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및 국제심포지엄 (2017년 10월) 322

141.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phidius colemani has been used as commercially available natural enemies for the aphid control. However, some siblingspecies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their morphology even though they have different parasitic characteristics. Recentlywe identified overwintering parasitoids inside the aphid mummies at the pepper greenhouse in Yecheon. The nucleotidesequence analysis identified as A. transcaspicus which is morphologically similar with A. colemani. Those genetic differencesof COI and ITS2 sequences were 4.36-4.84% and 2.65-5.84%, respectively. While A. colemani is useful for the controlof Aphis gossypii and Myzus persicae, A. transcaspicus parasitize various species belongs to the genera Hyalopterus, Melanaphisand Rhopalosiphum. Thus, precise diagnosis of natural enemies is required for the successful pest control.
142.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천적은 친환경적 해충방제를 위한 중요한 생물소재이다. 그러나 농가에서는 경제적 부담 및 불안정한 해충방제효과등 다양한 문제로 인하여 활용이 낮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포식성 천적인 마일스응애(Hypoaspis miles)를 간편하게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자가생산법을 개발하였다. 먹이응애인 긴털가루응애(Tyrophagus putrescentiae)는 쌀겨,마일스응애는 왕겨를 담은 상자(6.5L)에 증식시켰다. 큰 상자(22L)에 물을 약간 채우고 난 뒤에 왕겨상자를 넣고2중 구조의 상자를 만들었다. 이러한 2중 구조 상자를 25-30℃, 50-80% 조건에서 4주간 사육했다. 먹이원으로 긴털가루응애가 증식된 쌀겨 150ml을 주 1회씩 제공하였다. 4주 사육 후에 천적응애의 밀도가 30마리/ml 이상 수준으로증식되었다. 그 결과 천적응애 상자당 10만마리이상이며 시설재배지 330m2(100평)에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손쉽게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비절감효과, 포장 및 유통이 필요 없기 때문에 활력 높은 천적을 적용함으로서해충방제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14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is one of the most serious pests in the greenhouse. They can infest variouscrop plants even in high warm greenhouse condition in summ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heat acclimation ability ofB. tabaci, mortality was determined at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s of the greenhouse. Adult whiteflies survived evenin 63°C in tomato greenhouse. The median lethal temperature (LT50) of the greenhouse colony was 59.9°C however LT50of the lab colony was 47.6°C.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 of heat shock proteins (hsp23, hsp70 and hsp90) were significantlylower in the greenhouse colony compare to the lab colony. This result suggests B. tabaci has very high thermal adaptability(acclimation) and its mechanism is associated with heat shock protein system.
14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입감자의 세척수에 존재할 수 있는 선충을 박멸하기 위하여 선박 평형수 소독에 활용되는 미세필터와 고준위의자외선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우선 미세필터(지름이 다른 4겹의 필터, 최저직경 17㎛)에 대한 뿌리혹선충의 통과여부를조사해 본 결과 유충(체폭 10.7-23.2㎛)은 통과했지만 난낭(직경 300-1,000㎛)은 통과되지 않았다. 자외선 조사에대한 선충의 사멸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유충과 알은 200 mJ/cm2 이상 처리시에 100% 살충이 되었으나 난낭속의알은 1,080 mJ/cm2처리에도 일부 부화했다. 현장적용시험에서 150톤의 세척수에 약 10만마리유충을 투여하고1,663±174 mJ/cm2의 UV 처리한 결과 생존된 선충이 검출되지 않았다. 즉, 고준위의 자외선 조사 시스템은 대용량의세척수에서 선충을 사멸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에 걸러진 난낭을 포함한 소량의 물을 소독하기 위하여열처리 시스템(50℃, 15분)을 적용함으로서 검역수준의 선충사멸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145.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국선녀벌레는 2009년 김해에서 처음 발생하여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사과, 단감 등의 농작물에 피해를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및 부산, 울산, 대구지역의 중부내륙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 상주영천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익산포항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통영대전고속도로의 10개 도로, 86개 나들목 지점에서 육안관측을 통한 미국선녀벌레의 개체수 및 발생 여부를확인하였다. 관찰된 최다 개체수는 464마리가 관찰된 추풍령 지점이었다. 대부분의 미국선녀벌레는 경부고속도로(추풍령, 김천, 김해, 밀양, 창원)에 집중되어 있으며 각 나들목 주변부의 기주식물로 삼을만한 수종의 분포와 미국선녀벌레가 이동수단으로 삼는 차량의 이동방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미국선녀벌레가 많이 관찰된 수종은 아까시나무, 느티나무였다. 침엽수인 잣나무와 소나무 등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미국선녀벌레의 확산 연구의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146.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misia tabaci is a species complex consisting of at least 40 species which are morphologically indistinguishable. Althoughgenetic diversity of B. tabaci have been studied in many countries, its information is lack in Bangladesh. The COI sequencewas determined from 91 samples collected in Bangladesh and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was constructed. Four crypticspecies (Asia I, Asia II-1, Asia II-5 and Asia II-10) were present in different regions. While both Asia I and Asia II-1was widely distributed in all around the country, Asia II-5 was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and Asia II-10 was onlyin the central region. Otherwise, our results showed that Asia II-5 had the highest haplotype and nucleotide diversity.Genetic groups of B. tabaci in Bangladesh were most similar with those of Thailand, Vietnam, Pakistan, China, and Indiabut did not show any aggressive cryptic species such as MED and MEAM-1.
147.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북지역 포도 주산지인 상주시 화동지역과 모동지역의 켐벨얼리, 경산지역의 거봉품종을 대상으로 2016년부터2017년까지 황색점착트랩을 이용하여 볼록총채벌레 발생상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2016년 조사에서는 모동과화동지역은 7월, 경산지역의 경우 6월 최다발생밀도를 보였으며, 2017년 조사에서는 모동과 화동지역은 7월, 경산지역은 5월 하순부터 7월상순 최다발생밀도를 나타내었다. 본 조사에서 볼록총채벌레의 발생추이 및 발생최성기를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볼록총채벌레의 효과적인 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한다.
148.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5년부터 2016년까지 경북지역(상주시 화서 1개 지역, 화동 1개 지역, 모동 1개 지역, 경산 1개지역) 포도과원의주요 생산품목인 켐벨얼리와 거봉을 대상으로 해충발생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전체 조사시기 및 조사지역에서볼록총채벌레 우점해충으로 확인되었으며 아우점종으로는 2015년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2016년 나무좀류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를 통해 포도과원의 해충발생 최성기 및 월별 해충 발생상황 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추후효과적인 방제방법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149.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potted wing drosophila (SWD), Drosophila suzukii, is classified exotic quarantine pest in Australia and EU, soSWD-free must be supported by evidence of surveys and phytosanitary measures in exported host agricultural commoditiesin Korea. From a quarantine control point of view, SWD is importantly considered as model insect pest for exotic fruitflies (Bactrocera dorsalis) in Korea as well because of similarity in ecological cycles. In evaluations of ethyl formate(EF) only and combined cold treatment to kill eggs and larvae of SWD, the combined EF fumigation applied at LCt50%(50% killed lethal concentration X time) and cold treatement (5℃) for > 5 days showed the promise to new conceptfor eradicating quarantine pest and these could be helpful to pre-develop exotic fruit fly management in Korea.
150.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에 따른 아열대 도입작물인 여주의 주요 해충 발생 및 피해를 조사하여 방제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진주 경남농업기술원 시험포장과 함양 농가를 대상으로 2017년 4월에서9월까지 여주에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와 발생시기 및 피해정도를 조사하였다. 주요 해충으로는 목화진딧물, 꽃노랑총채벌레, 목화바둑명나방, 중국청람색잎벌레, 온실가루이, 뿌리혹선충 등이 발생하였다. 방제가 요구되는 해충으로목화진딧물은 5월 하순에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꽃노랑총채벌레는 6월 중순에 높은 밀도를 보였고, 6월하순에 목화바둑명나방의 유충에 의한 잎의 피해가 심하게 보였으며, 뿌리혹선충에 의한 시들음 증상으로 심하면식물체 전체가 고사하였다. 7월 중순이후부터는 전체적으로 해충의 발생과 밀도가 감소하였다.
151.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은 생태계 기저에 위치하며 생태계 내 여러 역할을 분담하는 생물군으로 곤충상은 지리적으로 넓은 지역에분포하며 지역에 따라 종 다양도가 높고, 환경변화에 대해서 신속히 반응한다. 형질전환작물(Living GeneticallyModified Organism; LMO)은 작물을 소비하는 생물의 문제와 더불어 농업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가 주요관심이 되고 있다. 따라서 다년간 형질전환 작물이 재배되었던 지역과 비변형 작물 재배지역의 곤충상을 조사하는것은 각 재배지역의 환경 변화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고 환경위해성평가를 실시 할 수 있다. 작물 중 벼(Oryzasativa)는 인간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 때문에 형질전환 벼가 재배되었던 지역과 비변형 벼 재배지역의 곤충상변동 양상을 2017년 7월부터 2017년 9월까지 경상대 사천 LMO 격리포장 주변과 사천시 두량리 비변형 벼 재배지에서포충망 조사와 유아등 조사를 이용하여 비교 조사 후 군집분석을 하였다.
152.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16 to March 2017 for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biologicalcontrol of the two spotted mite (Tetranychus urticae; TSSM) in the strawberry greenhouses. Natural enemy plot and conventionalplot were selected to compare the mean density of T. urticae. T. urticae was sampled by taking three leaflets (1 stalk)from each plant (3 three-leaflet) leaves from each sampling position. Natural enemy plot was released with Phytoseiuluspersimilis and conventional plot was sprayed with pesticides(abamectin, cyenopyafen, etc). Each stage of TSSM densitywas higher in conventional pesticides than natural enemy. Spatial Analysis by Distance IndicEs (SADIE) was used toanalyze spatial distribution and index of aggregation   , index of clustering  ,  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spatialdistribution. Also, the clustering indices were mapped as red-blue plot. As a resul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 urticaewas varied, particularly, feeding ability and density of P. persimilis caused regular spatial distribution of T. urticae.
15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rphology of antennal sensilla and their distribution were investigated in male and female adults of Plautia stali,a major pest of tree fruit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tennae of P. stali was composed of a scape, a pediceland three flagella in both sexes. Four types of sensilla (s. trichodea, s. basiconica, s. chaetica, s. coeloconica) were identifiedfrom both sexes. Among them, s. trichodea and s. basiconica were multiporous, others are not. They distributed in varyingnumbers. Sexual dimorphism was not shown in the distribution of the four sensilla types. But their distribution was characterizedalong antennal segments in both sexes.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electro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tudies on theolfactory sensory function of each morphological type of sensilla.
15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오미자는 경북 문경지역에서 전국의 40% 정도를 재배하고 있는 지역소득작물 중 하나이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등으로 많은 병해충이 발생하고 있으나 방제 등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많이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병해충 피해를줄이고 효율적인 방제체계를 마련하고자 오미자에 발생하는 해충 종류 및 발생양상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2017년2월부터 문경 3개 지역을 선택하여 10월까지 조사하였으며 점착트랩과 포충망 등을 이용하여 발생하는 해충 종류및 시기별 발생양상과 피해정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파리목 1종, 매미목 1종, 나비목 6종, 총채벌레목 2종,노린재목 2종이 발생하여 줄기, 잎, 과실 등에 피해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미자에 가장 많은 피해를 주는 해충은볼록총채벌레였으며 5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7월에 발생밀도가 가장 높았다. 해충 종류별, 발생 시기별, 발생피해정도 등 이상의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오미자 해충방제체계를 수립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155.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감과원내 볼록총채벌레(Scirtothrips dorsalis)의 발생으로 과실 표면에 상처가 생기고 회갈색으로 코르크화되는피해가 발생되어 과실 생산에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 볼록총채벌레에 대한 월동상황을 조사하기 위해 과원내분포하는 식물을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9월까지 조사하였다. 감과원내 잡초에서 발생되는 총채벌레류는 볼록총채벌레, 감관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꽃노랑총채벌레, 하와이총채벌레였으며 발생밀도가 가장 높은 종은 대만총채벌레였다. 감과원 잡초내 볼록총채벌레의 충태별 발생상황조사에서 월동성충은 4월상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4월하순, 5월중순, 6월하순, 7월중순, 8월중순의 5회 발생최성기를 나타내었다. 유충은 4월중순 초기 밀도가 높았으며6월상순, 6하순, 7월중순 8월중순의 4회 발생 피크를 나타내었다. 볼록총채벌레의 발생 밀도가 높은 잡초류는 켄터키블루그라스, 털별꽃아재비, 클로버, 쑥, 가박사리 속속이풀, 별꽃 등이었으며 월동 후, 4월부터 켄터키블루그라스,별꽃, 클로버, 쑥 등에서 발생되었으며 5월부터는 소리쟁이, 털별꽃아재비 등에서 발생되었다. 6월부터는 쇠비름,메꽃 등에서 발생되었다. 이 중, 별꽃, 켄터키블루그라스, 클로버, 쑥, 털꽃아재비 등에서는 감 생육기간 동안 볼록총채벌레가 계속 발생되었다. 감과실에 피해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5월중순부터 6월하순까지는 과원 잡초와 감꽃, 감과실사이를 옮겨가며 피해를 주고 있었다.
156.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매년 감과원내 총채벌레류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중 가장 경제적으로 피해를일으키는 피해를 일으키고 있는 종류는 볼록총채벌레(Scirtothrips dorsalis), 감관총채벌레(Ponticulothrips diosprosi)이다. 2016년부터 2년간 경북지역 감과원에서 발생되는 총채벌레류 발생변화를 조사하였으며 볼록총채벌레에 대한우수한 방제약제를 선발하였다. 황색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볼록총채벌레, 감관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꽃노랑총채벌레, 하와이총채벌레 등이 조사되었으며 총채벌레 5종 모두 2016년 보다 2017년의 발생량이 많았다.이들 중에 감나무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는 볼록총채벌레와 감관총채벌레에 대한 지역별 발생조사에서 볼록총채벌레는 청도지역이 상주지역보다 발생밀도가 높았고 주 발생시기도 5월중순~7월상순으로 다소 빠른 경향이었다.감관총채벌레는 상주지역의 발생밀도가 높았고 주 발생시기는 5월하순~8월상순이었다. 볼록총채벌레 방제를 위한약제선발 시험에서 클로르페나르피르 액상수화제 등 4약제 모두 9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어 감 볼록총채벌레방제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157.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상용집합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썩덩나무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풀색노린재의 연중 포획 밀도 변동을 3개지역(김제, 장수, 사천) 사과 및 단감 과원 주변에서 조사하였다. 썩덩나무노린재의 경우 김제, 장수지역의 사과원주변에서는 8월 중순, 9월 중순, 10월 중순에 포획 최성기가 있었으며, 사천지역 단감원 주변에서는 9월상순과10월 상순에 포획 최성기가 관찰되었다. 갈색날개노린재의 경우 3개 지역 모두에서 7월 상순과 9월 상순 2번의낮은 포획 최성기가 있었으며, 풀색노린재의 경우 3개 지역 모두에서 10월 상순에 1번 포획 최성기가 관찰되었다.한편 썩덩나무노린재의 천적인 노린재기생파리에 기생된 썩덩나무노린재 성충의 포획 시기를 보면 사천지역의단감원 주변에서는 6월 하순과 8월 하순에, 김제와 장수지역의 사과원 주변에서는 8월 중순부터 9월 상순까지포획 최성기가 있었다.
158.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살충제 저항성 벼멸구의 벼멸구 저항성 벼 품종에 대한 생육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2015년 채집한 벼멸구를갖지고 Imidacloprid 약제도태를 실시하여 저항성 벼멸구 계통을 수립하였다. 도태 벼멸구 계통의 추천농도에서의살충력은 살충활성을 감수성 계통(100% 살충력) 비하여 현저히 낮았으며(2.7%), 저항성비는 17.76이었다. Imidacloprid저항성 벼멸구 계통의 9종 살충제에 대한 살충활성을 비교하여 dinotefuran을 제외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acetamiprid, clothianidin, thiamethoxam, thiacloprid)에서는 교차저항성을 확인하였고, 카바메이트계, 피레스로이드계,설폭사민계에는 저항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midacloprid 저항성 벼멸구 계통의 벼멸구 저항성 벼품종인친농(bph2유전자)과 감수성 벼품종인 추청벼에서의 생육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도태계통을 저항성 벼품종에서사육한 처리구에서 기타 처리구에 비하여 1령약충기가 1일정도 빨랐으며, 산란수, 순증가율(R0), 내적자연증강율(rm),배수기간(Dt)에서 유의하게 차이를 보여주었다.
159.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고추재배 시 농경지 관리를 통한 해충억제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재배지 피복관리에 따른 해충과 천적의밀도를 조사하였다. 본 시험은 전북 완주군 내 국립농업과학원 유기재배 포장에서 이루어졌다. 한 시험구는 고추를정식하기 전에 녹비작물 3종(헤어리베치, 알파파, 크림슨)과 초화류 3종(백일홍, 메밀, 수레국화)을 파종하여 고추재배기간 생물피복을 유지하였고, 다른 시험구는 필름(비닐, 부직포)으로 토양을 피복하고 고추를 재배하였다. 시험포장의해충을 조사한 결과, 5월 중순부터 6월 하순까지 필름피복구에서 진딧물의 밀도가 생물피복구에 비해 월등히 높게나타났으며, 총채벌레는 발생이 높았던 6월의 경우 필름피복구가 생물피복구에 비해 밀도가 높았다. 포장내에서3종(거미, 무당벌레, 기생봉)의 천적을 조사하였는데, 종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거미의 경우 생물피복구에서밀도가 높았으나, 무당벌레는 필름피복구에서 밀도가 높았다.
160.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igratory locust, Locusta migratoria, is one of the famous insect pests in the world. Although the species revealsseveral morphological variations, it is largely divided into two lineages, Southern (Africa, Southern Europe, Southern Asia,and Australian) and Northern (East Asia, Eurasian continent). In 2014, a large number of L. migratoria nymphs withred-brown color were suddenly occurred in the southern region (Haenam-gun, Jeollanam-do) of Korea. In this study, mitochondrialCOI sequences were analyzed to recognize the genetic identity of L. migratoria with nymph or adult samples collectedfrom 15 localities in Korea.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most of all samples are belonging to the Nothern lineage,and the Southern lineage was discovered only in Iksan and Chunju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