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KCI 등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25권 제4호 (2012년 12월) 26

21.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MS사에서 Kinect를 출시하면서. 기존 고가의 RGB-D 카메라 센서를 대신하고 또한 MS의 SDK와 다른 라이브러리를 통해서 쉽게 동작/공간 인식을 활용할 수 있어 다양한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공간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서 삼차원 공간을 재구성하고 적합한 텍스쳐 컨텐츠를 제작하여 RGB-D 센서와 프로젝터가 합쳐진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실제 객체에 텍스쳐를 투영하고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놀이공간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서 실제 객체의 고정된 텍스쳐를 확장하고 사용자와 반응하는 전시형 체험 공간에 활용가능 하다.
4,000원
22.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게임의 배경맵은 게임성을 향상시키기고 게이머에게 게임에 몰입하게 만드는 하나의 요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주로 게임 맵의 구성은 지형과 산이나 언덕으로 이루어진 외부 환경과 성이나 건물들로 이루어진 내부 환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장르의 게임 건축물의 활용사례를 조사하여 건축물이 게임 속에서 캐릭터의 모션과 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캐릭터의 전투와 미션 수행 혹은 레이싱 게임의 경우 건축물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도 조사한다. 이러한 조사를 토대로 향후 게임 환경에서 건축물 맵의 디자인 모델을 제시한다.
4,000원
23.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oposes the expression `gamification@ (location or purpose)' with the intent of vitalizing the research of gamification and announcing a pure and right function of gaming to the public. It can strengthen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gamification as well make it possible to foresee a universal application to nearly every aspect of life.
4,000원
24.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거 실제 공간에서 발생되는 결과를 가상공간에서 입력 받아 수행되는 게임 시스템이 개발 되었다. 개발된 시스템에 스마트 디바이스를 결합한 새로운 게임 시스템을 개발 하였다. 가상공간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내용들이 실제 공간에서 로봇 구동과 조화 되는 시스템이 개발 되면 게임의 흥미는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 한다. 제안 시스템은 가상공간의 유닛들과 스마트 디바이스 결합 로봇의 조화 구성을 하였다. 해당 로봇은 실제 공간에서 구동되고, 가상현실에서는 그래픽 유닛이 구동 된다. 그리고 가상현실과 실제가 결합하여 새로운 결과를 유추 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결합해 가상공간의 내용이 실제 공간에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을 소개 한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내용은 가상공간의 유닛들이 실제 로봇으로 구현하는 하드웨어 시스템과 가상공간에서 구현되는 내용을 로봇과 통신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 중요 요점은 제안하는 서버 시스템과 클라이언트 시스템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와 결합한 로봇 MCU를 참조 한다면 가상공간과 실제 공간이 결합 되는 다양한 게임을 만들 수 있다고 판단 한다
4,000원
25.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위치정보를 이용한 공간 게임에서 상대방의 위치와 위험도(power)를 기준으로 상대 게이머를 피해가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공간 게임에서 스카이라인을 이용하여 상대 게이머의 위치와 위험도를 파악함으로써 가장 가까우면서 위험한 게이머를 식별한다. 이는 공간 게임에서 승리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기존 기법은 공간객체와의 거리만을 대상으로 하여 가까운 게이머를 판단하였으나 제안 기법은 다중속성인 거리와 위험도를 동시에 파악함으로써 공간 게임의 승패에 영향을 미친다. 제안기법의 시뮬레이션에서는 거리를 기준으로 한 게임 객체와 스카이라인으로 탐색한 게임 객체들의 평균위험도를 측정하였다. 결과에서 제안기법인 SSG(Skyline query for Spatial Game)가 더 낮은 평균위험도의 객체들을 탐색하였다.
4,000원
26.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게임콘텐츠는 다양한 개발·제작자·퍼블리셔·유통·소비 및 이용에 이르는 가치사슬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다. 이러한 가치사슬 안에는 게임콘텐츠 생태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개체의 구성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 간의 조화로운 상생 관계의 모색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와 인문사회과학의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생태계 모델을 통해 게임콘텐츠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개체 요소와 각 개체들 간의 상호 작용 및 전체 게임 콘텐츠 생태계의 발전 방향을 FGI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본 구조 분석에서는 게임을 구성하는 생태계를 관련기술과 연계하여 분석하고 각 생태계 구성요소별 경쟁력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외 게임 콘텐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연구개발, 인력양성, 기반구축 및 제도개선 측면에서 정책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미래 게임 콘텐츠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게임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 정부, 학계, 산업계 등의 연구기관이 추진해야 할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방향을 제시하였다.
4,000원
1 2