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환경생태적 평가 등급과 대기오염물질 농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KCI 등재

Correlation Analysis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sessment Rating and Atmospheric Pollutant Concent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2068
  • DOIhttps://doi.org/10.16879/jkca.2020.20.1.1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국토의 환경생태적 평가 등급과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도시대기 측정망의 대기오염물질들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환경생태적으로 우수한 지역이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 라 전체 260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측정된 환경부 도시대기 측정망 자료와 보간법 중 하나인 IDW를 적용하여 2013년부터 2018년까지의 각 시군구별 대기오염물질 평균 농도와 환경생태적 평가 등급의 면적 비율과의 피어슨 상관분석을 수행했다. SO2, CO, NO2, PM10, PM2.5의 농도 값은 환경생태적으로 우수한 지역인 1등급의 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상대적으로 음의 상관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대로, 환경생태적 평가등급이 낮은 5등급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오히려 대기오염물질과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즉, 환경생태적으로 우수한 지역의 비율이 높을수록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가 낮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았다. 이는 녹지 중에서도 환경생태적으로 우수한 녹지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대기오염물질 의 농도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국민의 건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환경생태적 우수지역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향후 도시계획 단계에서 환경생 태 우수지역과 연계된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오염물질들의 특성 및 환경생태적 우수지역의 패치 면적, 패치 분포 등 다양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상관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결과를 국가 정책에 반영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sessment rating of the land and the urban atmospheric pollutant concentrations measured by the urban atmospheric monitoring network provided by Air Korea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t also intends to examine whether the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excellent areas affect the reduction of air pollutant concentrations. This study performs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average atmospheric pollutant concentrations in each of 260 municipalities in Korea obtained by applying IDW, which is one of the interpolation techniques, using the urban atmospheric measurement network data from 2013 to 2018, and the area ratio of each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sess rating in the municipality from 2013 to 2018.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SO2, CO, NO2,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had a higher negative correlation when the ratio of Grade 1 areas, which were considered as the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excellent areas, was higher. The negative correlation decreased as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sessment rating was lowered, and the regions with a higher ratio of Grade 5 areas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The atmospheric pollutant concentrations were lower as the ratio of Grade 1 areas was higher, and the atmospheric pollutant concentrations were higher as the ratio of Grade 5 areas was higher. The results confirmed that, even in the same green regions, the atmospheric pollutant concentrations decreased as the ratio of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excellent areas increa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sufficient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excellent areas to reduce the atmospheric pollutant concentrations that affect the people’s health, and the urban plans should address the management of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excellent areas. Future studies include the additional correlation analysis with various factors such as the patch area and patch distribution in the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excellent areas. The analysis result should be reflected in the national policies.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활용 데이터 및 연구방법
    1. 대기오염측정망의 대기질 정보
    2.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생태적평가
    3. 환경생태적 평가 등급과 대기오염물질 농도의 상관분석
III. 결과 및 고찰
    1. 상관 분석 결과 및 고찰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근한(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Geunhan Kim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강선아(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Suna Kang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한지현(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 | Jihyun Han (National Air Emission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