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실사 기반 VR 콘텐츠의 감성 반응 연구: 360 제품 이미지를 중심으로 KCI 등재

Study on the Emotional Response of VR Contents Based on Photorealism: Focusing on 360 Product Im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71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정보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제품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이 오프라인과 2D중심에서 온라인과 3D로 이동하면서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실물이 부재된 온라인 공간에서 단순히 제품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소비자에게 가상의 체험을 제공하면서 온라인 쇼핑의 다변화 및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360 제품 이미지는 피사체를 회전시켜 촬영하여 대상을 다양한 시점에서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실사 기반의 VR이다. 360 제품 이미지는 기존의 정지 이미지와 비교하여 대상물에 대해 풍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360 제품 이미지는 다양한 제작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의 반응에 차이가 있으나 기술의 역사가 짧은 만큼 관련 연구 또한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60 제품 이미지의 제품의 형태와 소스 이미지의 수에 따라 변하는 이용자의 반응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쇼핑몰에서 많이 접할 수 있는 상품군 중 대표적인 제품들을 선정하여 360 제품 이미지를 제작하고 75인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의미분별법을 적용한 실험 설문을 통해 360 제품 이미지에 대한 감성 반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360 제품 이미지에 대한 수용자의 감성을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Give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various methods for efficient information delivery have been constructed as the method of delivering product information moves from offline and 2D to online and 3D. These attempts not only are about delivering product information in an online space where no real product exists but also play a crucial role in diversifying and revitalizing online shopping by providing virtual experiences to consumers. 360 product image is a photorealistic VR that allows a subject to be rotated and photographed to view objects in three dimensions. 360 product image has also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considering that it can deliver richer information about an object compared with the existing still image photography. 360 product image is influenced by divergent production factors, and accordingly, a difference emerges in the responses of users. However, as the history of technology is short, related research is also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grasp the responses of users, which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products and the number of source images in the 360 product image process. To this end, a representative product among the product groups that can be frequently found in online shopping malls was selected to produce a 360 product image and experiment with 75 users. The emotional responses to the 360 product image were analyzed through an experimental questionnaire to which the semantic classification method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and grasp the sensitivity of consumers to 360 product image.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360 제품 이미지의 현재
    2.2. 360 제품 이미지의 제작
    2.3. 360 제품 이미지의 감성 언어
3. 연구 방법
    3.1. 감성 언어 선정
    3.2. 실험 자극물 제작
    3.3. 설문지 구성
4. 연구 결과
    4.1. 인구통계학적 특성
    4.2. 360 제품 이미지의 제품 형태와 소스 이미지수의 차이 분석
    4.3. 감성 언어에 대한 요인 분석
    4.4. 실험 결과 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심현준(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사진영상미디어학과 석․박사통합과정) | Hyun-Jun Sim
  • 노연숙(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사진영상미디어학과) | Yeon-Sook Noh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