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alysis of Public Garden Awareness in Citizen Gardener Training Course KCI 등재

시민가드너 양성교육 과정에서 나타난 공공정원 인식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54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공공정원이 현대도시의 새로운 영역으로 등장하며 시민가드너 양성교육이 확대되는 현상에 주목하여, 시민가드너 교육 참가자, 참여의향자, 일반시민으로 집단을 구분하여 도시정원에 대한 이미지와 효과 및 공동체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교육 의의 및 활성화 방안을 함께 고찰하였다. 24개 형용사 어의구별척도를 이용한 도시정원 이미지 평가 결과, 자연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친숙한, 정서적인” 등의 어의변수와 정원활동에 대한 태도를 나타내는 “상호교류적인, 적극적인”, 그리고 공간적 평가와 관련된 “확장적인, 자율 적인” 이미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치를 보였다. 교육참 가자는 “자율적인, 지속적인” 등의 어의변수를 높게 평가하여, 도시정원의 형태나 디자인보다는 유지관리와 지속성을 중시함을 알 수 있었다. 주성분분석에 의한 요인분석 결과로부터 교육참가자 집단의 요인적재값을 중심으로 요인별 특성을 파악하면, 잠재적(Potential) 차원의 1 요인은 “도시정원의 공공적 역할과 공동체성”, 평가적(Evaluative) 차원의 2 요인은 “공공조경으로서의 차별성”, 활동적(Active) 차원의 3 요인은 “미적 체험성”으로 명명할 수 있었다. 도시정원 효과에 대해 교육 참가자일수록 사회적, 환경적 측면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공동체의식지표 평균값(3.4)은 잠재참가 집단(3.31)과 일반시민 집단(2.69)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공공성 인식 상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시민가드너 교육이 정원식물 지식 습득의 의미를 넘어 평생교육이나 공동체 활동으로 인식 된다는 점에서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의 체계화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Focusing on the significant changes in interpretation of public gard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image, effect and communality by analyzing the perceptional difference in urban garden between garden education participants, potential participants, and general citizen group. Principal images were “familiar, affective” (relationship with nature), “progressive, sociable” (attitude toward garden activities), “expansive, autonomous” (spatial evaluation), using 24 adjectives representing urban garden image. Through factor analysis by principal components based on the factor loadings of education participants group, factor 1 could be named “Public Role and Communality of urban garden” (Potential Dimension), factor 2 explains “Differentiation as a Public Landscape” (Evaluative Dimension), and factor 3 as “Aesthetic Experience” (Active Dimension). In particular, participants were more aware of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effects of urban garden, and the average value of communality index was higher than that of potential participants (3.4 & 3.31) and general citizens (2.69). The urban garden can play a social, environmental, economical role being recognized as lifelong education or community activities beyond just acquiring knowledge. The significance of citizen gardener education could be reaffirmed and needed to systemize for continuity.

목차
Abstract
서 언
연구방법
    연구대상
    도시정원에 대한 인식 측정도구
결과 및 고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도시정원 이미지의 형성요인 해석과 집단 간 비교
    도시정원 효과의 유형별 특징과 집단간 차이
    시민가드너 교육과 공동체의식의 관계
    시민가드너 교육 이후의 활동 변화와 지속가능성
초 록
References
저자
  • Joo Young Park(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귀농귀촌종합센터) | 박주영
  • Tae Ho Han(전남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 한태호
  • Tong Buhm Cho(전남대학교 조경학과) | 조동범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