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DEU-GRIT을 활용한 군집화된 대학 신입생의 대학 생활 적응 (학업, 사회, 정서 및 진로 적응) 특성 분석 연구: D 대학을 중심으로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Academic-, Social-, Emotional-, and Career Adaptation to College Life among Clustered Freshmen Using DEU-GRIT: A Focus on D Univers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3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D 대학을 중심으로 DEU-GRIT 검사를 활용하여 대학 신입생의 대학 생활 적응 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 신입생의 성별과 전공 분야에 따른 대학 생활 적응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고, 대학 생활 적응의 중요한 영역인 학업, 사회, 정서, 진로 적응의 수준을 기반으로 군집화된 대학 신입생의 대학 생활 적응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DEU-GRIT 검사 규준을 바탕으로 대학 신입생 중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하위 규준집단을 따로 분류하여 이들의 대학 생활 적응 특성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서 적응 수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 적응과 정서 적응 수준에서 과학기술 전공 분야 학생이 인문사회 전공 분야 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 생활 적응의 4개 영역 수준을 기준으로 군집 분석을 한 결과, 군집 1은 모든 영역의 적응 수준이 높았지만, 군집 3은 모든 영역의 적응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군집 2는 정서 적응 수준이 높았지만, 군집 4는 정서 적응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DEU-GRIT 검사의 하위 규준집단에서는 학업 적응과 사회 적응 수준이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서 높았으며, 대학 생활 적응 전체 및 학업 적응과 정서 적응 수준이 인문사회 전공 분야 학생보다 과학기술 전공 분야 학생에게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 규준집단의 대학 생활 적응의 4개 영역 수준을 기준으로 군집 분석 한 결과, 하위 규준집단 군집 1은 정서 적응 수준이 높았으며, 하위 규준집단 군집 2는 정서 및 진로 적응 수준은 낮고 학업 및 사회 적응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하위 규준집단 군집 3은 모든 영역 수준이 낮았으며, 하위 규준집단 군집 4는 사회 및 정서 적응 수준이 낮고 학업 및 진로 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 신입생의 사회 및 정서 적응 측면에서 성별에 따라 맞춤화된 심리상담 프로그램의 개입이 필요하며, 전공 분야에 따라서는 취업 전망에 대한 기대의 높고 낮음에 따른 상대적 정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하위 규준집단의 대학 생활에서 정서 및 사회 적응은 대학 생활 적응의 보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음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among freshmen of D University by utilizing the DEU-GRIT test. To achieve this, we examined differences in level of college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gender and major, and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college freshmen who were clustered based on their level of academic, social, emotional, and career adaptation,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adaptation to college life. Moreover, based on the DEU-GRIT test standards, we also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ollege life adaptation by sorting out low level groups of freshmen with difficulties adapting.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male students had a higher level of emotional adaptation than female students, and that science and technology majors had higher levels of academic and emotional adaptation than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ety majors. Furthermore, a cluster analysis based on 4 factor levels of college life adaptation showed that cluster 1 had a high level of adaptability to all factors, but cluster 3 had a low level of adaptability to all factors. Moreover, while cluster 2 showed a high level of emotional adaptation, cluster 4 showed a low level of emotional adaptation. On the other hand, a lower-standard group of DEU-GRIT tests showed that the level of academic adaptation and social adaptation was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than among male students. However, the overall level of college life, academic, and emotional adaptation were higher among science and technology students than among those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In addition, a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level of 4 factors of college life adaptation of lower-standard groups showed that cluster 1 of the lower-standard groups had a high level of emotional adaptation, while cluster 2 of the lower-standard groups had a low level of emotional and career adaptation and a high level of academic and social adaptation. Also, cluster 3 of the lower-standard groups was found to have low levels of all factors, and cluster 4 of the lower-standard groups showed low levels of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and high levels of academic and career adaptation. This indicates that, in terms of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among freshmen, participation in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s tailored according to gender is necessary and, regarding the major, relative emotional intervention is required due to the high and low expectations of job prospects. In conclusion, the emotional and social adaptation to college life among the lower-level groups is likely to serve as a protective factor for college life adaptation, suggesting that specific intervention should be contemplated.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학업 적응
    2.2. 사회 적응
    2.3. 정서 적응
    2.4. 진로 적응
3. 연구 방법
    3.1. 연구대상
    3.2. 측정 도구: DEU-GRIT 검사
4. 연구 결과
    4.1. 성별에 따른 대학 생활 적응 수준의 차이
    4.2. 전공에 따른 대학 생활 적응 수준의 차이
    4.3. 적응 영역에 따른 대학 생활 적응 특성 분석
    4.4. DEU-GRIT 검사 하위 규준집단(30% 이하)의대학 생활 적응 특성 분석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이정희(동의대학교 평생교육·청소년상담학과) | Jung-Hee Lee
  • 강창완(동의대학교 산업융합시스템공학부 생산정보기술공학) | Chang-Wan Kang
  • 박애영(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Ae-Young Park
  • 고미나(동의대학교 철학인문교양학부) | Mi-Na Ko
  • 강정임(전) 동의대학교 학생상담센터) | Jung-Im Kang
  • 신지영(전) 동의대학교 학생상담센터) | Ji-Young Shin
  • 최서현(전) 동의대학교 학생상담센터) | Seo-Hyun Choi
  • 이진현(전) 동의대학교 학생상담센터) | Jin-Hyun Lee
  • 함수민(동의대학교 학생상담센터) | Su-Min Ham
  • 김보성(동의대학교 철학인문교양학부) | Boseong K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