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1년도 한국응용곤충학회 추계학술발표회 (2011년 10월) 192

포스터 발표

101.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조명나방 유충의 기생천적 종류와 기생률 및 월동 후 발생시기를 조사하기 위해 2009년부터 수원, 홍천, 김제, 대구, 평창, 괴산, 밀양지역의 옥수수 및 수수 포장에서 월동 중인 조명나방 유충과 기생천적류를 채집하였다. 각 지역에서 채집된 조명나방 유충과 기생천적류를 국립식량과학원 야외사육상(수원)에 옮겨 기생천적의 종류와 기생률 및 발생시기 등을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Lydella sp.(파리목: 기생파리과)와 조명나방고치벌(Macrocentrous cingulum)(벌목: 고치벌과)이 가장 우점적으로 발생하였으나, 대구와 밀양 채집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조명나방살이자루맵시벌(Eriborus terebrans)(벌목: 맵시벌과)은 조사 지역 중 홍천 채집 유충에서만 발견되는 특징을 보였다. 김제와 괴산에서는 Lydella sp.에 의한 기생률이 각각 약 20%와 약 10%로 다른 기생천적에 비해 조사지역 중 가장 높은 특징을 보였다. 기생천적 발생시기에서는 천적종류와 일부 지역에 따라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조명나방고치벌은 조명나방 성충의 50% 누적발생시기인 6월 초중순에 비슷하게 발생하였으나, 조명나방살이자루맵시벌과 일부지역의 Lydella sp.은 한 달 정도 빠른 5월 초중순에 발생하는 차이를 보였다. 김제, 평창, 홍천에서는 Lydella sp.의 발생시기가 5월 초에 50% 누적 우화되는 반면, 수원, 괴산에서는 6월 초중순에 50% 누적 우화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토착천적류를 보호하고 생물적 방제에 이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10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et armyworm (BAW), Spodoptera exigua (Hübner), is a polyphagous lepidopteran pest mainly distributed in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BAW are known to migrate long distances to find suitable host plants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e possibility of its overwintering in temperate regions has been suspected.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investigating overwintering and phenology of BAW using by sex pheromone trap in Jeju during 2007 to 2011. BAW was able to overwinter at pupae stage regardless of temperature of winter season in Jeju. The times of BAW caught first on traps were different by surveyed years - early March in 2007, middle March in 2008 and 2011 and early April in 2009 and 2010. The times of BAW caught on trap tended to be more dependent on temperature variation during on November and December than on mean temperature of winter season. The peak season of adults of the overwintering generation was early to middle of May. The results of seasonal periodicity of BAW monitored by sex pheromone trap during 2009 and 2010 indicated that five generations were passed in Jeju. The peak season of 1st generation was on middle of April, 2nd generation on middle of July, 3rd generation on early of August, 4th generation on late of August and 5th generation on middle of September. There were similar patterns by different above sea levels except the season of overwintering generation adults occurrence (March to May).
10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rom April 2010 to the present, seasonal occurrence of Riptortus pedestris was investigated. Five locations for population density and migration route tracking were the same as last year (two sites of Mt. Yangseong, Jujung-dong, O-Chang, and the campus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CBNU)). In Mt. Yangseong, separated the farmland (80m) and forest (200 and 300m) by altitude, population density in 2010 was showed high density at mid-June, mid-Aug., and late-Oct., but population density in 2011 was showed high density at late-April, late-July and mid-Aug. In O-Chang and Jujung-dong, population density in 2010 was captured the adult from June to Aug. in the farmland, and from Sept. to Nov. in the forest. Total captured number of R. pedestris were high in farmland than forest. In campus of CBNU, the adult was captured from mid-Jul. to late-Aug. It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population density by its environmental conditions. Attraction effect of pheromone lure trap with soybeans were good than that of pheromone lure trap only. To track the migration of R. pedestris, we painted the fluorescent paint with different color. Being painted 500 R. pedestris were released and recaptured 10 and 20 days after release. Among released 500 R. pedestris at asl 300m on Yangseong site A and B in 25 Apr. were recaptured one at 300 and 80 m at site A, and site B was recaptured one marked R. pedestris adult at 200 m. In 25 May, release at 200 m in site A was recaptured only 80 m with 2 and site B was recaptured 200m with 8 and 80m with 1. Released in 17 Jul. at 80 m, marked R. pedestris adults were recaptured only 80 m with 5 and 2, respectively. It means that R. pedestris adults seem to migrate from the forest to the farmland in this season, but the data from Aug. to Oct. in 2010 was different.
104.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seasonal occurrence of Metcalfe pruinosa (Say) in Chungbuk province and established the optimal control timing. Population densities of nymph and adults were investigated and egg hatching period and oviposition period was examined from three locations (Cheongwon, Jincheon, Eumseong area). Egg hatching period was investigated. The first day of egg hatching observed on May 25, the day of peak egg hatching was on May 29, and the perfect accumulative egg hatching ratio was on Jun. 13. Oviposition period of M. pruinosa female was observed the cut branch (cut within 10 cm length, 1 cm dia.) of oak tree, an althea, and an acacia under stereoscope. The first oviposition was observed at Jul. 28 and continually increased until late-Sept. with sharply increased at mid-Aug. Population density of M. pruinosa nymph was observed the cut branch (cut within 30 cm length, 1 cm dia.) of oak tree, an althea, an acacia, and pear tree. Population density began decreased showing after highest density with 25.3 (Jul. 1). The adult was first appeared at Jul. 11 and showed highest population density with 13.1 (Aug. 4) and then continuously decreased. To control M. pruinosa at pear orchard, optimal control timing for nymph was judged from Jun. 13 to Jul. 2, because of its small size of body and exuviae, low damaging by honeydew producing, low wax materials produced. Second control timing was judged at early Aug., when the adult invading to the pear orchard from near forest and the period before oviposition. The control agents for M. pruinosa were not yet registered, but will be anticipated to register the chemicals such as penitrothion WP, acetamiprid WP, dinotefuran WP, lambda cyhalothrin, thiamethoxam SP in 2012.
105.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ccurrence and rapid range expansion of a fulgorid, Lycorma delicatula(White), has recently been reported in korea. It was previously known to occur in China, Japan, Vietnam and India. The first occurrence fo L. delicatula was reported in 2004 in the Cheonan. It has one generation per year and overwinters as egg masses on the bark of host trees. The number of egg per egg mass was 32.69±6.49. The cumulative ratio of hatchability at different temperature was the highest at 25℃ and the lowest at 10, 30℃. The egg hatchability was investigated in different regions in Chung-buk. Since L. delicatula eggs has been stored in -20±1, 0±1, 5±1℃ conditions for 1 ∼60 days, the cumulative ratio of hatchability was 2% stored in -20±1℃ for 3days, But hatchability was 52, 48% stored in 0±1℃ for 3, 14days and 82, 68% stored in 5±1℃ for 3, 14days. And hatchability was 0% for 60days. By straight regression equation(the growth ratio/treatment degree) the growth zero degree of L. delicatula was 10.4℃. The hatchability of L. delicatula in Cheongwon-gun, Okcheon-gun, Cheongju-city where’s winter lowest temperature was over -19℃ was over 79%. But The hatchability of L. delicatula in Jincheon-gun where’s winter lowest temperature was less than -19℃(continuos two days) was 35%.
10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apsaicin β-glucoside was isolated from the feces of Helicoverpa armigera, H. assulta and H. zea that fed on capsaicin-supplemented artificial diet. The chemical structure was identified by NMR spectroscopic analysis as well as by enzymatic hydrolysis. The excretion rates of the glucoside were different among the three species; those in the two generalists, H. armigera and H. zea, were higher than in a specialist, H. assulta. UDP-glycosyltransferases (UGT) enzyme activities measured from the whole larval homogenate of the three species with capsaicin and UDP-glucose as substrates were also higher in the two generalists. Compared among five different larval tissues (labial glands, testes from male larvae, midgut, the Malpighian tubules, and fatbody) from the three species, the formation of the capsaicin glucoside by one or more UGT is high in the fat body of all the three species as expected, as well as in H. assulta Malpighian tubules. Optimization of the enzyme assay method is also described in detail. Although the lower excretion rate of the unaltered capsaicin in H. assulta indicates higher metabolic capacity toward capsaicin than in the other two generalists, the glucosylation per se seems to be insufficient to explain the decrease of capsaicin in the specialist, suggesting H. assulta might have another important mechanism to deal with capsaicin more specifically.
10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enological distribution of G. molesta, G. dimorpha and C. sasakii and to estimate the emergence timing of three species in plum orchards. It was known that G. molesta and G. dimorpha are a multi-voltine insect and C. sasakii has one to two generations depending on temperature and geographic location. Three species damage to many economically important fruit tree such as plum, pear, peach and apple. The main emergence time of each species is different depending on host plant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pecially temperature. Therefore, if we have the information of population density and low temperature threshold of a species and air mean temperature of a region in previous year we can predict the phenology of a species in present year. This is one part of consecutive research.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in seven plum-growing commercial orchards of Uiseong in 2010 and 2011. The commercial pheromone monitoring traps (GreenAgroTech)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flight phenology of three speices. The record of temperature was received from meteorological center close to monitoring orchards. The relationships between degree-day accumulated above the low temperature threshold and cumulative proportion of accumulated moth caught of previous year was used to predict the phenology of three species in present year. The results of G. molesta and G. dimorpha estimated by bimodal functions were better than those analyzed by nonlinear functions. The phenology of C. sasakii was analyzed well by nonlinear function and the equation 3, 6, 8 and 11 were selected based on AICc and BIC. The selected equations were validated in each orchard.
108.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rapholita molesta, G. dimorpha and C. sasakii as “internal feeders” are important apple pests in Korea. Three species overwinters around and in apple orchards. New young larvae of three species bore into new shoots or fruits and then feed inside apple. When mature larvae escape from fruits they make holes that reduces the commercial value of fruit. Therefore, understanding the phenological distribution of three species is critical to establish the precise management system for reducing three species popul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dult emergence of G. molesta, G. dimorpha and C. sasakii using pheromone traps and to forecast the cumulative proportion of each population. This study is second part of consecutive experiment.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on three commercial apple orchards and one experimental orchard of Giran in 2010 and 2011. The experimental process was same in the study of plum. More than 50% of G. molesta male was occurred in spring season (within 500 degree-days), 2010 and 2011. The adult emergence of G. dimorpha and C. sasakii was linear and sigmoidal pattern in each year. The phenology of C. sasakii was explained well by nonlinear functions and the equation 3, 6, 8 and 11 were selected based on AICc and BIC. The selected equations were validated by the data of present year (2011) in each region. The performance of G. molesta and G. dimorpha was analyzed well by bimodal functions. The importance of phenological model is discussed to develop and maintain a more precise system for multiple pest management on apple orchard.
109.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derstanding the spatial pattern of G. molesta and the temporal variation of their patterns are important to develop and maintain pest management programs in fruit orchards. The overwintering larvae of G. molesta pupate early in the spring and new adults begin a flight for several reasons such as mating, seeking resources (food or shelter) and oviposition. It was known that G. molesta presented “low movement activity” and male G. molesta flight behavior was closely related to the proximity of its host crops. Unmated males remain near the site of emergence in order to find and copulate with unmated females. The fruit-bearing status of orchards are important factors for G. molesta movement. To elucidate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emporal variation of G. molesta within and among orchards, pheromone traps targeting male G. molesta were used because the trap represent a reliable and economic tool for monitoring adult G. molesta popula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apple orchards (one is isolated from other fruit orchards and another is surrounded by apple orchards), Andong and in seven plum orchards, Uiseong, 2010. Using spatial analysis by distance indices, the spatial pattern of G. molesta in each sampling date was presented. In the study of the spatial pattern within apple orchard, the index of aggregation (Ia) of isolated orchard were presented >1, indicating an aggregated distribution pattern, from monitoring results. The spatial association between successive monitoring using X (the index of spatial association) was negative during spring season and after then the value was changed to positive. In the experiment of the spatial pattern among orchards, the index of aggregation was >1 in most monitoring date and the index of spatial association was negative during early and late growing season. Factors influencing the spatial-temporal dynamics of G. molesta are discussed.
110.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ny insects prefer lights with certain spectral properties, and such preferences may be associated with behavioral contexts such as mating, host-finding or dispersal.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is a newly invasive species in Korea and is spreading rapidly. They are diurnal and may rely on visual cues for orientation. We conducted a series of three experiments to determine possible cues of visual orientation in L. delicatula: light/dark choice, UV/white light choice, and spectral preference experiments. Nymphs of the third and final stages as well as adults were used for these three experiments. In the light/dark choice experiment where insects had a choice of white light and darkness in a T-maze, L. delicatula oriented toward the white light, regardless of stage and sex. In a choice of UV and white light, L. delicatula preferred the UV light with 395 to 410 nm in wavelengths, throughout all stages and sex. In the spectral preference experiment where insects had a choice of four monochromatic colors in a circular arena, L. delicatula stayed significantly longer in the blue light than in white, yellow and green lights. Overall, nymphs and adults of L. delicatula oriented toward lights with shorter wavelength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behavioral contexts under which L. delicatula prefer the UV and blue lights.
111.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종류의 식품 및 저장물을 가해하고 저장해충들 중 가장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며 우리나라 식품제조 및 가공회사의 곤충관련 클레임 중 60~70%를 차지하는 화랑곡나방 (Indian meal moth)을 대상으로 두 실온조건(실험실, 복도)에서 발육 양상을 비교, 조사하였다. 실험실조건에서 화랑곡나방의 발육일수는 암, 수 각각 44.99±3.26일, 43.82±3.79일 이었으며, 복도조건에서는 각각 58.12±7.91일, 57.67±8.27일로 조사되었다. 화랑곡나방 유충의 두폭을 토대로 각 령기 별 두폭의 크기를 조사한 결과 실험실조건의 경우 2령, 3령, 4령은 각각 0.412, 0.590, 0.841mm 이었으며, 복도조건에서는 각각 0.427, 0.640, 0.883mm로 조사되었다. 또한, 실험실과 복도조건에서의 유효적산온도와 유충 두폭 크기와의 관계는 실험실조건에서는 5일 간격으로 6번, 복도조건에서는 5일 간격으로 9번째 이후 성충이 우화하여 복도조건에서 발육기간이 실험실 조건보다 더 길게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를 토대로 적산온도의 값을 얻을 수 있다면 그 적산온도에 해당하는 유충 두폭의 크기와 령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11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새만금간척지역에서 재배되는 작물별로 왕담배나방(Helicoverpa armigera)의 피해와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왕담배나방이 가해하는 작물은 세스바니아, 헤어리벳치, 옥수수, 감자, 유채 등 이었으며, 피해는 옥수수, 감자, 유채, 헤어리벳치에서 피해가 심하였다. 1차 성충은 성페로몬 트랩에 4월 하순부터 발생되어 5월 중순경에 최고발생밀도를 보였고, 5월 하순 이후로 감소하였다. 또한, 2차 성충은 7월 상·중순, 3차 성충은 8월 상순에 최고발생밀도를 보였으나, 발생량은 1차에 비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유충발생은 5월 상순부터 발생되기 시작하여 6월 상순에 최대발생밀도를 보였고 그 이후로 점점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간척지 작물에 발생하는 왕담배나방의 방제적기는 5월 중순이었다. 왕담배나방의 친환경적 관리를 위해 나방류 해충에 살충력이 있는 자체개발균주 HARI042 등 몇 가지 균주를 대상으로 왕담배나방의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HARI042, HARI005 및 HARI006의 왕담배나방의 3일차 살충률은 각각 91.7, 15.0 및 0%로 HARI042의 살충률이 가장 높았다.
11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매미나방(Lymantria dispar(Linne))는 나비목(lepidoptera) 독나방과(lymantriidae)에 속하는 해충이다. 유럽계통 매미나방의 유입으로 미국 북동부, 캐나다 남동부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어 북미에서 유입을 막고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나 이에 대한 생물학적 특성이나 생활사에 대해 명확히 연구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미나방의 온도별 발육특성을 연구하여 매미나방의 생활사를 이해하고 검역과 방제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매미나방의 난괴는 지난 해 산란된 난괴를 채집하였고, 한국유용곤충연구소에서 제작한 인공사료를 먹이로 하여 항온조건(20, 25, 30℃)에서 부화율과 발육 기간을 조사하였다. 상대습도는 70%, 명암14L:10D로 고정하고, 조사는 24시간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매미나방의 알 부화율은 모든 온도에서 95%이상 이였으나, 30℃ 일부 지역에서 낮은 부화율을 보였다. 암수 모두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육기간이 짧아지는 선형 패턴을 보이며, 알과 유충의 발육기간 번데기기간은 온도가 높을수록 발육기간은 단축되었다(암컷 알: 20℃; 12.11±2.43일, 25℃; 9.86±1.40일, 30℃; 8.38±1.14일, 수컷 알: 20℃; 12.27±1.83일, 25℃; 10.36±2.43일, 30℃; 9.68±2.15일, 암컷 유충: 20℃; 24.77±2.15일, 25℃; 20.00±0.84일, 30℃; 15.18±1.41일, 수컷 유충: 20℃; 20.61±1.51일, 25℃; 14.17±0.55일, 30℃; 10.99±0.93일, 암컷 번데기: 20℃; 17.61±1.03일, 25℃; 13.05±0.85일, 30℃; 10.65±0.41일, 수컷 번데기: 20℃; 20.39±0.74일, 25℃; 13.43±0.72일, 30℃; 11.55±0.68일). 알과 유충의 발육 중 폐사율은 30℃에서 가장 높게 나왔다(20℃; 1%, 25℃; 6%, 30℃; 30%).
114.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북 익산시 비닐하우스 엽채류 비트에서 발생하는 흰띠명나방을 채집하여 사육실(25±2℃, 16L:8D, RH 65±5%)에서 누대사육하며 흰띠명나방의 발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유충의 각 영기별 두폭은 각각 0.204, 0.341, 0.578, 0.890 및 1.363mm이고, 2령에서 5령까지의 성장률은 각각 1.67, 1.69, 1.54 및 1.53이다. 온도발육 실험 결과, 알에서 성충 우화 전까지의 발육기간은 17.5℃에서 51.0일로 가장 길었고, 35℃에서 14.6일로 가장 짧게 조사되었다. 온도와 발육율의 관계를 직선회귀에 의해 분석한 결과, r2값이 0.87 이상으로 나타났다. 알부터 성충 우화 전까지의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10.4℃와 384.7일도를 나타내었고, 각 태별 발육모형은 r2값이 0.97~0.99였다. 성충수명은 5.4일에서 15.6일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짧아졌으며, 암컷의 수명이 수컷의 수명보다 길었다. 총산란수는 25.0℃에서 121.9개로 가장 많았고, 35℃에서 11.4개로 가장 적었다. 순증가율(RO)은 25.0℃에서 53.5이었고, 내적자연증가율(rm)과 기간증가율(λ)은 30.0℃에서 각각 0.16과 1.17로 가장 높았으며, 배수기간(Dt)은 30℃에서 4.46으로 가장 짧았으며, 평균세대기간(TO)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짧아져 35℃에서 14.8로 가장 짧았다.
115.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과원내의 총채벌레 발생시기 및 밀도를 조사하기위해 포도 수출단지로 지정된 상주시, 영천시, 영동군의 과원내의 총채벌레 발생시기 및 밀도를 조사하기위해 각각 6곳의 과원(수출과원 3곳, 일반과원 3곳)을 선정하여 각각의 과원에 Yellow Sticky Trap과 Blue Sticky Trap을 설치하여 월 3회(10일 간격) 조사한 결과 총 30439개체의 총채벌레가 채집되었다. 조사지역별로 상주시에서는 7102개체, 영천시에서는 14623개체, 영동군에서는 8714개체가 각각 채집되었다. 수출 여부에 따라서는 수출과원에서 12033개체, 비수출과원에서 18406개체가 채집되었고, 설시한 트랩의 색상에 따라서는 Yellow Sticky Trap에서 5196개체, Blue Sticky Trap에서는 25243개체가 채집되었다. 수출과원과 비수출과원의 여부 및 Yellow Sticky Trap과 Blue Sticky Trap에 따른 결과는 비수출과원의 Yellow Sticky Trap은 3243, 비수출과원의 Blue Sticky Trap은 15163. 수출과원의 Yellow Sticky Trap은 1953, 수출과원의 Blue Sticky Trap은 10080로 나타났다.
11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포도과원에서 발생하는 병해충의 발생시기 및 밀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주시, 영천시, 남원시의 포도과원에서 5월과 6월에 월 1회씩 지역별 8곳(수출과원 4곳, 비수출과원 4곳)의 과원에서 포도나무 20주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1000주(92422엽)의 포도나무에서 발견된 병은 잿빛곰팡이병 4엽(0.005%), 갈반병 4623엽(5%), 해충은 노린재목 1586엽(1.72%), 매매목 10엽(0.01%), 딱정벌레목 324(0.35%), 기타 110엽(0.12%)이였다. 수출과원에서 병은 갈반병 1338엽(2.59%)였고, 해충은 노린재목 682엽(1.32%), 매매목 10엽(0.02%), 딱정벌레목 202엽(0.39%), 기타 82엽(0.16%)이고, 비수출과원에서는 병은 잿빛곰팡이병 4엽(0.01%), 갈반병 3285엽(8.07%),이였고, 해충은 노린재목 904엽(2.22%), 딱정벌레목 121엽(0.30%), 기타 28엽(0.07%)이였다.
11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딸기재배지에서 피해를 주는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의 피해를 경감하고자 두선충이 복합 감염된 논산 딸기재배지에서 여름철 휴경기에 녹비(Crotalaria)재배, 태양열소독과 녹비재배후 태양열소독 처리에 의한 선충의 밀도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녹비작물을 2개월간 키운 다음 잘라서 토양에 넣은후 태양열 소독한 처리구에서 무처리에 비해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은 각각 99%의 밀도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태양열소독 단독 처리구에 비해 방제효과가 높았다. 그러나, 녹비재배 처리구는 무처리에 비해 선충밀도 억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녹비재배전 선충밀도는 뿌리혹선충 154마리/토양 100g, 뿌리썩이선충 725마리/토양100g에서 딸기정식 6개월후의 녹비재배+태양열소독 처리구의 토양100당 선충밀도는 뿌리혹선충 1마리(무처리 130마리), 뿌리썩이선충 0마리(무처리 2,889)였으며, 태양열소독 처리구는 뿌리혹선충 6마리, 뿌리썩이선충 59마리로 감소한데 비해, 녹비처리구는 뿌리혹선충 695마리, 뿌리썩이선충 819마리였다. 녹비재배후 태양열 소독 처리구의 딸기 생육은 무처리에 비해 초장은 142%, 건물중은 133% 높았다.
118.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충북 보은군의 대추나무 재배지에서 잎이 말리는 해충 피해 증세가 보고되었으며, 산림해충 전문가들이 2011년 6월 20일 현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기록이 없는 혹파리 일종으로 확인되었다. 이 혹파리는 국내 처음 발견된 해충이며, 종 수준의 동정을 실시하고 있지만 관련된 자료가 미약하여 속수준의 동정까지 실시 하였다. 현재까지 조사 결과 중국의 대추나무 재배 단지에서 큰 피해를 주고 있는 Dasineura datifoia와 생태 및 피해 양상이 매우 비슷하나, 이 종의 정확한 종기재가 확인되지 않아 종명을 확정하지 못하였다. 대추나무의 잎을 가해하므로 대추나무잎혹파리(가칭) 국내 해충명을 명명하였으며, 해충의 생태 등의 조사가 진행 중에 있다. 대추나무잎혹파리의 피해 증세는 대추나무의 신초가 자라기 시작하는 6월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초기에는 신초부위에 어린 잎이 피해를 받으면 갈색 반점이 생기며, 잎이 자라면서 잎의 앞면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말리며, 말린 잎을 펴보면 우유빛의 혹파리 애벌레들이 발견된다. 하나의 잎에 한마리에서 여러마리까지 발생하며, 혹파리의 피해를 받은 신초는 윗부분이 갈색 또는 흑색으로 변하며 고사하게 된다. 다 자란 혹파리 애벌레는 땅속으로 들어가 고치를 만들고 용화하며, 다시 성충으로 우화하여 계속 피해를 준다. 현재까지 관찰 결과 1년에 3회 이상의 발생을 보이고 있다.
119.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북지역에서 2010년 7월 순창군 인계면 복분자와 주변 두충나무에서 최초 발견된 갈색날개매미충은 국내 보고된 먹날개매미충과 유사하나 다른 종으로 보고되었고, 외부에서 유입된 외래해충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북지역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의 분포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2011년 순창군 인계면을 중심으로 한 순창군 11개면과 김제시 금구면 주변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으나, 발생이 보고된 지역 외에는 발생을 하지 않았고, 최근 완주군 소양면에서 발생이 보고되었다. 이들 발생지역을 대상으로 2010년에서 2011년까지 갈색날개매미충의 기주범위를 조사한 결과 순창군 인계면에서는 두충나무, 복분자, 감나무, 뽕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 두릎나무, 오가피, 서양참나무, 이팝나무, 사철나무, 장미, 골담초, 백일홍, 블루베리 등 16종의 기주에서 발견이 되었으며, 김제시 금구면에서는 산수유, 매실, 밤나무, 단풍나무, 철쭉, 참나무, 붉나무, 싸리나무, 느티나무, 아카시아 등 목본류 11종과 칡, 쑥, 승마, 원추리 등 초본류 4종에서 발견되고, 완주군 소양면에서는 감나무, 블루베리, 느티나무, 두릎나무 등 4종에서 발견되어 총 29종의 기주를 확인하였다. 이 중에서 두충나무, 감나무, 느티나무, 산수유, 매실, 밤나무, 단풍나무, 블루베리 등 8종의 기주를 주로 선호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약충을 대상으로 온도발육을 조사한 결과 1령에서 5령까지 4회의 탈피를 하고 성충으로 우화하였으며, 각 약충태별 발육기간은 25±1℃ 실험 실내에서 1령 5.5일, 2령 7.7일, 3령 8.5일, 4령 8.9일, 5령 10.6일 정도이고, 온도가 높을수록 빨라지는 경향이며, 15℃에서는 우화를 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우화 후 성충은 약 2개월 정도는 산란을 하지 않았다.
120.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사과와 자두 과수원에서 성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복숭아순나방붙이 (Grapholita dimorpha Komai) 수컷성충의 발생소장을 이해하고 사과와 자두과수원에서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발생동태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사과과수원은 경북 안동시 길안면에 소재하고 있는 관행재배과수원 3곳과 무농약재배 과수원 1곳을 지정하였고, 자두과수원은 경북 의성군 봉양면 소재 관행재배 과수원 7곳을 지정하였다. 상용되고 있는 성페로몬을 이용하여 (Z8-12:Ac, E8-12:Ac 85:15) 일주일 간격으로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발생소장을 기록하였다. 사과과수원의 경우 최초 복숭아순나방붙이이 포획된 시기는 2010년에 5월 22일, 2011년에 4월 12일이었는데 이는 3월과 4월의 평균 기온이 2011년에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사과과수원에서 최초 발생피크는 5월 중순이 있었고 8월 초순에 유사한 피크가 나타나는데 현재의 결과로서는 복숭아순나방붙이의 세대를 정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웠으나 4세대를 갖는 것으로 유추되었다. 사과관행방제과수원보다는 무농약재배지역에서 많은 수의 복숭아순나방붙이가 포획된 것으로 보아 관행방제지역에서의 복숭아순나방붙이가 무방제구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두과수원의 경우 최초 복숭아순나방붙이이 포획된 시기는 2010년에 5월 22일, 2011년에 4월 5일이었다. 자두과수원의 경우 재배지역의 지형적 특징(산사면과 평지)에 따라서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발생패턴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평지에 있는 자두과수원의 경우 2010년과 2011년에 8월 초순에 가장 많은 개체수가 포획된 반면산사면의 경우 5월 초순과 8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가 포획되어 지형에 따라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발생이 다르게 나타남이 조사되었다. 2011년, 안동과 의성 기상센터에서 조사된 평균기온의 차이가 매우 작았음에도 불구하고 복숭아순나방붙이의 최초발생일이 차이가 있었던 것은 자두가 사과보다 먼저 새순을 만들기 때문에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발생이 자두에서 먼저 일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