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2015년 10월) 278

일반곤충

101.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paper provides keys to tribes, genera and species and synonymic lists for the 14 butterfly species belonging to eight genera of Nymphalinae (Lepidoptera: Nymphalidae) from Myanmar: Junonia hierta (Fabricius), Junonia orithya (Linnaeus), Linnaeus),Junonia lemonias (Linnaeus), (Linnaeus), iphitaCramer), Vanessa indica (Herbst), Symbrenthia lilaea (Hewitson), Yoma sabina (Cramer), Polygonia c-aureum (Linnaeus), Hypolimnas misippus (Linnaeus), Hypolimnas bolina (Linnaeus), Kallima limborgi (Moore), Kaniska canace (Linnaeus). Species accounts include taxonomic description, distributional ranges and adult illustration are briefly described.
102.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X선 조사가 담배나방의 태별 발육 및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선량 결정을 위한 예비조사 결과, 담배나방 6령유충, 번데기 및 성충은 500 Gray (Gy) 이상 처리시 모두 사망함을 확인하여 본 실험에서는 그 이하 5개 조사선량(100, 200, 300, 400 및 500 Gy)을 설정하였다. 알에 대한 조사결과, 300 Gy 이상 처리시 알의 부화율은 대조구 대비 약 50% 이상 감소하였으며 200 Gy 이상 처리시 유충사망률은 100%에 그리고 100 Gy 처리시 유충 사망률(85.36%)과 번데기 사망률(14.65%)을 합하여 100%에 달하였다. 6령 유충에 대한 조사결과, 400 및 500 Gy 처리시 100% 사망하였으며, 100 ~ 300 Gy는 일부 유충이 생존하였으나 기형 용화, 용화중 사망, 기형 우화 등으로 100% 정상우화가 억제되었다. 번데기에 대한 조사결과, 500 Gy 처리시 번데기사망 및 기형 우화로 100% 정상우화가 억제된 반면 200, 300 및 400 Gy 처리시 정상 우화 개체가 존재하였으며, 100 Gy 처리시 암컷 1개체당 10.39개의 알을 산란하였으며 이들 중 7.17%는 부화하여 번데기는 200 Gy 이상 처리시 F1 발생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알 및 6령 유충은 100 Gy 이상 처리시, 번데기는 200 Gy 이상 처리시 F1 세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성충의 경우 100 Gy 이상의 모든 처리구가 산란하였다. 그러나 200 ~ 500 Gy 처리구는 부화하기 않았으나 100 Gy의 경우 9.37%가 부화하였다. 성충 암수중 한쪽만 X-선 처리 후 교미토록 하였을 때 암수모두 500 Gy 처리구에서만 산란된 알이 부화하지 않아 암수 중 한쪽만을 처리한 경우 양쪽을 처리한 경우에 비해 훨씬 X-선의 생식 제어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파프리카 수출시 문제가 될 수 있는 번데기를 파프리카 내부에 500 개체 2 반복 접종한 후 X-선 300 Gy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정상 우화 개체는 각 2% 및 1.58%에 이르렀으나 소수의 알만이 산란되었고 이들은 부화하지 않아 파프리카 수출시 관리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03.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국과 미국간의 파프리카 생과실 수출 시 문제가 되는 담배나방 (Helicoverpa assulta)의 검역기준설정을 위한 현장 적용 시험을 수행하였다. 검역현장에서 발생 가능성이 있으며 감마선 내성이 강한 종령 유충 및 번데기를 파프리카 내부에 각 태별 1,000개체 이상을 2반복으로 접종한 후 정상 성충 우화 제어선량인 200 Gy 및 300 Gy를 조사하였다. 조사 후 파프리카 상자의 흡수 선량 균등성 비율은 1.14 ~ 1.17로 상자내 위치에 따른 흡수선량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대량 실증 연구의 수행결과 유충의 경우 200 Gy 조사시 유충 사망률이 89.16%, 기형 용화율이 7.57% 그리고 정상 용화율3.27%로 나타났으며, 교미 가능한 정상 성충의 우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번데기의 경우 400 Gy를 조사한 경우 88.36%가 번데기 상태에서 사망하였고 11.65%가 기형 우화 하였으나 정상 성충 우화개체는 나타나지 않아 번데기는 400 Gy 이상 처리시 정상 성충의 발생을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104.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북 군위군에 위치한 팔공산의 딱정벌레목 곤충상 모니터링을 위하여 고도별 3개 지점으로 분류하여 유아등 채집, 함정트랩, 스위핑 채집으로 정량 조사하였으며 2014년 6월부터 8월까지 총 3회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총 23과 82종 571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주요 채집 결과는 잎벌레과(24.4%), 딱정벌레과(13.4%), 무당벌레과(12.2%) 순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개체수는 딱정벌레과(41.9%)가 239개체로 가장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으며 잎벌레과(25.4%), 나무좀과(11.2%), 금풍뎅이과(6.1%) 순으로 나타냈다. 각 지점의 군집 분석은 다양도(H′), 우점도(DI), 종풍부도(RI), 종균등도(EI) 및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105.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ycanid butterfly, Shijimiaeoides divina (Lepidoptera: Lycaenidae) is listed as the second-degree endangered wild animal in Korea from 2012. The 15,259-bp long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species consisted of a typical set of genes (13 protein-coding genes, two rRNA genes and 22 tRNA genes) and one major non-coding A+T-rich region, with the typical arrangement found in majority of Lepidoptera. The 15,259-bp long S. divina mitogenome is well within the range found in Lycaenidae and has typical sets of 37 genes and a major non-coding A+T-rich region as 379 bp. As other lycanid butterflies S. divina COI also started with CGA. The gene arrangement of S. divina is identical to that of the Ditrysia in Lepidoptera that has the order trnM-trnI-trnQ (underline for inverted gene) between the A+T-rich region and ND2. Comparison of the skewness between the PCGs encoded in major and minor strand indicates a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em in GC skewness (0.261 ~ 0.340 in minor strand vs. -0.081 ~ -0.115 in major strand). The 151-bp intergenic spacer sequence of the S. divina mitogenome is spread over 16 regions ranging in size from 1-53 bp. The longest one (53 bp) located between trnQ and ND2 shows substantially high sequence homology to neighboring ND2 may indicating the origination of the region by a partial duplication of the ND2 gene. One of the unusual features of the S. divina mitogenome is the presence of a trnK-like sequence that is encoded at the major strand of the genome in the A+T-rich region.
106.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화산은 충북 괴산군에 위치한 가장 높은 산으로 본 연구는 백화산 일대를 중심으로 산림생태계내 기후변화에 따른 곤충종의 분포상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500, 700, 900m 고도에서 조사지점을 선정하고 버킷식유아등트랩과 함정트랩을 이용하여 정량채집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동온습도계(HoBo Pro V2)를 설치하여 1시간 간격으로 온습도를 측정하였다. 고도별 현지조사 결과 총 200종 15,469개체가 조사되었으며, 딱정벌레과 총 12속 18종 473개체, 나비목(나방) 총 14과 173종 1,294개체, 개미과에서 총 9속 9종 13,702개체가 확인되었다. 본 조사결과 국립수목원(2011)에서 지정한 기후변화취약곤충류 중 갈색발왕개미, 작은산누에나방 등의 남방계 곤충 7종과 극동혹개미, 썩은잎가지나방 등 북방계 곤충 7종의 분포가 확인되었다.
107.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Kentrochrysalis streckeri Staudinger, 1880 is distributed in Russia, Mongolia, China, and North Korea, whereas K. consimilis Rothschild & Jordan, 1903 has been known to occur South Korea and Japan.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at the specimens from South Korea were K. streckeri, rather than K. consimilis based on morphology, DNA barcode, and nuclear elongation factor 1 alpha (EF-1α) sequences. The major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K. streckeri and K. consimilis include the shape of wing pattern elements of fore- and hindwings and male and female genitalia. A DNA barcode analysis of the South Korean specimens and K. streckeri originated from Russia showed a maximum sequence divergence of only 0.659% (four bp), whereas the barcoding sequence of K. consimilis sequenced in this study and GenBank-registered sequence (JN678086), both of which originated from Japan showed the minimum sequence divergence of 2.965% (18 bp), indicating that the Korean specimens are, in fact, K. streckeri, instead of wrongly known K. consimilis. Phylogenetic analyses both by Bayesian Inference and maximum likelihood methods well supported the monophyly of South Korean specimens and Russian K. streckeri, excluding K. consimilis. The EF-1α-based sequence and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two species also supported the data from DNA barcode, indicating distribution of K. streckeri in South Korea, instead of K. consimilis.
108.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potted-wing drosophila (SWD), Drosophila suzukii (Diptera: Drosophilidae), originally distributed across a few Asian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has invaded North America and Europe, but is absent from Australia. In order to export the South Korean grape cultivar Campbell Early to Australia, its potential to serve as oviposition and development medium for SWD must first be determined.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oviposition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SWD on Campbell Early, after elucidating the SWD life cycle and establishing an artificial diet-based mass-culturing system. An investigation of the life cycle under five temperature regimes (16, 19, 22, 25, and 28°C) showed that the durations of the egg, larval, and adult stages were shorten when temperature was increased from 16, 19, 22, 25, and 28°C, but pupal duration was shortest at 25°C and extended again at 28°C. A test of oviposition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SWD on Campbell Early grape clusters showed oviposition of 30.8 ± 6.8 eggs per cluster of injured grapes and 157.7 ± 16.2 eggs on a culture dish of artificial diet. However, in a similar experiment using uninjured grape clusters, only a single egg was deposited on the grape skin, which soon dried. In light of these results, newly harvested grapes left at vineyards during daily harvests are unlikely to serve as an oviposition and development medium for SWD, as long as the grapes remain uninjured.
109.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aturnia (Rinaca) jonasii Butler, 1877 is distributed in Japan, including Tsushima Island and Taiwan, whereas S. boisduvalii Eversmann, 1846 is distributed in northern areas, such as China, Russia, and South Korea.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at the specimens from Mt. Hallasan on Jejudo, a southern remote offshore island, were S. jonasii, rather than S. boisduvalii based on morphology, DNA barcode, and nuclear elongation factor 1 alpha (EF-1α) sequences. The major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pecies included the shape of wing pattern elements of fore- and hindwings and male and female genitalia. A DNA barcode analysis of the sequences of the Jejudo specimens and S. boisduvalii, along with those of Saturnia species obtained from a public database showed a minimum sequence divergence of 4.26% (28 bp). A phylogenetic analysis also showed clustering of the Jejudo specimens with S. jonasii, separating S. boisduvalii (Bayesian posterior probability = 0.99). The EF-1α-based sequence and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two species from Jejudo Island and the Korean mainland showed the uniqueness of the Jejudo specimens from S. boisduvalii collected on the Korean mainland, indicating distribution of S. jonasii on Jejudo Island in South Korea, instead of S. boisduvalii.
110.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sequenced the complete mitochondrial (mt) genome of Camponotus atrox (Hymenoptera: Formicidae) that is distributed only in Korea. This genome is 16,540 bp in size, contains typical sets of genes (13 protein-coding genes, 22 tRNAs, and two rRNAs). The C. atrox A+T-rich region is the longest in the sequenced ants as 1,402 bp and is comprised of an identical tandem repeat consisting of six 100-bp copies and one 96-bp copy. A total of 315 bp of intergenic-spacer sequences were spread over 23 regions. An attempt to align spacer sequences in ants turned out that alignment was mostly feasible among congeneric species, with a substantial sequence divergence, indicating the potential of these sequences as congeneric molecular markers. The A/T content in first and second codon positions of PCGs are similar in ants including C. atrox (73.9 vs. 72.3% on average). Estimation of degree of genetic divergence (e.g. non-synonymous substitution rate) with an increased taxon sampling among hymenopteran superfamilies indicated the presence of different rates of divergence between the suborders Symphyta and Apocrita as has previously been reported. The C. atrox mt genome has a unique gene arrangement, trnI-trnM-trnQ at the A+T-rich region and ND2 junction (underline for inverted gene), possibly originated from tandem duplication of trnM-trnI, resulting in trnM-trnI-trnM-trnI-trnQ and loss of first trnM and second trnI, resulting in trnI-trnM-trnQ.
111.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과거, 국내에서는 1983년도까지 Crambidae과를 ‘벼명나방무리’라고 불렀다. 1983년부터 ‘포충나방과‘로 개칭된 이래로 현재까지 포충나방과로 불리고 있다. 보통 국명을 명명할 때에는 각 과에 해당하는 종들의 대표적 생태적, 형태적 특징을 이용한 이름을 이용하여 명명한다. 산명나방아과, 물명나방아과, 들명나방아과 등, Crambidae과가 속한 아과에는 주로 서식지를 특징으로 한 이름이 국명으로 지정되었다. 미국에서는 Crambidae과를 일반명으로 ‘Grass moth’로 명명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일반명을 ‘草螟科’로 명명하고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Crambidae과의 대표 아과인 Crambinae아과가 주로 서식하는 부들이나 옥수수 등의 초본류를 대표하는 ‘풀’이라는 단어를 따서 풀명나방과로 개칭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에 분포하는 Crambinae아과 48종 중, ‘포충’이란 국명이 들어간 40종에 대한 국명 또한 개칭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대중화하고자 한다.
112.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amily Tineidae belongs to the superfamily Tineoidea, with about 2,500 species belonging to 450 genera all over the world (Robinson, 2009). Adult are usually very small to medium-size, 5-20 mm in the wingspan. Larvae feed on fern, lichens, fungi, animal detritus such as feathers, skin and fur and on vegetable matter. In Korea, family Tineidae is reported 7 subfamilies, 26 species (Korean Checklist, 2009), while in Japan reported 13 subfamilies, about 60 species (Hirowatari et al., 2013). In the present study, the species of Korean tineidae are reviewed, with their life cycle, habitat, and food-sources such as keratin materials. We collect that and rear in the rearing cage. Main target of this research is subfamily Tineinae, and is larvae feed on a variety of substrates that contain either keratin or chitin sources such as feathers, fur, pellets, arthropod remains, guano, and wool. In this study we recognized 36 species including 4 newly recorded from Korea for the first time.
113.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북방수염하늘소는 솔수염하늘소와 같이 소나무재선충병을 유발하는 소나무재선충의 주요 매개충으로 소나무류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북방수염하늘소는 형태적으로 다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이들을 구분하는 뚜렷한 표현형이 제시되지는 못한 실정이다. 북방수염하늘소의 종내다양성 조사를 위하여 충북, 경기, 강원지역에서 채집된 표본을 대상으로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c oxidase 1 유전자의 DNA barcode를 확보하고 계통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로 다른 계통을 보이는 두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는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개의 그룹은 2.4-2.6의 K2P distance를 나타내었으나 형태적으로 구분되는 특징은 파악되지 않았다. 각 그룹의 북방수염하늘소 수컷의 생식기 검경결과 I 그룹 표본의 파악기 (paramere) 길이가 II그룹의 표본보다 다소 짧고 약간 넓은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두 그룹 간에 북방수염하늘소가 계통적으로 분화가 진행 된 것으로 사료되지만 두 그룹간의 명확한 지역적 분포의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는 점에서 종 분화의 원인에 대해서는 현 시점에서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향후 다양한 진전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14.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북반구에서 지구온난화로 인한 분포의 북상이 곤충, 어류, 조류, 식생 등 다양한 생물들에서 나타나고 있다. 한국에서 나비의 분포가 북상하는 현상이 남방계종의 북방한계선에서 나타났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남방계종의 북방한계선이 최근 60년 동안 매년 1.6 km 씩 북상하였는데 이는 기온증가 속도(등온선이 매년 1.5 km 북상)과 거의 일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포의 북상은 나비군집 구성의 변화를 일으킬 것이다. 광릉과 앵무봉에서 과거에 조사한 나비군집과 최근에 조사한 나비군집을 비교했을 때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북방계종의 감소 및 남방계종의 증가가 일어났고, 식생변화의 영향으로 산림림종은 증가하였지만 초지성 종은 감소하는 현상이 있었다. 우리나라 전체적으로도 이런 현상이 일어났을 것으로 예상되어 나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를 검정하였다. 나비자료는 1938년부터 1950년 사이에 우리나라 나비의 전종의 분포를 조사한 자료와 1996년부터 2011년 사이에 조사한 자료를 비교하였다. 예측되는 사항으로는 기후변화로 인한 북방계 종의 감소와 남방계종의 증가, 식생변화로 인한 산림성종의 감소이며, 이 요인의 상호작용도 예상된다(광릉과 앵무봉 자료에서 나타났는데 남방계종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북방계종은 식생변화의 영향을 받음). 그리고 앵무봉과 광릉 지역에서의 개체군 변화와 전국적인 개체군 변화 간에는 높은 상관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의 나비의 분포북상을 밝힌 연구에서 기후변화와 식생변화의 영향이 나타났지만 이는 일부 종(출현빈도가 높은 종)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전체 종을 대상으로 했을 때의 결과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115.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녹지 유형에 따른 노린재목 곤충의 분포특성과 군집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홍릉, 광릉, 용두, 자운, 대화의 5개 조사장소에서 숲, 임연부, 관목림, 초지의 4가지 녹지 유형에 속하는 33개 녹지를 조사지로 선정하여 노린재목 곤충을 조사하였다. 노린재목 곤충의 조사는 쓸어잡기법으로 하였으며, 2012년 4월부터 10월까지 월별로 6회 조사하였다. 각 조사지의 식물조사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총 14과 95종 3094개체의 노린재가 채집되었다. 조사장소 별로는 광릉이 58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홍릉이 50종이었으며, 나머지는 조사장소에서는 30여종(31~37종)의 노린재가 채집되었다. 그러나 조사지별로 채집된 종수를 토대로 비교했을 때 조사장소간 종수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녹지유형별로 종수를 비교했을 때 관목림이 15.57±9.43(SD)이 가장 많았고, 초지(12.2±5.87), 임연부(11.6±7.64) 순이었고, 숲은 6.09±4.39로 가장 낮았고 관목림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종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민침꽃노린재 등 7종은 habitat generalist로서 대부분 개체수가 많지 않음에도 각 녹지유형에 골고루 분포한 데 비해 개체수가 아주 많은 종들은 대부분 특정 녹지 유형에 편중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꼬마긴노린재 등 13종은 open habitat specialist로 판단되며, 특히 빨간촉각장님노린재와 홍비단노린재는 grassland specialist로 판단되었다. 숲을 선호하는 forest specialist는 각시장님노린재, 미니날개쐐기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등 3종에 불과하였다.
116.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round arthropods are abundant in urban ecosystem, but our understanding on their ecological traits is littl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urbanization on ground arthropod communities. Ground arthropods were monitored once a week from April to December 2005 in 6 sites: Yamato River riverbank (Site 1), Daisen Park (Site 2), Oizumi forest area (Site 3), Osaka Prefecture University campus (Site 4), Paddy field (Site 5), and Satoyama (Site 6). A total of 221,000 individuals of ground arthropods belonging to 19 orders were collected in 6 sites. Isopoda including Porcellionidae and Armadillidiidae was the 1st dominant and 195161 individuals were collected, representing 88.3% of the total. Mean density of ground arthropods in Site 1- 4, urbanized areas, was much higher than in paddy field and Satoyama. Pattern of ground arthropod community in riverbank did not differ with those of urban park, urban forest area, and campus. Our finding showed that ground arthropods in urban area tend to increase biomass and specific groups in area disturbed and urbanized by human activities.
117.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인구의 급격한 증가, 화석연료 사용 및 숲의 파괴와 같은 인간의 활동에 인하여 지난 100년 동안 전지구적으로 0.75℃상승하였고, 우리나라의 기온은 약 1.5℃증가하였다. 이런 기온변화는 육상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파리는 육상생태계에서 가장 풍부하고 다양한 곤충 중의 하나이며, 생태계에서 부식자, 식식자, 수분매개자, 상위포식자의 먹이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기후변화 연구에서 파리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주로 해충에 대해서 이루어지고 있고, 국가적인 수준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파리의 분포변화를 예측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기후변화로 예상되는 산림성 파리의 분포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 위도 0.5도와 경도 0.5도의 격자 안에 8개의 조사지를 임의로 배치하고 함정트랩법을 이용하여 2006년부터 2009년까지 4년간 5월 중순부터 9월 중순 사이에 조사를 실시했다. 전국 295개 조사지의 결과를 기초로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종수와 풍부도(10 트랩당 밀도)의 분포변화를 예측하였다. 현재 분포에서 종수는 강원도 산간지방, 경상북도 북부와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50년 후에는 크게 감소하고 강원도 산간지방에서만 종수를 유지하였다. 풍부도는 해안가와 내륙지방에서 급감했으며 주로 강원도 산간지방에서 비교적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118.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가리왕산(1,561m, N37°27’, E128°33’)은 정선군 정선읍과 평창군 진부면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방향으로 상봉, 중봉, 하봉으로 뻗어나가며, 서쪽에는 중왕산이 위치하고 있다. 가리왕산의 식생은 신갈나무림이 우점하고 소나무, 분비나무, 전나무, 주목 등 침엽수림이 부분적으로 우점하고 있으며, 가리왕산은 2006년과 2008년에 걸쳐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462ha가 보호받고 있다. 국내에서 비교적 잘 보호되고 있는 가리왕산에 서식하는 나비상을 분석하기 위해서 과거자료와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조사결과를 기초로 하여 서식처타입과 분포패턴, Estimate S를 이용하여 개체수를 기반한 종수를 추정하여 가리왕산 나비상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119.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안성과 천안지역의 친환경인증 시설포도원(품종: 거봉)에서 잎응애와 이리응애의 밀도변동을 조사하였다. 각 지역별 3개 농가씩 총 6개 농가를 조사하였다. 잎응애류로는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차응애(Tetranyhus kanzawai), 사과응애(Panonychus ulmi), 긴털가루응애(Tyrophagus putrescentiae) 등 4종이 확인되었는데 점박이응애가 우점종이었다. 포식성응애로는 긴꼬리이리응애(Amblyseius, eharai)와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가 확인되었는데 긴꼬리이리응애가 우점종이었다. 2년간(2014∼2015)의 밀도변동을 조사한 결과, 2014년에는 연간 잎 당 평균밀도(6농가 평균)가 잎응애는 0.02∼0.26마리, 이리응애는 0.16∼0.65마리로 잎응애보다 이리응애의 밀도가 더 높게 나타났는데, 6개 농가에서 같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2015년에는 잎응애의 밀도가 0.02∼1.8마리로 2014년에 비해 매우 높았고, 이리응애의 밀도는 0∼0.17마리로 2014년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즉 2015년에는 이리응애에 의한 잎응애의 밀도억제효과가 높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농가별로 살펴보면 이러한 경향은 2농가에서 뚜렷하게 나타났고, 4농가에서는 2014년과 마찬가지로 잎응애의 밀도가 0.4마리 이하로 나타남으로서 이리응애에 의해 잎응애의 밀도가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친환경인증 재배농가의 경우 저독성농약 사용에 따라 이리응애의 서식환경이 조성되어 잎응애의 밀도가 효과적으로 억제가 가능함을 보여준 것이라 생각된다.
120.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주도 지역에 특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곶자왈은 빌레용암, 튜물러스, 용암함몰지, 습지 등 다양한 지형지질 특성이 혼재하여 있다. 본 연구는 월림-신평곶자왈의 특이 지형인 밧줄구조 등이 발달한 파호이호이(Pahoehoe)용암지인 빌레, 압력돔(튜물러스, tumulus) 및 띠와 억새군락이 발달한 초지 지역에 대한 곤충조사를 통해 제주도 곶자왈의 곤충분포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2014년 여름과 가을 조사한 결과 총 13목 76과 195종 4,649 곤충개체가 확인되었다. 빌레지대에서는 총 1,400 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여름 28종 334개체, 가을 20종 133 개체가 확인되었다. 튜물러스에서는 총 135 개체가 채집되었는데 여름 5종 31개체 가을 8종 14개체 이었다. 초지에서는 총 3,114 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여름 51종 831 개체 가을 25종 207 개체가 발견되었다. 여름철 종풍부도는 빌레 2.21, 튜물러스 1.56, 초원 2.21를 보였고, 가을철에는 각각 2.26, 1.83, 2.21로 큰 변동이 없었다. 종다양성 지수(Hill, N1)는 여름철 빌레 40.06, 튜물러스 3.29, 초원 62.62로 튜물러스 지대가 매우 낮았으며, 가을철에는 25.63, 4.88, 19.64로 크게 변동하였다. 종균등도는 여름철 빌레 0.69, 튜물러스 0.33, 초원 0.69 이었고, 가을철에는 각각 0.70, 0.42, 0.50 이었다. 포괄적 다양도 지수인 Shannon(H')는 여름철 빌레 0.0348, 튜물러스 0.5683, 초원 0.0229, 가을철 각각 0.0548, 0.3824, 0.0963으로 전체적으로 초원에서 종다양성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