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등부표 접촉사고 발생의 위험성 평가에 관한 기초 연구 - 부산항신항 해역을 중심으로 - KCI 등재

Risk Assessment for Contact Accident of Buoy - Focusing on Busan New Port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487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rch (한국항해항만학회지)
한국항해항만학회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초록

해상등부표는 선박 통항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시설로 파손 및 유실되는 경우 예상치 못한 예산 지출뿐 아니라 등부표 운용이 불 가능해짐에 따라 선박 통항 안전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역의 교통흐름을 반영할 수 있는 해상교통평가지표를 적용하여 등부표 접촉사고의 위험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평가대상 해역을 등부표 설치기수가 많고 등부표 접촉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부산항 제5항로로 설정하고, 대상해역의 등부표 접촉사고 현황을 조사했다. 그리고 해상교통평가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 해상위험평가도구인 IALA Waterway Risk Assessment Programme(IWRAP MkⅡ)와 Potential Assessment of Risk Model(PARK Model)를 활용하여 등부표 접촉사고 발생의 위험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 마산항 입출항 선박과 부산항신항 입출항 선박으로 교통흐름이 복잡한 경계해역 인근에 위치한 등부표와 항로를 따르지 않는 선박들이 항로를 가로지르는 운항패턴을 보이는 가덕수도 입구 인근에 위치한 등부표, 부산항신항 내항항로의 방파제 인근에 위치한 등부표가 접촉사고 위험성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등부표 사고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통합 모델을 만드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추후에 다양한 해역의 접촉사고 위험성을 평가하고, 미래교통량을 추정·적용하여 등부표 신설 시 안전한 등부표 설치 위치를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Buoys ar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safety of vessel traffic. However, if the buoy becomes inoperable from damage and loss, it can have significant impact on vessel traffic safety as well as unexpected budget spe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isk of accidental contact by applying the marine traffic assessment index that can reflect the traffic flow in the sea area. First, Busan Port No. 5 fairway, with a high number of buoys and many contact accidents, was set as the sea area for assessment.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accidental contact and evaluate risk of contact accidents based on the IALA Waterway Risk Assessment Programme (IWRAP MkⅡ) and Potential Assessment of Risk Model (PARK Model). As a result, buoys are near the Precautionary Area wherein the traffic flow was complicated by the Masan port vessel and Busan new port vessel, and buoys are near the entrance of the Gadeok waterway, wherein vessels show a pattern of navigation across the fairway and buoys are near the breakwater in the inner fairway were considered as high risk for contact accident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n integrated model to evaluate the risk of buoy contact accident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등부표 접촉사고 위험성 평가 조건 설정
    2.1 대상해역 설정
    2.2 대상해역의 교통흐름 분석
    2.3 대상해역 등부표의 선회반경 산출
3. 등부표 접촉사고 위험성 평가
    3.1 등부표 접촉사고 분석을 통한 위험성 평가
    3.2 IWRAP MkⅡ를 활용한 위험성 평가
    3.3 PARK Model을 활용한 위험성 평가
3.4 소결론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이명기(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 Myoung-ki Lee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School,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박영수(한국해양대학교 해사수송과학부) | Young-Soo Park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정해상(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Hae-Sang Jeong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국승기(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찰학과) | Seung-Gi Gug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