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신갈나무우점군락 특성 -백병산, 칠보산, 백암산, 운주산, 고헌산, 구덕산을 중심으로-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Quercus mongolica Dominant Community on the Ridge of the Nakdong-Jeongmaek -Focusing on the Baekbyeongsan, Chilbosan, Baegamsan, Unjusan, Goheonsan, Gudeoks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84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낙동정맥은 강원도 태백시에서부터 부산광역시까지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온대림에서 난대림까지 폭넓은 산림대를 포함하고 있다. 백두대간과 정맥에서 가장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신갈나무우점군락의 낙동정맥 내에서의 식생구조 특성을 지역 및 군락별로 분석하고자 대표적인 6곳(백병산, 칠보산, 백암산, 운주산, 고헌산, 구덕산)을 선정하여 신갈나무우점 군락을 조사하였다. 6곳의 조사지역의 교목층에서 신갈나무의 상대우점치는 85% 이상으로 확인되었으며, 아교목층에서는 철쭉, 쇠물푸레나무 등이 관목층에서는 쇠물푸레나무, 조록싸리, 미역줄나무 등이 확인되었다. TWINSPAN에 의해 분리된 4개 군락의 교목층 신갈나무의 상대우점치는 80% 이상이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지역별 우점종이 동일하게 우점하였다. 현재 신갈나무는 교목층에 이어 아교목층에서도 확인되어지고 있어 외부요인이 없는 한 신갈나무우점군락이 계속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온대림에 속하는 지역들이 자연림 상태에서 참나무류와 서어나무가 중심이 되는 주 임상을 이루는 데 이러한 특징을 고려해 볼 때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신갈나무우점군락은 우리나라의 온대 산림대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신갈나무군락은 대표적인 한반도 냉온대 낙엽활엽수림으로서 산지 상부의 기후극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극상림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같은 종의 수목이 각 층위별로 분포되어 있어야 지속적으로 교목층을 우점하여 극상림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 극상림은 신갈나무군락으로 사료된다.

The Nakdong-Jeongmaek extends north and south from Taebaek-si of Gangwon-do to Busan metropolitan city and includes a wide range of forest zone from temperate to the warm-temperature for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egetati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Quercus mongolica-dominant community, which was distributed in the largest area in Baekdudaegan and Jeongmaek, by region and communities in the Nakdong-Jeongmaek. For the study, a representative 6 sites were selected: Baekbyeongsan, Chilbosan, Baegamsan, Unjusan, Goheonsan, and Gudeoksan. The survey of the 6 sites showed that the canopy had over 85% the importance percentage of Quercus mongolica. In the understory,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Fraxinus sieboldiana, etc. were located and Fraxinus sieboldiana, Lespedeza maximowiczii, Tripterygium regelii and so on were found in the shrub. The importance percentage of 4 communities of Quercus mongolica, which were separated by TWINSPAN, in the canopy was more than 80%, and the dominant species in the understory and shrub were the same. Currently, Quercus mongolica has been identified as the understory following the canopy, and the Quercus mongolica-dominant community is expected to continue unless there are external factors. In the temperate forest regions in Korea, Quercus spp.and Carpinus laxiflora form the major forest physiognomy in the natural forest state.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Quercus mongolica-dominant community on the ridge of the Nakdong-Jeongmaek is considered to have characteristics of temperate forests in Korea.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s a representative cool-temperate deciduous forest and known as a climatic climax in the upper section of the mountains in the Korean Peninsula. Trees of the same species should be distributed at each layer to maintain the dominant species' status in the canopy's climax forest. Therefore,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s considered the climax forest in the ridge of the Nakdong-Jeongmaek.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및 연구범위
    2. 조사 및 분석 방법
결과 및 고찰
    1. 조사지 개황
    2. 식물군락구조
    3. 주요 수종별 상관관계
REFERENCES
저자
  • 강현미(국립목포대학교 조경학과) | Hyun-Mi K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Mokpo National Univ.)
  • 김동효((사)한국생태계획연구소) | Dong-Hyo Kim (Korea Ecological Planning Institute)
  • 박석곤(국립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 Seok-Gon Park (Division of Forest Resourc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Sunchon National Univ.)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