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야외지질답사 및 모델링 기반 순환 학습에서 학생들이 그린 그림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이해 KCI 등재

Understanding Purposes and Functions of Students’ Drawing while on Geological Field Trips and during Modeling-Based Learning Cyc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7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그린 그림이 야외지질답사와 모델링 기반 순환 학습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질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서울의 한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10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한탄강 형성과정이라는 것을 주제로 야외지질답사와 3차시 모델링 3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각 차시별 학생들이 작성했던 모든 기록장(글, 그림), 연구자 필드노트, 학생들이 참여한 모든 영상 자료 및 음성 녹음, 전사한 인터뷰 자료 등을 연구진과 공유하였다. Hatisaru (2020) 그림 표상화를 야외지질학습의 맥락에 맞게 수정하여 그림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학생들의 글(text, memo)을 포함한 그림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연연적 내용 분석(deductive 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또한, 그림 이 모델링 기반 순환 과정(자료 수집 관찰, 모델 생성, 모델 발달, 자연현상의 구체화)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그림 유형은 지질학적인 개념을 포함한 상징적 이미지, 지형학적으로 외형을 묘사한 외형적 이미지, 학생들의 심리적인 영역을 표현한 정의적 이미지가 있었다. 특징은 설명, 생산화, 정교화, 증거, 일치, 심상(心狀) 으로 분류하였다. 그림의 유형과 특징은 모델링 기반 순환 학습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며 학생들의 모델 발달 과정 속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인 영역에 관한 특성과 학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감정을 반영하였다. 학생들이 그린 그 림은 야외지질답사와 모델링 과정 모두에 있어서 학생들의 사고와 의사표현을 반영할 수 있는 도구로써 의미를 있음을 밝힘으로써 과학교육 관계자들에게 학생들의 그림 그리기 활동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examine the meaning of students’ drawings in outdoor classes and modeling-based learning cycles. Ten students were observed in a gifted education center in Seoul. Under the theme of the Hantan River, three outdoor classes and three model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to document all student activities during field trips and classroom modeling activities using simultaneous video and audio recording and observation notes made by the researcher and students. Please note it is unclear what this citation refers to. If it is the previous sentence it should be placed within that sentence’s punctuation. Hatisaru (2020) Ddrawing typess were classified by modifying the representations in a learning context in geological field trips. We used deductive content analysis to describe the draw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students writing. The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have symbolic images that consist of geologic concepts, visual images that describe topographical features, and affective images that express students’ emotiondomains. The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into explanation, generality, elaboration, evidence, coherence, and state-of-mind. The characteristics and drawing types are consecutive in the modeling-based learning cycle and reflect the students’ positive attitude and cognitive scientific domain. Drawing is a useful tool for reflecting students’ thoughts and opinions in both outdoor class and classroom modeling activitie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drawing activities.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방법
    1. 연구 절차 및 연구 참여자
    2. 야외지질답사 프로그램 개발: 유네스코 지정한탄강 지질공원
    3. 한탄강 형성과정을 주제로 진행된 과학적 모델및 모델링 수업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연구 결과
    1. 야외지질학습에서 학생들이 그린 그림의 종류와 기능적인 특징
    2. 모델링 기반 순환 과정에서 학생들의 그림 그리기가 갖는 목적과 의미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최윤성(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Yoon-Sung Choi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