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백암 성총(栢庵性聰)의 정토사상과 시적 형상화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Thought of Baekam Seongchong and Its Poetic Express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53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 후기의 백암 성총(栢庵性聰, 1631~1700)의 사상 특징과 그것이 그의 시문학 세계에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백암 성총은 부휴 선수(浮休善修, 1543~1615)- 벽암 각성(碧巖覺性, 1575~1660)-취미 수초(翠微守初, 1590~1668)로 이어지는 법맥을 계승하고 있다. 『화엄경소초』, 『금강경간정기』, 『기신론필 삭기』등을 간행하여 교학발전에 크게 공헌하기도 하였던 성총은 선과 교학을 두루 섭렵한 종장으로 화엄, 천태, 정토 등 불교 전반에 해박하였으며, 송광사, 징광사, 쌍계사 등지에서 강석을 펴서 후학을 지도하였다. 또한 성총은 외전에도 능통했고 시문을 잘 지어 당시의 명사들과 잦은 교유를 하였다. 김문곡, 정동명, 남호곡. 오서파, 최동강 등은 그 대표적인 인물이다. 특히 1686년(56세)에 정토신앙 지침서인 『정토보서』를 펴내기도 하였던 성총은 말년에는 정토신앙에 더욱 깊이 침잠하여 『백암정토찬』을 펴냈다. 이는 『정토보서』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성총신의 구도와 깨달음의 세계를 잘 표현한 것으로써, 그의 정토사상과 시적 상상력과의 절묘한 조화를 보여주는 압권의 시집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백암 성총의 사상의 특징과 그것이 그의 시문학 세계에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 백암 성총의 핵심 사상이라 할 수 있는 정토사상과 그것의 시적 형상화를 『백암정토찬』을 중심으로 1) 구도와 깨달음의 시, 2) 극락정토 예찬의 시, 3) 아미타불 신심의 시 세계를 조명하고, 그것이 우리에게 던져주는 메시지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Jeongto thought of a great master, Baekam Seongchong(1631~1700) and its being projected into and expressed in his poetic world, based on BaekamJeongtochan(the collection of Baekam Seongchong's poems), which praises a Pure Land's Beauty and stresses the merit of chanting Amitabha Buddha. Succeeding to the dharma-linage of BuhyuSeonsu (1543~ 1615)-Byeokam Gakseong(1575~1660)-ChwimiSucho(1590~1668), Baekam Seongchong led the Buddhist community in the later of the Joseon Dynasty by publishing Hwaeomgyeongsoch, Geumganggyeongganjeonggi, Giironpilsakgi, etc. Also, Baekam Seongchong produced so many gem-like poems based on Jeongto(Pure Land) thought and outstanding poetic talent and imagination. Its chief product is BaekamJeongtochan, which contains his ascetic practice and Seon-mind of enlightenment. The focal point of Baekam Seongchong's poetic expression is the merit of Yeombul(念佛) or recitation of Buddha’s name. It contains the practice of combination of chanting the name of Buddha and meditation to be reborn in the Pure Land or the Realm of Utmost Bliss. Actually, Baekam Seongchong praised and expressed the Pure Land in more brief and vivid poetic diction. Therefore, his thought of rebirth in Pure Land by chanting the name of Amitabha and his poetic imagination are lyrically well depicted in BaekamJeongtochan. On other hand, Baekam Seongchong’s poetry was produced in the course of ascetic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attaining enlightenment as well as from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mountainous life and the compassion for sentient beings. In brief, BaekamJeongtochan is so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his deep faith in 'Pure Land both by the exquisite combination of his outstanding poetic talent and the very 'praising of Pure Land', that is, his attaining samadhi by concentration of invoking the name of Amitabha Buddha.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II. 백암 성총의 법맥과 사상의 특징
    1. 백암 성총의 법맥
    2. 백암 성총 사상의 특징
III. 백암 성총의 시적 세계의 양상
    1. 경절문과 염불문의 조화로운 시 세계
    2. 극락정토 예찬의 시 세계
    3. 아미타불에 대한 돈독한 믿음의 시 세계
    4. 정토왕생 수행의지의 시 세계
IV.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손민정(진단전통예술보존회) | Son Min Jeong (Jindan tradition art preservatio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