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췌관선암종이 동시에 동반된 췌장의 장액낭선종양 1예 KCI 등재 SCOPUS

A Serous Cystic Neoplasm of the Pancreas with Synchronous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65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췌담도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Korea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초록

장액낭성종양(serous cystic neoplasm)은 1978년 Compagno와 Oertel에 의해 처음으로 분류되었으며, 췌장낭성종양(pancreatic cystic neoplasm) 중 10-16%의 빈도를 나타낸다. 장액낭성종양은 악성화의 위험성이 있는 점액낭성종양(mucinous cystic neoplasm)이나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IPMN)과는 달리 악성화의 위험성이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장액낭성종양은 일반적으로 고립 병터로 발견되며 췌장의 다른 낭성종양, 만성 췌장염, 췌장암과 같은 췌장 병변과 같이 존재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그중에서도 췌관선암종(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이 동반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고이형성 췌장상피내종양(pancreatic intraepithelial neoplasm, PanIN)이 동반된 장액낭성종양과 인접한 위치에 췌관선암종이 동시에 발견된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Serous cystic neoplasm (SCN) represents 10–16% of cystic pancreatic lesions, first classified by Compagno and Oertel at 1978. In contrast to mucinous cystic neoplasm or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of pancreas which have malignant potential, SCN is thought to be exclusively benign as solitary lesion in nearly all cases. There has been rare reported association between the SCN and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and few cases were documented their coexistence. In this report, we present the case of SCN of the pancreas with literature review in which synchronous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and pancreatic intraepithelial neoplasm coexist together.

목차
서 론
증 례
고 찰
요 약
REFERENCES
저자
  • 박현진(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Hyun Jin Park (Departments of 1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황준성(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Jun Seong Hwang (Departments of 1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고성우(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Sung Woo Ko (Departments of 1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소훈섭(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Hoonsub So (Departments of 1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권재우(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Jae Woo Kwon (Departments of Surger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송태준(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Tae Jun Song (Departments of 1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