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반도 평화인문학의 기초 과제로서의 종교평화학 형성 방안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Plans for the Formation of Religious Peace Studies as a Preliminary Task of Peace Humanity Studies in the Korean Peninsu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7213
  • DOIhttps://doi.org/10.14493/ksoms.2020.3.2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모든 종교는 평화를 추구한다. 평화는 삶의 모든 양식과 관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화에 관한 연구는 전공 분과학문의 테두리 안에 서 개별적 관심에 따라 이루어져 왔다. 한반도 평화는 종교연구와 평화연구의 공통된 주제이다. 그러나 종교연구자들은 평화의 사회적 측면을 간과해 온 반면, 평화연구자들은 종교의 심층적 이해를 도외시 해 온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인간에 대한 종교연구의 심층적 이해와 사회에 대한 평화연구의 사회과학적 이해를 융합한 ‘종교평화학’을 한반도 평화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구성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종교평화학’은 종교연구와 평화연구의 개별 분과학문 체계에서 출발하 여, 분과학문의 경계를 넘어서는 융합적 차원에서 수행됨으로서 종교연 구와 평화연구 각각의 한계를 극복하고, 종교와 평화 연구의 상호 발전과 성숙에 기여하는 담론 생산을 목표로 한다.

Peace has both social and internal aspects. Despite the fact that peace is related to all aspects of life, research on peace has been made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interests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major and scholars.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s a common research topic of religious and peace studies. However, religious scholars have overlooked the social aspects of peace, while peace scholars tend to ignor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inner side of religion. This study provides an integrated perspective on the issue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y presenting ‘Religious Peace Studies’ as a new research methodology, which is a fusion of the understanding on human being in religious studies and on society in peace studies.

목차
한글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평화인문학의 기초 과제로서의 종교평화학의역할과 필요성
Ⅲ. 평화인문학 형성을 위한 종교연구와 평화연구
    1. 종교연구 안에서의 평화담론
    2. 평화연구 안에서의 종교담론
    3. 한반도 평화인문학의 기초과제로서의 종교평화학
Ⅳ. 나가는 글 – 기대효과 및 후속연구를 위한제언
Abstract
참고 문헌
저자
  • 홍정호(연세대학교) | Jung Ho Hong (Yonsei University)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