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멸종위기 야생생물 금개구리 (Pelophylax chosenicus)의 난 발생 및 먹이 종류에 따른 올챙이의 성장 및 생존율 분석 KCI 등재

Characterizing Development of Endangered Gold-spotted Pond Frog (Pelophylax chosenicus) Focused on Egg Development and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Tadpoles with Different Fe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6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멸종위기 양서류 금개구리의 생물학적 특성 및 증식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난 발생 및 올챙이 초기 먹이 종류에 따른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육수조 내에서 자연산란한 금개구리의 수정란을 현미경 하에서 관 찰하였다. 수정란은 교질층에 둘러싸인 구형으로, 동물극과 식물극이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수온 27.0±1.0°C에서 수정 후 31시간 뒤에 부화하였으며, 수정 후 175시간 뒤에 아가미 뚜껑을 완성하였다. 개구 이후 단계부터 35일 간 먹이종류별 성장 및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식물성 사료와 테트라민 단독 공급군의 평균 증체율 (각각 5843.9%, 5736.3%), 평균 일일성장률 (각각 11.67%, 11.62%)이 다른 공급군들 (증체율: 641.8~4625.2%, 일일성장률: 5.72~11.01%)에 비해 가장 높았고 (P<0.05), 야채 공급군이 가장 낮았다 (P<0.05). 평균 사료 효율은 식물성 사료 공급군이 177.83%로 야채 공급군 10.29%에 비해 약 17배 높았다. 또한 식물성 사료와 테트라민 단독 공급군의 평균 생존율은 각각 97.5%, 100%로 가장 높았으며, 야채 공급군은 32.5%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금개구리의 성공적인 증식을 위한 올챙이 먹이는 식물성 사료 또는 테트라민을 단일로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We studied the development of the endangered gold-spotted pond frog, Pelophylax chosenicus eggs and analyzed growth and survival rate of the tadpoles while feeding different feed to obtain the basic data on the its biological traits and reproduction. We observed the fertilized eggs of gold-spotted pond frog that naturally spawned in a breeding tank using a microscope. Fertilized eggs were sphere shape surrounded by colloid layers, clearly distinct with animal and plant poles. The fertilized eggs hatched 31 hours after fertilization and operculum complete at 175 hours after fertilization at water temperature of 27.0±1.0°C. As a result of growth and survival rate by different feed from 35 days after mouth open stage, vegetable feed (VF) group and tetra-min (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weight gain rate (WG) (5843.9% and 5736.3%, respectively) and average specific growth rate (SGR) (11.67% and 11.62, respectively) compared with other groups (WG: 641.8~4625.2%, SGR: 5.72~11.01%). The vegetable (V) group showed the lowest growth rate (P<0.05). The average feed efficiency was 177.83% in the VF group, about 17 times higher than the V group. In addition, the average survival rate of the VF and T groups were the high at 97.5% and 100%, respectively, and the V group was the lowest at 32.5%. Therefore, the more efficient feeds for successful breeding is singly with VF or T.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 법
    1. 포획허가 및 성체 포획
    2. 사육환경 및 산란유도
    3. 발생 조사
    4. 먹이별 올챙이의 성장 및 생존
    5. 통계처리
결과 및 고 찰
    1. 난 발생
    2. 공급 먹이별 올챙이의 성장 및 생존
    3. 부화 수온에 따른 기형발생 양상
적 요
REFERENCES
저자
  • 김근식(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 송예빈(서울여자대학교 생명환경공학과)
  • 박창득(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 강동원(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 윤주덕(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