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실적 중시 분위기와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간 관계 - 상사의 도덕적 역량의 조절효과 - KCI 등재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Bottom-Line Mentality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Leader Integrity Capacity and Mediating Role of Moral Disengagement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104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20.27.3.1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은행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를 통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의 발생 및 조절기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지된 실적 중시 분위기가 도덕적 이탈,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도덕적 이탈의 인지된 실적 중시 분위기와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간의 매개효과, 상사의 도덕적 역량의 인지된 실적 중시 분위기와 도덕적 이탈 간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은행 영업점에 종사하는 팀장·부지점 장급 이하 정규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최종 438부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SPSS 25를 활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인지된 실적 중시 분위기는 도덕적 이탈,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대해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도덕적 이탈은 인지된 실적 중시 분위기와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간의 관계를 정(+)의 방향으로 매개하였다. 셋째, 가설과 달리, 상사의 도덕적 역량은 인지된 실적 중시 분위기와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간의 관계를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였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 요약과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hed light on the generative mechanism and mediating mechanism of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UPB) in the banking sector. To this end, we tried to empirically test the direct effect of the perceived Bottom-Line Mentality (BLM) on moral disengagement and UPB respsectively. Further,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moral disengagement between the perceived BLM and UPB and the moderating role of the perceived leader integrity capacity between the perceived BLM and moral disengagement. As a quantitativ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used. Our respondents consisted of regular employees below the level of team managers and branch managers in bank branches. Using the final 438 respondents of the survey data, the empirical test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5. The findings were as followed; first, the perceived BLM was significantly affected moral disengagement and UPB respectively. Second, moral disengagement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LM and UPB. Third, contrary to our expectation, the perceived leader integrity capacity positively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erceived BLM and moral disengagement. In the conclusive part, this study summarized research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task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2. 인지된 실적 중시 분위기와 비윤리적 친조직행동
    3. 인지된 실적 중시 분위기와 도덕적 이탈
    4. 도덕적 이탈의 매개효과
    5. 상사의 도덕적 역량의 조절효과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Ⅳ. 분석결과
    1. 분석방법
    2. 타당성과 신뢰성
    3. 상관관계
    4. 동일방법편의 평가
    5. 가설검증
Ⅴ. 결론 및 토의
    1. 연구결과의 요약
    2.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저자
  • 김기만(영남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 Kim Ki Man
  • 성윤지(영남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 Sung Yoon Ji
  • 전인(영남대학교 경영학과) | Jun I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