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15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설득하는 글 쓰기 단원의 학습활동 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f Persuasive Writing Unit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91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교과서를 통해 쓰기가 실제적인 맥락에서 이루어지도록 돕는 것은 학생들의 쓰기 능력과 동기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는 교과서의 쓰기 활동이 실제적인 맥락에서 실현되는지 살펴보고 보다 효과적인 활동을 구성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2015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12종에 나타난 설득하는 글쓰기 단원의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국어교과서가 읽기와 연계해서 설득하는 글 쓰기를 지도하고 있어 쓰기ㅌ와 읽기의 소통성을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특히 연계하여 제시 하는 읽기 자료의 유형이 다양하여 설득하는 글 쓰기 활동이 다양한 측면으로 강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의 쓰기 동기를 높이기 위하여 실제적 맥락에서의 쓰기 가 중요하지만, 쓰기 맥락 요소 중 예상독자와 매체 분석 및 실제화는 다소 미흡한 양상을 보인다. 셋째, 쓰기 평가 단계를 제시하지 않는 국어교과서가 전체의 절반이었으며, 평가의 유형은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가 전부이다. 결국 교과서가 충족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한 국어 교사의 보완이 발생할 것이며, 이는 국어 수업에서의 불필요한 편차를 불러올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얻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추후 개발할 국어 교과서에는 설득하는 글 쓰기 단원의 학습 활동 이 실제적인 맥락을 반영하고 구체적 평가 과정을 지원하는 부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Helping students write in practical contexts through textbooks can have a big impact on improving students' writing skills and moti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the textbook's writing activity was realized in a practical context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constructing a more effective activity. 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activities of persuasive writing units in 12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instruct persuasive writing in connection with reading, thus reinforcing links between writing and reading.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ersuasive writing activity could be reinforced in various aspects due to the various types of reading materials presented in this connection. Second, writing in a practical context is important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motivation to write, but among the elements of the writing context, analysis and actualization of the audience and Media Utilization are somewhat insufficient. Third, half of all Korean textbooks did not present the writing assessment stage, and the only types of assessment were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Eventually, the Korean language teacher must present supplementary materials for the areas that the textbook does not support. This can lead to unnecessary deviations in Korean language instruction. Therefo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future Korean textbooks to be developed later should reflect the actual teaching situation and should include a specific evaluation process in the persuasive writing unit learning activities.

목차
요 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1. 쓰기 맥락의 개념과 요소
    2. 2015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쓰기 맥락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분석 도구
    3. 연구 절차
Ⅳ. 연구결과
    1. 읽기와의 연계
    2. 설득하는 글 쓰기의 실제적 맥락
    3. 매체의 구현
    4. 설득하는 글 쓰기 평가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신민영(문막중학교) | Sin, Min-Young (Mun Mak Middle School)
  • 심혜경(세종국제고등학교) | Sim, Hye-Gyeong (Sejong Global High School)
  • 박영민(한국교원대학교) | Park, Young-M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