, bounded with each other in instrumental friendship, Resistance to the seperational treatment, field of artificial severance, opportunity of expiate, learning of social relationship skill, encounter with religious, continuous reinforcement of independence willing, overcoming of cognitive error about drugs, securement a bridge for return to the family, informal therapeutic community as mutual support Researchers rearranged them in function, dysfunction, and consequence and described common experience about them. Then, 12 themes were arranged in the paradigm model proposed by Corbin & Strauss and participants’ structure and relationship of prison experience were analyzed and described. Based on the findings, discussions were made on self-stigma, family support, and the therapeutic community of a prison. Finally, detailed practice was suggested in the dimension of correctional policy.

목차
국문요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유숙경(조선대학교 중독재활복지학과) | Yoo Sukgyeong (Psychological Treatment Team Security Division Gwangju Prison)
  • 류진선(조선대학교 정치학과) | Ryu Jinsun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Diploma, Chosun University)
  • 이경원(광주교도소 보안과 심리치료팀) | Lee Kwyeongwon (Psychological Treatment Team Security Division Gwangju Pri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