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성과작업시스템의 도입요인, 구성 관행, 그리고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최근 국내 실증연구의 분석 KCI 등재

The Analysis of Empirical Researches on the Antecedents, Practice and Managerial Impacts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4897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20.27.2.1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논문은 고성과작업시스템과 관련된 국내의 실증연구를 주요 연구경향인 고성과작업시스템의 도입 요인, 구성 관행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이라는 틀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정리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1990년대 후반부터 국내 주요 학술지에 발표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분야의 문헌연구 6편을 살펴보았다. 선행 문헌연구를 참고하여 2000년부터 2019년 최근까지 국내 인적자원관리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 5개(경영학연구, 인사조직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산업관계연구)에 게재된 고성과작업시스템에 관한 논문 중에서 개별 관행이 아닌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전체(HR Bundle)를 다루고 있는 34편의 실증논문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로 고성과작업시스템의 구성 관행은 Pfeffer(1998) 가 제시한 7개의 관행(신중한 선발관리, 광범위한 교육훈련, 성과와 연계한 보상, 고용보장, 지위격차의 해소, 정보공유, 자율관리팀과 의사결정의 분권화)을 바탕으로 크게 숙련형성, 동기부여, 참여기회로 구분해서 살펴보았다. 이어서 고성과작업시스템의 도입을 저해하거나 촉진하는 요인들에 대해서 분석했다. 경영성과는 인적자원산출물, 조직산출물, 재무회계산출물과 자본시장산출물을 기준으로 분류해 보았으며,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서 조직성과에 기여하게 되는지를 과정요인과 상황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강성춘·박지성·박호환(2011)에서 향후 연구과제로 제안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조직수준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고성과작업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개인수준까지 확대되어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고용형태별 차이 등을 고려한 상황적 특수성을 반영하려는 노력도 시도되고 있었다. 둘째, 고성과작업시 스템과 관련된 대다수의 연구에서 빈번하게 언급되고 있는 구성 관행이나 경영성과 요인이 실제 기업에서 우선순위를 두는 방향과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이주형·이영면(2010)의 연구에서 한계로 언급했던 재무적 산출물 중심의 경영성과지표는 변함이 없었으나, 최근에 연구에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재무성과로 이어지기까지의 경로가 멀다는 인식하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보다 두드 러진다. 넷째, 많은 연구에서 동일방법편이와 함께 횡단연구의 한계점을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지만 실제로 종단연구는 많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고성과작업시스템이 한국적 특수성과 국내기업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여 계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으로 요약될 수 있다.

This thesis analyzes and summarizes domestic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HPWS) in the framework of HPWS introduction factors, composition practices, and its impact on management performance, which is a major research trend. To do so, six literature studies in the field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published in major domestic academic journals in the late 1990s and onwards was first reviewed. Referring to the prior literature research, 34 empirical papers covering the holist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HR Bundle), not individual practices, were analyzed among the papers on HPWS published in the five leading journals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Korea (Korean Management Review,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from 2000 to as recent as 2019. Specifically, first, composition practices of HPWS were reviewed by dividing them into skill formation, motivation, and participatory opportunities, based on the seven practices presented by Pfeffer (1998) (selective hiring of new personnel, extensive training, comparatively high compensation conting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employment security, reduced status distinctions and barriers, extensive sharing of financial and performance information, self-managed teams and decentralization of decision making). It then analyzed the factors that hinder or facilitate the introduction of HPWS. Management performance was classified based on human resource outcomes, organizational outcomes, financial or accounting outcomes, and capital market outcomes, and process factors and situation factor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in which mechanism HPWS contributes to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e following less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erived. First, as proposed by Kang Sung-Chun, Park Ji-Sung, & Park Ho-Hwan (2011) for future research tasks, researches on HPWS, which were centered on organizational level,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down to the individual level,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reflect the situation-specific context considering differences in employment types. Second, composition practices or management performance factors that are frequently mentioned in the majority of studies related to HPWS may differ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prioritized by the companies in the real business world. Third, although the financial output-oriented management performance indicators mentioned as limitations in the study of Lee Ju-Hyung and Lee Young-Myon (2010) remains unchanged, recent studies show that various attempts to identify mechanisms that affect the recognition that HPWS has a long path to financial performance is more prominent. Fourth, although many studies commonly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cross-sectional studies along with the common method bias, there were not many longitudinal studies in practice, and finally,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research on how HPWS is being implemented in domestic enterprises, given specific Korean context, is relatively insufficient, requiring continuous effort.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선행연구의 검토
Ⅱ. 국내 실증연구의 분석
    1. 분석의 대상과 모델
    2. 고성과작업시스템의 구성 관행
    3. 고성과작업시스템의 도입요인
    4. 경영성과의 측정요인
    5. 경영성과의 영향요인
Ⅲ. 요약 및 논의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조은미(한국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경영학과) | Cho Eun Mi
  • 이영면(동국대학교 -서울 경영대학) | Lee Young My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