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루카치의 리얼리즘 예술론에 근거한 일상(日常)이 반영된 미메시스(mimesis)적 대상으로서 산업디자인에 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Industrial Design as Object of Mimesis Reflecting Daily Life Grounded on the Realism Arts Theory of G. Luká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5334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20.61.0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오늘날 디자인과 사회 또는 디자인과 인간의 관계는 “현실성”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나아가 물질과 정신이라는 의미론적 구분을 통해 디자인의 의미와 본질이 규명되고 있다. 특히 사물이 생성되는 과정에 사건으로서의 “현실성”이 개입됨으로써 디자인은 “이해의 대상” 또는 “현재의 구성 요소”로 인식되기에 충분한 것으로 여겨진다. 나아가 디자인이 개발되기 위해서는 인간과 환경으로부터 요구되는 “필요”가 반영됨으로써 독자성을 상실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디자인을 독립적 대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무모한 것이며, 관계성이 전제된 전일주의(holism) 관점에서 ”현실성“에 근거한 탐색이 의미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 제 2단원에서는 마르크스주의 사상가인 루카치의 사유의 개념인 리얼리즘과 그로부터 비롯된 예술론에 관계된 5가지(총체성, 특수성, 카타르시스와 유적인 것, 상징)의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제 3단원에서는 5가지 개념을 기반으로 디자인과의 관계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디자인이 리얼리즘적 대상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향후 산업디자인은 더욱 구체적이며 사실적인 일상적 미메시스를 상정(上程)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Today,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society, or that between design and humans, is discussed around “realism.” Furthermore, the semantics-based distinction between material and mind reveal the meaning and essence of design. In particular, as “realism” as an event intervenes in the process in which objects are generated, design is considered as sufficient to be perceived as an “object of understanding” or “component of the present.” Another fact to consider is that in order for design to be developed, the “needs” of humans and the environment are reflected, leading to the loss of independence. As such, the attempt to understand design as an independent element is reckless; here, exploration based on “realism” gains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holism predicated by relationships. In response to this consideration, Chapter 2 of the current study examines realism, the thought concept by Lukacs, a Marxist thinker, as well as the derived five concepts related to art theory (totality, distinctiveness, catharsis, essential things, symbolism). Based on this analysis, Chapter 3 studies the relationship with design based on the five concepts. This confirms that design is a realistic object, which leads to the prediction that industrial design will assume mimesis of daily life that is more specific and realistic.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1. 서론
2. 루카치의 리얼리즘(realism)
3. 리얼리즘 관점에서의 산업디자인
4.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최성운(대진대학교 디자인학부) | Choi Sung W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