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름 남해 서부 해역에 출현하는 수표성 동물플랑크톤에 미치는 환경요인 KCI 등재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neustonic zooplankton in the southwestern area of Korea in summ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3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여수와 제주도 사이 해역에 출현한 수표성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분포와 환경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17년 9월 총 14개 정점에서 뉴스톤 네트를 이용하여 선박 측면에서 예인 및 채집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총 81개 분류군으로 요각류가 최우점하였다. 동물플랑크톤 출현 개체수를 기반으로 연안수의 영향을 받는 해역, 연안수와 외 해수가 만나는 해역, 외해수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해역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 해역별 우점 요각류, 식성에 따른 요각류를 2개 그룹으로 구분하고 군집에 미치는 환경요 인을 분석한 결과 수온과 염분, 식물플랑크톤, 부유플라스틱과 유의미하였다 (p<0.05). 추가로 연구 해역에 출현한 치어 및 화살벌레류의 위 내용물 분석을 통해 미세플라스틱 섭식을 확인하였다. 낮은 영양단계에서 섭취한 플라스틱이 먹이사슬을 타고 올라가 높은 영양단계로 전달된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남해 서부 해역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 특성을 볼 때 여름철 확장 범위를 달리하는 섬진강 수, 제주난류, 쓰시마난류의 영향을 받아 군집 분포가 달라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southwestern area of Korea using a neuston net in September (14 stations) 2017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neustonic zooplankton. Temperature, salinity, chlorophyll a concentration, suspended solids, and microplastics were included as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the density of the copepods,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hree regions: the Seomjin River water influence area, the frontal mixing area, and the warm water affected area (Jeju warm current and Tsushima warm current). In the latter two areas, the major species were Pontella chierchiae, Canthocalanus pauper, and Oncaea spp. Also, neustonic zooplankton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density of phytoplankton and microplastics in the frontal mixing area, and temperature and suspended solids in the warm water affected area, respectively (p<0.05). This indicates that microplastics can affect the offshore zooplankton community.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환경요인
    2. 동물플랑크톤
    3. 자료 분석
결 과
    1. 수온, 염분, 부유 물질 농도, Chl-a 농도,식물플랑크톤 밀도
    2. 부유플라스틱 분포 및 구성
    3. 동물플랑크톤 출현 양상과 환경요인과의 관계
고 찰
적 요
REFERENCES
저자
  • 최장한(전남대학교 환경해양학과) | Jang Han Choi (Department of Environmental Ocean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대진(전남대학교 선박실습센터) | Dae-Jin Kim (Training Ship Administrative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서호영(전남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 Ho Young Soh (Department of Ocean Integrated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