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핵심자기평가(CSE)가 개인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친사회적 발언행동의 매개효과 - KCI 등재

The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CSE) on Individual Creativity. - The Mediating Effect of Prosocial Voice Behavior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4896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20.27.2.1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4차 산업혁명 도래와 급변하는 환경 여건에 직면해서 현대사회의 조직구성원은 그 어느 때보다 복잡성 과 불확실성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예측 불가능한 환경 맥락적 요인들 속에서 독창적 문제발견과 실행적 해결과정을 통해 환경적응력과 생존가능성을 극대화하려는 창의‧혁신‧제고 노력은 개인 발달과 조직 성장 및 국가발전 모두에 필요한 지속발전 가능성과 원천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자원으로 간주되고 있다(Craft, 2005). 이렇듯 창의성은 인간의 생존과 관련되어 있다. 창의성은 개인이 직면한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고 사회 경제 발전에 매우 중요한 자원이다. 이러한 점에서 인간의 삶의 질 향상과 인류 발전은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최병연, 2017). 전 세계적으로 창의성이 주요 담론으로 확고히 자리잡으면서 사회 각 분야에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으며 현재 국가사회가 당면중인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 활용돼야 할 도구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핵심자기평가가 개인 창의성, 친사회적 발언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친사회적 발언행동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핵심자기평가와 개인 창의성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핵심자기평가는 개인 창의성, 친사회적 발언행동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사회적 발언행동은 개인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심자기평가와 개인 창의성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핵심 자기평가가 개인 창의성을 발휘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이 되며, 친사회적 발언행동이 핵심자기평가와 개인 창의성 관계에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일으킨다는 점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다.

In the face of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rapidly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employees of the organization of modern society are more exposed to complexity and uncertainty than ever before. In the midst of these unpredictable environmental contextual factors, efforts to enh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to maximize environmental adaptability and viability through original problem discovery and implementation processes are considered key resources to ensur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ource competitiveness, both for personal and organizational growth and national development (Craft, 2005). As such, creativity is related to human survival. Creativity helps solve problems facing individuals and is a very important resource for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is regar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human life and the development of mankind are based on creativity. Thus, with creativity firmly established as a major discourse around the world, interest is mounting in various sectors of society and is emerging as a tool that should be actively used to solve the problems facing the nation. In this study, 400 employees were surveyed to find out how core self-Evaluation affects individual creativity and Prosocial voice behavior,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Prosocial voice behavior, the analysis results were verified by analyzing the mediated effects of core self-Evaluation and Individual creativity relationships. The core self-Evalu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individual creativity and prosocial voice behavior. Prosocial voice behavior was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creativity and to have a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self-Evaluation and Individual creativity.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core self-Evalu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xercise of individual creativity, and that prosocial voice behavio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xercise of Individual creativity.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핵심자기평가의 개념
    2. 핵심자기평가와 개인 창의성
    3. 핵심자기평가와 친사회적 발언행동
    4. 친사회적 발언행동과 개인 창의성
    5. 친사회적 발언행동의 매개효과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타당도와 신뢰성
    2. 상관관계 분석
    3. 가설검증
Ⅴ. 결론 및 토의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해석
    2.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나희(부경대학교 경영대학) | Kim Na Hee
  • 김일(부경대학교 경영대학) | Kim Li
  • 류태모(부경대학교 경영대학) | Ryu Tae Mo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