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 운영 현황에 대한 기초 탐색 연구 KCI 등재

A Basic Exploration Study on the Status of Maker Education Based on Percep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684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는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 운영 현황을 탐색 하는 것이다. 이에 초·중등 교육 현장에서 메이커 교육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메이커 교육 관련 교원 연수, 학교 내 인적 지원, 학교 내 물리적·재정적 지원 측면에서 인식을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교사들이 초·중등교육 현장에서 메이커 교육을 운영하게 된 동기는 ‘교육 현장의 요구’와 ‘미래 인재의 양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이커 교육 활동 방법은 대부분 ‘코딩 방법 및 아두이노 사용 방법 교육’으로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이커 교육 관련 지원 정도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메이 커 교육 관련 교원 연수에 대한 인식은 ‘교원 연수 프로그램 부족’, ‘교원 연수 프로그램 내용 개선 필요’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내 인적 지원에 대한 인식은 ‘관심의 부족’, ‘메이커 교육에 대한 부정 적 인식’, 학교 내 물리적・재정적 지원에 대한 인식은 ‘활동 공간 부족’, ‘장비, 도구 부족’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교사들의 인식에 기반한 메이커 운영 현황 탐색 결과를 바탕으로 공 교육 내 메이커 교육 도입 및 확산 방향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maker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sites based on teachers' perceptions. For this reason,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teaching maker education at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ites and looked at their perceptions in terms of teachers' training related to maker education, human support in schools, and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in school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motivations behind teachers' management of maker education at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ites were ‘requirements on education sites’ and ‘cultivation of future talents,’ while most of the methods of maker education activities were conducted with ‘coding methods and how to use Arduino.’ The survey of the degree of support related to maker education found that perceptions of teacher training related to maker education were the ‘lack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need to improve the contents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that teachers’ perceptions of human support in schools were that there was a ‘lack of interest,’ and ‘negative perception of maker education. With respect to the teachers’ perceptions of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in schools it was noted that there was a ‘lack of active space,’ and a ‘lack of equipment and tool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exploring the status of maker education based on teachers' perceptions, implications of introducing and spreading maker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are discussed.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1. 연구 대상 및 설문 방법
    2. 설문 문항 개발
    3. 설문 응답 분석
Ⅲ. 연구 결과
    1. 메이커 교육 운영 동기 및 내용
    2. 메이커 교육 관련 지원 정도에 대한 인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윤지현(단국대학교) | Yoon Jihyun (Dankook University)
  • 조성호(단국대학교) | Cho Sungho (Dankook University)
  • 황윤서(한국교원대학교) | Hwang Yunseo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진수(한국교원대학교) | Kim Jin-Soo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태영(한국교원대학교) | Kim Taeyou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강성주(한국교원대학교) | Kang Seong-Joo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