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1년도 한국응용곤충학회 추계학술발표회 (2011년 10월) 192

포스터 발표

61.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ole of flavonoids in plant against herbivores is well known. Many studies showed that flavonoids are deterrent or have anti-feeding effects to herbivores. In this study phenolic compounds were analyzed as defense materials to brown planthopper (BPH) feeding in four rice varieties using HPLC. Two of them, Chunambyeo and Nackdongbyeo, are BPH-susceptible, and the other two, Chungmo-1006 and Hanambyeo, are BPH-resistant. Changes in flavonoids were investigated by the function of damage period by BPH, Twelve flavonoids were characterized in the four varieties damaged by BPH. Among those flavonoids, apigenin and qurecet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ungmo-1006 damaged by BPH. Thus, resistance of Chungmo-1006 to BPH may be attributed to the increase of the two flavonoids contents.
6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0년 한국의 34개 지역에서 총 68점의 토양을 채집하여 곤충병원성 선충에 대한 분포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지역에서 토양 샘플을 채집하여 미끼 곤충인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 유충을 이용하여 곤충병원성 선충 유무를 확인하였다. 34곳의 토양 샘플 중 곤충병원성 선충이 검출된 지역은 5지역으로 Steinernema속 4종류와 Heterorhabditis속 1종이 발견되었으며 검출율은 14.7% 였다. 곤충병원성 선충의 신속한 분류를 위해 ITS영역을 이용하여 분자생물학적으로 동정한 결과 Steinernema속 4종류는 모두 S. monticolum으로, Heterorhabditis속 1종은 H. megidis로 판명되었다. S. monticolum은 인제군 인제읍, 봉화군 소천면, 봉화군 재산면, 태백시 혈동의 산림 지역에서, H. megidis는 봉화군 재산면의 산림 지역에서 각각 발견 되었다. 곤충병원성 선충이 발견된 지역의 식생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 낙엽송(Larix kaempferi)이 서식하는 지역에서 검출되었다.
6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mmunity structure of ground beetles between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 in rural landscapes along latitudinal gradient, such as Miryang-si, Yeongdong-gun, Icheon-si, and Cheolwon-gun from April to October in 2009. A total of 19 species belonging to 15 genera of 9 subfamilies were identified from 6,253 collected ground beetles. Between forest stands, 14 species belonging to 10 genera of 7 subfamilies were identified from 2,874 ground beetles in coniferous forests and 14 species belonging to 11 genera of 7 subfamilies were identified from 3,379 ground beetles in deciduous forests. Dominant species from 4 regions were Synuchus nitidus (59.4% of total) and Synuchus cyloderus (28.5%) respectively. Analysis of similarity (ANOSIM)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forest stands, but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region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showed that 8 study sites were divergence to 2 major groups between Miryang-si and the others. Overall, community structure of ground beetle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forest stands. In conclusion, rural forests is being discussed about important role in biodiversity conservation such as refuge from human activity, and thus, studies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ground beetles in the rural forests will be important to manage the biodiversity in agricultural landscapes, because ground beetles are well known for general predator groups in the ecosystems.
64.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의 노래 소리는 구조적으로 프레이즈(pharase)와 처프(chirp), 임펄스(impulse)로 구분한다. 왕귀뚜라미의 노래 소리(Teleogryllus emma (Ohmachi et Matsuura))는 프레이즈 당 처프의 횟수로 노래 소리를 유인노래, 구애노래, 경쟁노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왕귀뚜라미의 소리의 처프 횟수를 자동 계수하기위해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ation)을 시도하였다. 웨이블릿 변환은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ation)과 유사하나 삼각함수 대신 적절한 기저함수(Basis function)를 이용하고 이들의 집합으로 신호를 분해하여 정보를 추출하는 수리적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방울벌레의 소리를 Morlet 함수를 기저함수로 사용하여 신호를 분석하였다. 마이크로 녹음된 왕귀뚜라미의 소리를 웨이블릿 변환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여 변환을 하였다. 변환된 신호 중 왕귀뚜라미의 처프 주기와 가장 유사하고 변화폭이 뚜렷한 고주파 영역대의 신호를 선택하였다. 선택된 신호는 적절한 과정(smoothing, interpolation)을 거쳐 처프 횟수를 자동계수하게 된다. 40회의 울음소리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실제 처프 횟수와 계수 횟수를 비교하였다. 두 횟수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R2 값이 0.97로 나타나 자동 계수 값이 실제 처프 횟수를 대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5.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e venom is a rich source of pharmacologically active substance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a bumblebee (Bombus ignitus) venom Kunitz-type serine protease inhibitor (Bi-KTI) that acts as a plasmin inhibitor. Bi-KTI showed no detectable inhibitory effect on factor Xa, thrombin, or tPA. However, it strongly inhibited plasmin, although this inhibitory ability was two-fold weaker than that of aprotinin. The activities of B. ignitusvenom serine protease (Bi-VSP) and plasmin in the presence of Bi-KTI indicate that Bi-KTI targets plasmin more specifically than Bi-VSP. These findings demonstrate a novel mechanism for bee venom by which Bi-KTI acts as an antifibrinolytic agent, raising interest in Bi-KTI as a potential clinical agent.
6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present evidence that the serine protease found in bumblebee (Bombus terrestris) venom exhibits fibrin(ogen)olytic activity. Compared to honeybee (Apis mellifera) venom, bumblebee venom contains a higher content of serine protease, which is one of its major components. Venom serine proteases from bumblebees did not cross-react with antibodies against the honeybee venom serine protease. We provide functional evidence indicating that B. terrestris venom serine protease (Bt-VSP) acts as a fibrin(ogen)olytic enzyme. Bt-VSP activates prothrombin and directly degrades fibrinogen into fibrin degradation products. However, Bt-VSP is not a plasminogen activator, and its fibrinolytic activity is less than that of plasmin. Taken together, our results define roles for Bt-VSP as a prothrombin activator, a thrombin-like protease, and a plasmin-like protease, providing significant support for thepotential use of bumblebee venom serine protease as a clinical agent.
6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cloned venom serine proteases from two bumblebee species, Bombus hypocrita sapporoensis and B. ardens ardens. We compared the predicted mature protein sequences of these serine proteasegenes to those previously reported from other bees. Using B. h. sapporoensis venom serine protease(Bs-VSP), we identify that Bs-VSP acts as a fibrin(ogen)olytic enzyme. Bs-VSP activates prothrombin and directly degrades fibrinogen into fibrin degradation products, as demonstrated for B. ignitus and B. terrestrisvenom serine proteases. Our results further define roles for bumblebee venom serine proteases as fibrin(ogen)olytic enzyme, providing strong evidence that bumblebee venom serine proteases are hemostatically active proteins that are potentially promising therapeutic agents.
68.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친환경농산물의 생산량이 늘고 green korea의 국가 정책과 화학비료 사용량의 감소와 더불어 녹비재배 면적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환경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과와 배 재배지에서 피복작물로써 재배되는 헤어리벳치구와 일반잡초 제초구, 화학제초구에서 5월부터 7월까지 채집된 곤충상 을 조사하였다. 곤충상 조사는 주로 천적종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청색과 황색 끈끈이트랩을 월 1회 3일간 설치하여 조사하였고, 황색수반에 포르말린 3%액을 월 1회 3일간 설치하여 유살된 천적종류를 조사하였다. 배의 헤어리벳치구에서는 총 132마리의 천적이 끈끈이트랩에 유살되었으며, 가장 많이 유살된 종은 광붙이꽃등에로 62마리, 꼬마꽃등에 43마리였다. 사과의 경우 초생 및 친환경방제구에서 56마리의 천적이 유살되었으며 가장 많이 유살된 종은 고치벌과에 24마리, 좀벌과에 10마리 였다. 가장 낮은 천적이 유살된 구는 배 초생 및 화학방제구와 사과 초생 및 화학방제구로 30마리 이하였다. 트랩종류별 유살된 천적의 종류를 비교한 결과, 고치벌과, 좀벌과, 검정알벌과, 맵시벌과, 진디벌과의 벌 종류는 황색에 잘 유인되었으며, 꼬마꽃등에, 광붙이꽃등에, 별넓적꽃 등에는 청색에 잘 유인되었다. 황색수반에 채집된 종수는 전체 조사포장에서 채집된 종수는 53종으로 끈끈이트랩에 유살된 312종보다 훨씬 적어 조사방법으로는 적당치 못하였다.
69.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olyhedrin is responsible to form polyhedra of nucleopolyhedrovirus(NPV) and highly conserved in most completely sequenced in lepidopteran NPVs. Previously, we have reported that the substitution of polyhedrin of Autographa californica NPV(AcNPV) with that of Spodoptera exigua NPV(SeNPV) or Bombyx mori NPV(BmNPV) result the change of polyhedra morpholog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changed polyhedra morphology to the virulence of AcNPV. The recombinant AcNPVs were propagated in Spodoptera frugiperda clone 9, 21 cells and S. exigua larvae. Each collected recombinant polyhedra were used in bioassays using S. exigua larvae. The recombinant AcNPVs show that difference virulence according to the polyhedra morphologies. Internal and external morphological features of each recombinant AcNPV were also compared on the electron microscop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morphology of polyhedra influence the virulence of NPV and is well worth considering for the development viral insecticide.
70.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1년 5월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곰취 재배 포장에 메뚜기류의 피해가 심하게 발생하여 이에 대한 분류동정 및 피해상황, 기주범위 등을 조사하였다. 곰취를 가해하고 있는 메뚜기 약충을 채집, 사육하여 우화 후 분류동정한 결과, 긴날개밑들이메뚜기(Ognevia longipennis Shiraki)로 확인되었다. 포장에서의 피해상황은 노지재배의 경우 가해엽율이 22.5~50.0%, 비가림 시설재배에서는 3.0~12.5%로 나타났으며, 특히 산림과 인접한 지역에서 피해가 심하였다. 긴날개밑들이메뚜기는 곰취 외에도 참취, 고려엉컹퀴, 눈개승마 등의 산채류를 가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작물별 피해정도는 곰취>고려엉컹퀴>참취>눈개승마 순 이었다. 또한 조사지역 외에도 평창군 봉평면, 양구군 양구읍 등의 산채 재배 포장에서도 발생이 확인되었고, 7월 까지 피해가 지속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71.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메리카동애등에(Hermetia illucens)는 대표적인 환경정화곤충으로, 우리나라에는 1990년에 최초로 발견되어 보고(Kim, 1997)되어 외래종으로 취급되고 있는 종이다. 아메리카동애등에는 인공적으로 대량 사육이 가능하여 농가에 보급될 예정이다. 본 연구는 농업과학원 인공 사육 시설에서 발생된 분변토의 성분이 생태계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태독성평가(Acute toxicity test)를 수행하였다. Proteose media로 분변토 성분을 추출하여 인위적으로 침출수를 제조하여 Chlorella vulgaris(UTEX-2714, Chlorophyceae)의 Cell number 증가 여부를 72시간 동안 확인 하였다. 100% 농도에서는 C. vulgaris 성장을 억제하지만, 50% 이하 수준에서는 유의성 있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량 사육시설에서 발생되는 분변토의 경우 사육시설 주변 하천으로 침출수 형태로 유입이 되더라도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추측된다.
7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new genus, belonging to the tribe Hemicrepidini of subfamily Dendrometrinae, from Taiwan is established. The new genus is compared to their related eight genera occurring in Taiwan by cladistic analysis based on diagnostic characters used in generic level.
7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DNA barcoding, the DNA degradation of old museum specimens has been limited full-length (658bp) sequencing.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retrieval and authentication of degraded DNA extracts from fossil and old museum specimens were principally limited to analyze the relatively short sequences (<300 bp). Furthermore, almost protocols in other to analyzed the degraded DNA contained the cloning process after PCR causing the time-consuming and the rising costs. To overcome these problematic circumstances, we tried a modified method to analyze full-length of DNA barcoding region in 30~60 year-old butterfly specimens (225 samples in 28 species), using direct sequencing after PCR with species-specific overlapping primer sets per each species. As a result, all of 28 species have been successfully analyzed, although 178 samples (79%) are completely generated barcoding sequences ranged from 640 to 658 bp and 47 samples (21%) are partially sequenced ranged from 100 to 500 bp. Thus, the result showed that the direct PCR sequencing using the overlapping primer sets per species appears to have great potential efficiency for analysis of degraded DNA without incorrect sequences.
74.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꼬리명주나비(Sericinus montela Gray)는 러시아, 중국 및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동아시아 고유종으로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을 식초로 한다. 봄형과 여름형의 계절형 이외에도 개체간 변이가 매우 큰 종으로 모양이 아름답고 나는 모습이 우아하다. 국접(國蝶) 청원 여론이 있으며, 여러 지자체에서 서식지 복원사업을 추진하는 등 사회적 방향이 큰 나비이다. 이에 꼬리명주나비의 연중 실내대량사육을 통한 산업화 확대 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를 추진하였다. 꼬리명주나비는 자연 또는 인공교배를 통해 채란하여 포장에서 재배한 쥐방울덩굴을 먹이로 누대사육하였다. 15℃에서부터 35℃까지 2.5℃ 간격의 온도 수준에서 꼬리명주나비의 알을 보호한 결과 꼬리명주나비의 알은 15℃ 및 32.5℃ 이상에서는 부화하지 못하고 20~30℃ 사이에서만 부화하였다. 난기간은 17.5, 20, 22.5, 25, 27.5, 30℃에서 각각 13.33, 8.43, 6.49, 5.06, 4.38, 4.01일이었다. 부화율은 저온(92~84%)에서, 사망율은 고온(37.5℃ 35.4%, 30℃ 64.1%)에서 높았다. 유충기간은 15℃ 48.75, 20℃ 18.98, 25℃ 13.32, 30℃ 9.96일 이었으나, 35℃에서는 3령 이후 생존이 불가능 하였다. 번데기 기간은 15, 20, 25, 30, 35℃ 온도 수준에서 각각 28.67, 11.08, 6.97, 5.64, 7.00일이었으며, 우화율은 각각 55.3, 92.5, 85.4, 66.7, 2.2%였다. 특히 15℃에서는 기형이 많아 정상비율이 15.8%에 불과하였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를 산출한 결과 알, 유충, 번데기의 발육영점온도는 각각 10.9, 10.39, 10.34℃였으며,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74.5, 197.6, 125.3일도였다.
75.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α-proteobacterium Wolbachia is maternally inherited and is known to induce reproductive distortions in a wide range of insect taxa such as cytoplasmic incompatibility, feminization, male killing and parthenogenesis (PI). When a female is infected with PI-Wolbachia, she does not need a male to produce female offspring, because the female can produce female offspring via gamete duplication without the aid of sperm. However, in the parasitoid wasp Trichogramma kaykai species, Wolbachia infected parthenogenetic females still produce a fraction of male offspring. Offspring sex ratio for 10 days ar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T. kaykai isofemale line that is infected with PI- Wolbachia. This may be caused by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Wolbachia and the host genetic backgrounds on converting sex of infected eggs.
7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eriodical release of non-viable refrigerated eggs of Riptortus pedestris (Fabricius) has been found to enhance field parasitism level in soybean fields. However, optimum refrigeration conditions required for the eggs in order to preserve its quality to ensure effective level of parasitism for a longer period has been rarely reported. We assessed optimum environment condition for refrigeration of the eggs using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2, 6, and 10℃) and relative humidities (RH) (high, medium and low). Eggs of R. pedestris were refrigerated at nine combinations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for 30 consecutive days. Those eggs were taken out and after 8 days, mated female Ooencyrtus nezarae Ishii (Hymenoptera: Encyrtidae) were individually exposed to the eggs, and their development, emergence, and sex ratio were examined. Number of eggs parasitized was highest (5.9) on eggs stored at 6℃ and high RH. Significantly higher male proportion was recorded in the eggs stored at 10℃. However, RH had no effect on the sex ratio. For both male and female, development time was the least on host eggs stored at 2℃ and high RH. Adult emergence was recorded highest from the eggs stored at 2℃ followed by 6℃ and at high RH. In conclusion, eggs refrigerated below 6℃ at high RH condition maintained better quality of R. pedestris eggs for the parasitization by O. nezarae.
7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tudy investigated the chemical treatment effects on apple borers (Lepidoptera: Totricidae, Carposinidae) when the larvae already bored inside the apple fruits. Infested apple fruits were harvested from the insecticide-free orchards in Giran, Andong on 17 July, 2010. Twenty chemical pesticides registered for the apple borers were treated on recommendation dose with dipping methods. Each treatment consisted of 20 infested apples with average 6.2 larva per apple. Mortality was relatively low, mostly 10% and a few with 30~40%. No larva died inside the apple. But dying larva escaped from apple much earlier than live ones.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sublethal effect.. Escaping time (d) from chemical treatments was longer than that from control where no chemical was treated. After escaping from the apple, in took ap. 2days to become pupae. Pupal periods were ap. 12 days without any difference among treatments. However adult emergence rate was higher in control (10.7%) than in treatments (18.5%). Among survived adults, one third was Carposina sasakii and remaining was Grapholita molesta. On conclusion, timing of insecticide spray is critical in the apple borer management.
78.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ungbean is an important crop in Nepal. Heteropteran bugs, Nezara virudula, Dolycoris baccurum, and Melanacanthus scutellaris are significantly influenc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loss in soybean and mungbean. Though pesticide application is common practice for management of these bugs, pesticide avoidance by the bugs stalls proper management. As an alternative, trap cropping with variety mostly preferred by the bugs as trap crops along with the main crop is considered. Selection of most preferred mungbean variety was performed with six (VC 6173 A; VC 6153 B-20G; VC 3960 A-88; Kalyan; Pratikchha; Saptari local) relative to Saptari local variety.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corded in number of bugs occurrence among the six varieties with maximum number of bugs in VC 6173 (3 bugs/plant) which showed lowest yield. For application, three different trap crop designs were employed in the fiel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in crop i.e. variety Pratiksha and the variety VC6173A used as trap crop in two designs. In conclusion VC6173A is a probable trap crop and the two designs can be employed in the field.
79.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국내 공정육묘(플러그묘) 보급 확산으로 전용 육묘시설 면적의 급속 증가하고 있어, 기존 자가로 유묘를 생산하던 농가에서는 공정육묘장에서 생산된 플러그묘를 활용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맞추어 육묘산업 보호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관리적 기반 구축이 필연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종자에서부터 육묘단계까지 병해충 관리체계의 기반 구축을 위한 공정육묘장의 품질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병해충 관리 종합 매뉴얼 개발 필요하다. 이번 조사는 공정육묘장 관리를 위한 병해충 분야 법적체계 기반 조성 및 관련 자료 제공을 위한 기초 조사와 공정육묘 산업 활성을 위한 육묘장의 병해충의 진단 및 방제기술의 개발을 위해서 수행되었다. 2011년 논산, 안성, 평택, 밀양 등에 위치한 주요 공정육묘장을 대상으로 육묘장내 해충 발생 및 피해 현황을 조사하였다. 육묘장내 발생하는 주요 해충으로는 목화진딧물, 총채벌레, 복숭아혹진딧물, 가루이 등으로 육묘장내 재배 작물, 주변 식생 및 관리 형태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80.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약용작물 재배 증가로 병해충 관리비용이 급증하여 병해충 신속․정확한 진단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 약용작물 가공식품 수요가 증가 및 안전 농산물에 대한 요구로 화학농약 사용 절감 및 잔류를 절감할 수 있는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2010년부터 제천, 음성, 평창 등에서 당귀, 황기, 마, 맥문동, 도라지 등 약용작물에 발생하는 주요 해충들의 발생 및 패해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약용 작물 재배 기간 중 지상부에 발생하여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해충 종으로는 총채벌레, 응애, 진딧물, 나방, 노린재, 딱정벌레, 잎굴파리 등으로 각 작물의 재배 시기 및 형태별로 다양하게 발생 피해를 유발하고 있었다. 특히 재배 초기(5~7월) 진딧물, 응애, 총채벌레 등은 적절한 관리가 행하여지지 않을 경우 부분적으로 많은 피해(10~30%/주)를 유발하고 있었다. 작물 재배 후기(8~10월)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로 유발하는 해충들로는 나방 유충, 노린재, 딱정벌레 류 등으로 주로 지상부 순 끝부분과 열매부위를 가해하여 피해(5~10%/주)를 유발하고 있었다. 재배기간 중 약용작물 근권부를 가해하는 해충으로는 선충 및 파리유충 등 소량 발생하여(2~3%/주) 수확물의 감소를 유발하고 있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