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신용정보 공유 활성화를 위한 API 표준화 방안 및 이에 따른 법적 쟁점 검토

API Standardization as a Method to Stimulate the Credit Data Sharing and its Legal Issu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35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Center for Law & Technology)
초록

오늘날과 같은 데이터 주도형 경제에서 산업 경쟁력은 다수가 수집한 데이터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는데 이에 대한 기술적 해법을 제공하는 것이 표준화 된 API이다. API 표준화는 은행 분야에서 선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EU의 PSD2, 영국의 오픈 뱅킹 이니셔티브, 우리나라의 오픈 뱅킹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API 표준화를 위해서는 법적 근거와 함께, 표준화 기구의 중심적인 역할이 필요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도 표준화 제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데이터를 통해 가능해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도적인 기업이 생겨날수록, 이에 대한 시장 수요가 확대될수록, 국제적으로 유사한 정책결정이 확산될수록 API 표준화를 위한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며, 이러한 환경속에서 정부도 산업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적극 참여하게 된다. API 표준화는 데이터 공유를 전제하고 있는 바, 공유되어야 할 데이터에 대해 누군가가 법적 권리를 갖고 있다면 API 표준화에 따른 정보공유 의무와 충돌될 수 있다. 현행법상 신용정보에 대한 법적 권리는 신용주체의 프라이버시 관련 권한이 유일하므로 정보 주체의 동의가 있다면 정보 공유에 대한 법적 장애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법적 안정성을 위해 명시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한데 최근 신용정보법에 규정 된 정보의 직접 이동명령권이 정보이동을 위한 API 표준화의 근거가 될 수 있다. 아울러 결제 인프라를 공유하기 위한 API의 법적 근거를 위해서 는 전자금융거래법의 개정이 필요하다. API는 단순히 기술적인 도구적 측면의 역할도 하지만, 창작과 관련된 내용적 특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후자와 관련하여, API 표준화 과정에서 기존 API를 활용하는 경우, 그리고 해당 API가 지식재산권을 갖는 경우, 지재권이 갖는 배타성과 표준이 갖는 비배타성이 충돌될 수 있다. 이 경우, API 표준화 과정에서 강제실시 또는 FRAND 요건 등과 같이 지재권적 배타성이 일정 정도 제약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In the current data-driven economy, industrial competitiveness depends on how to share and utilize various data from diverse sources. The effective technical solution could be provided through standardized APIs. Today, the banking sector is leading the standardized APIs, and some remarkable examples are PSD2 by EU, UK Open Banking initiative and Korea’s Open Banking, to name a few. In order to standardize APIs, there should be a legal basis and the pivotal role of standard-setting organization. At the same time, many stakeholders need to actively engage in the process of API standardization. As more promising start-ups providing data-enabled services come out in the market, more market demand is growing, and similar policy making spreads in the international fora, they will contribute to a favorable environment for standardized APIs. In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 would support this as an effort to strengthen industrial competitiveness. Standardized APIs postulate the data sharing. Therefore, if any has legal rights on the data which need to be shared, it may collide with the rights of data sharing. In the current legal framework, none has a legal claim for credit data except for data subject who has a right to privacy. Therefore, once data subject consents, there would be no legal barriers to data sharing. However, positive legal basis is necessary to provide the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In Korea, Credit Data Act recently introduced the right to request a direct transfer from one controller to another, which would be a legal basis of account data sharing. In order to provide legal basis for sharing the banking and payment infrastructure, Electronic Financing Transaction Act needs to be revised. API could either be a mere technical tool or comprise creative substance. In the last, if the existing APIs which are eligible to the IPR protection were used in the process of API standardization, it may be incompatible with the non-exclusiveness which a standard has. In this situation, the IPR related exclusive nature of APIs needs to be compromised to some extent, such as through compulsory licensing or FRAND commitment.

목차
요약
I. 논의배경
II. API 표준화를 위한 여러 시도들
III. API 표준화를 위한 절차 및 법적 근거
IV. API 표준화시 고려해야 할 법적 이슈
V. API 표준화 관련 시사점
저자
  • 권혜진(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Hyejin 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