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식용 코팅 및 허들기술이 수산물의 품질 유지와 저장성 연장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Edible Coating and Hurdle-Technology on Quality Maintenance and Shelf-Life Extension of Seafo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48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논문은 수산물에 사용되는 식용 코팅의 다양한 천연 성분에 대한 소재 및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화학적 항균 물질 및 항산화제와 물리적 살균 기술을 병합한 허들 기술(hurdle technology)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다양 한 원인으로 인한 식중독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주된 원인은 오염된 식품의 섭취와 관련이 있다. 특히, 식품 중에서도 수산물은 수분함량이 많고 미생물에 오염되기 쉽기 때문에 저장 기한이 짧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 로 여러 가지 대안들이 적용되고 있는데, 가식성을 가지 고 독성이 없는 장점을 가진 식용 코팅이 주목을 받고 있다. 식용 코팅은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수분 손실을 지연시킴으로써 수산물의 품질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항균 물질 및 항산화제를 첨가하거나 물리적인 살균 기술과도 병합할 수 있다. 하지만 식용 코팅과의 병합 처리 기술이 소수 보고되고 있어 다양한 허들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Foodborne diseases occur frequently and have various being related to the intake of contaminated foods. Seafood products are susceptible to contamination due to higher water content and microorganisms, which combine to give them a short shelf-life. Various approaches have been applied to overcome this problem. Edible coatings that are also biodegradable and biocompatible have been discussed as one of the applicable solutions. These coatings can actually help to maintain seafood quality by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and delaying the loss of moisture. This paper presents the effects of various natural bio-polymers, antimicrobial substances and physical sterilization techniques such as gamma irradiation, ultraviolet (UV) sterilization, and light-emitting diode (LED) sterilization on seafood coatings.

목차
ABSTRACT
식용 코팅에 이용되는 소재 및 특성
    다당류
    단백질과 지질
코팅에 적용되는 허들 기술(hurdle technology)
    항균 물질과 항산화제
    물리적 살균 기술
Conclusion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백지혜(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Ji Hye Baek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ookmin University)
  • 이소영(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So-Young Le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ookmin University)
  • 오세욱(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Se-Wook Oh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ookmin University)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